Significance of tibial intra-tunnel fixation at Arthroscopic ACL Reconstruction with hamstring tendon (Second-look Arthroscopic Evalution)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시 경골측 골 터널내 고정의 의의 (이차관절경 검사의 평가)

  • Kim, Young-Cha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Inje, Busan Paik Hospital) ;
  • Seo, Seung-Suk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Inje, Busan Paik Hospital) ;
  • Jung, Kyung-Chi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Inje, Busan Paik Hospital) ;
  • Gwak, Hey-Chu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Inje, Busan Paik Hospital) ;
  • Kim, Yoon-Ju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Inje, Busan Paik Hospital) ;
  • Kim, Jin-Seok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Inje, Busan Paik Hospital)
  • 김영창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서승석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정경칠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곽희철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김윤준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김진석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intratunnel fixation in the tibial side on the arthroscopic ACL reconstruction with quadruple hamstring tendon at the second look arthroscopy. Materials and Method: From Dec 1999 to May 2005, we arthroscopically reexamined 32 cases who had been done arthroscopic ACL reconstruction with quadruple hamstring tendons. Hamstring tendons of all cases were fixed at femoral side with RigidfixTM. At the tibial side hamstring tendons were fixed only Post-tie (Group I) or Post-tie combined with IntrafixTM (Group II). At the time of second look arthroscopy mean age of cases was 30 years and mean duration for second look arthroscopy was 21.3 months. We analyzed the results with IKDC score, KT-1000 arthrometer under anesthesia, Telos stress radiography, tibial tunnel widening on the radiography and second look arthroscopic findings. Results: Group II had more superior than group I at side to side differences with KT-1000 and Telos stress radiograph, IKDC score, but the differences were insignificant. At arthroscopic evaluation, Group ll also had more superior than group I at graft tension and graft appearance, graft synovialization, but the differences were insignificant. Tibial tunnel widening in the knee AP radiograph was 2.3 mm in Group I and 1.7 mm in Group II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P=0.042) Conclusions: Additional procedure of tibial intratunnel fixation in arthroscopic ACL reconstruction with autogenous hamstring tendon significantly prohibited from tibial tunnel widening but clinical results, radiologic joint stability, findings in second look arthroscopy were insignificantly different. We concluded that Post-tie itself induced satisfactory clinical results, joint stability and graft maturation and that tibial tunnel widening did not affect the results.

목적: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관절경하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시 이식건의 경골측 골 터널내 고정의 유용성을 이차 관절경 검사의 추시 관찰을 통하여 평가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2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 중 이차 관절경 검사를 시행한 32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경골측의 고정방법에 따라 나사못 실고정만을 시행한 군(제 1군)과 나사못 실고정과 간섭나사를 이용한 경골측 골 터널내 고정을 함께 시행한 군(제 2군)으로 구분하였다. 이차 내시경 추시 관찰시의 평균 나이는 30세였으며 남자가 30례, 여자가 2례였고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이차 관절경 검사를 시행한 기간은 평균 21.3개월이었다. 결과는 마취하의 KT-1000 관절계와 IKDC 분석 및 경골측 골 터널의 크기와 Telos 스트레스 부하 검사를 방사선학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이차 관절경 소견의 평가 또한 시행하였다. 결과: 평가한 IKDC분석 및 Telos스트레스 부하 방사선 검사상의 전이 정도와 KT-1000 관절계상의 전이정도는 제2군에서 우수한 소견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관절 내시경상의 이식건의 긴장도, 이식건의 육안 소견, 이식건의 활액막 증식 정도도 제2군에서 우수한 소견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전후면 방사선 사진상 경골측의 골터널의 확장은 제1군에서 2.3 mm 및 제2군에서 1.7 mm로 측정되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42). 결론: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십자 인대 재건술에서 경골측 골 터널내 고정의 부가하는 시술은 경골측 골터널의 확대를 의미 있게 감소 시켰으나 수술 후의 임상적 결과, 관절의 동요 정도, 관절경적 소견에 있어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경골측 고정을 위해 나사못 실고정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만족스러운 임상적 결과, 관절의 안정도, 이식건의 성숙을 얻을 수 있었고 경골측 골터널의 확대는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