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jeldahl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9초

연속회본식 반응조를 이용한 축산폐수의 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eatment of Livestock Wastewater by Sequencing Batch Reactor)

  • 박석환;정문식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2-66
    • /
    • 199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livestock wastewater excepting pig feces and the variation tendency of water quality and the removal efficiency of polluting materials by establishing the sequencing batch reactor in the field.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haracteristics of livestock wastewater as follows: BOD: 619.80, COD$_{cr}$: 782.70, NH$_{3}$-N: 194.20, TKN: 232.81, PO$_{4}$-P: 24.10, T-P: 215.14 (mg/l) 2. During the reaction, negativ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pH and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3.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organic material by the index of BOD and COD was about 90%. 4. Nitrogen removal efficiency was 65.6% by total Kjeldahl nitrogen index, and phosphorous removal efficiency was about 47% by PO$_{4}$-P concentration.

  • PDF

Treatment of Organic Waste with Microorganisms of Mixed Population

  • 김기은
    • KSBB Journal
    • /
    • 제22권3호
    • /
    • pp.129-133
    • /
    • 2007
  • This study represents that a removal efficiency of organic matters in wastewater is activated by a sludge process using new mixed microbial population. In case of mixed microorganisms, removal rates of suspended solid (SS),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and chemical oxygen demand (COD) were over 90 percent under experimental condition, and removal efficiency of organic matters, sludge density index (SDI) and capillary suction time (CST) in mixed population were higher than that in not-mixed microorganism, while total kjeldahl nitrogen (TKN) and total phosphorus (T-P) which indicate a degree of eutrophication were removed easily in both case. From these results, we may propose that an application of the mixed microbial population is useful to treat domestic wastewater including a great deal of organic matters.

Affinity column과 베타수용체 정제조건

  • 고광호;신찬영;강현삼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145-145
    • /
    • 1993
  • 일반적으로 단백질의 정제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affinity chromatography법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베타 수용체의 순수정제를 위한 효과적인 affinity matrix를 제조하고 이의 특징을 확인함으로써 수용체 정제를 위한 기초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Bisoxirane reagent인 1,4-butanediol diglycydyl ether를 Sepharose CL-4B gel과 반응시켜 탄노원자 10개 길이의 spacer arm을 부착시켰다. 여기에 sodium persulfate, dithiothreitol을 연속적으로 사용하여 -SH기를 도입시긴 추 free radical 반응을 이용하여 베타수용체 길항제인 alprenolol을 부착시킴으로써 affinity gel을 제조하였다. alprenolol치 부착반응을 위한 최적온도는 4$0^{\circ}C$로 나타났으며, semimicro Kjeldahl 질소 분석법을 적용하여 gel을 분석한 결과 ml당 0.4-0.6 $\mu$ mol의 alprenolol이 결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 PDF

양성면직물의 세정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soil removal in cationic cotton fabrics.)

  • 신영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3-18
    • /
    • 1979
  • Many researches have found that the anionic surfactants are effective when the anionic soil is attached to the cotton fabrics. However,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the super soil removal and surfactants when the anionic and cationic soil was attached to the cationic cotton fabrics. The result is that the cationic surfactants are vary effective for soil removal in the cationic cotton fabrics. The processing and nature of cationic cotton fabrics are treated and investigated as follows: Cotton fabrics are heated in the presence of ethylenimine and acetic acid dissolved in benzene to contain a significant amount of fixed nitrogen. Some polymer was formed but removal by washing with benzene and water. The optinium molor ratio of acid-to-ethylenimine seemed to be in the range 1: 10. The treated cotton fabrics dyed with acid Orange II dyes, and nitrogen content in the treated cotton fabrics were determined by the Kjeldahl method.

  • PDF

가열처리시간이 Steaming 및 Roasting green tea의 성분변화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components in the steaming and roasting green tea after heat treatments according to time.)

  • 고영수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9-36
    • /
    • 1985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of the components in steamed and roasted green tea after 10 min, 20 min and 30 min of heat treatment of heat treatment at $110^{\circ}C$. Vitamin C and tannin were determined by spetrophotometry. Total nitrogen, water-soluble nitrogen and water-soluble non protein nitrogen were determined by Kjeldahl analysis system. Aromas were identified by gas chromatography. After heat treatment, contents of most compounds decreased. Tannin and caffeine decreased a little bit, while vitamin C decreased considerably. There were both decreases and increases in aromas. Aromas which increased were geraniol, trans-2-hexenol, linalool, $\alpha$-ionone and $\beta$-ionone.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highest quality of green tea was one steam- treated for 10 min at $110^{\circ}C$.

  • PDF

축분 퇴비화 과정 중 퇴비 부숙도를 고려한 암모니아 발생량 산정 (Estimation of Ammonia Emission During Composting Iivestock Manure Based on the Degree of Compost Maturity)

  • 김기연;최홍림;고한종;김치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1호
    • /
    • pp.123-130
    • /
    • 2006
  • 본 연구는 축분 퇴비화시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암모니아 발생량을 퇴비 부숙 단계에 따라 예측할 수 있는 통계적 모델을 제안하는 데 있다. 퇴비의 발아지수를 근거로 퇴비화 단계를 초기, 중기 및 후기로 구분하였으며, 퇴비화시 암모니아 발생에 기여하는 독립변수로 총 질소와 유기물 함량을 선정하였다. 암모니아 농도는 퇴비화 초기에 10ppm 정도의 낮은 농도를 보이다가 중기에 50ppm까지 증가한 후 후기에는 경시적으로 감소하여 다시 10ppm 정도로 저감되는 경향을 보였다. 총 질소와 유기물의 함량은 퇴비화 전체 기간 동안 각각 0.6 ~1.2%, 30~40%의 범위를 보였으며, 퇴비화 중기에 약간 저감되는 현상이 관찰되었으나 전반적으로 일정한 증감 변화 양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통계적 기법을 적용한 퇴비 부숙 단계별 암모니아 발생량 산정에 있어 암모니아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퇴비화 중기에 독립변수에 대한 계수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가장 낮았던 퇴비화 초기에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퇴비화시 암모니아 발생량 예측 모델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제안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시료 채취 및 분석 자료 연구가 향후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방사선 조사선량과 탁주 알콜도수와의 상관관계 사전조사 (The Radiation Dos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of Alcohol Takju Preliminary Research)

  • 김선칠;조영권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97-200
    • /
    • 2012
  • 본 실험은 탁주에 방사선 조사를 하였을 경우 알콜도수의 변화를 통계학적 시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예비 사전실험을 시행하였다. 알콜도수가 낮은 발효 전통주인 탁주는 대체로 6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열로 인한 살균처리를 통해 유통기간을 조절하고 있다. 기존의 방사선 조사는 대부분이 제품의 보존성에 초점을 두고 있으나, 본 실험은 품질 특성 중 알콜도수의 기계적인 변화치를 구하고자 하였다. 비살균 탁주를 섭씨 $15^{\circ}C$를 유지하는 상태로 보관하면서 실험을 하였다. 방사선 발생장치는 Varian Clinac ix, 2010 (Max. 10MV)를 이용하여 조사야 $150mm{\times}150mm$, SSD 100cm에 저선량 40kVp에서 1, 4, 7, 10, 13, 15, 20Gy를 수직 조사하였으며, KJELDAHL APPARATUS, C-H6를 이용하여 Alcohol 도수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방사선량의 변화에 따른 알콜도수의 급격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비슷한 수치로 감소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따라서, 방사선 조사에 따른 알콜도수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관련 실험식에서 유도한 바와 같이 거의 일정한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방사선 선량에 따른 알콜도수의 변화의 상관관계를 찾고자 하였으며 결론적으로 알콜도수가 낮은 전통주인 경우 방사선 조사에 따른 향후 알콜도수를 포함한 품질변화에 의미가 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사선 조사로 인한 식품의 품질특성에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amino acid composition in pig diet on odorous compounds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swine excreta

  • Recharla, Neeraja;Kim, Kihyun;Park, Juncheol;Jeong, Jinyoung;Jeong, Yongdae;Lee, Hyunjeong;Hwang, Okhwa;Ryu, Jaehyoung;Baek, Youlchang;Oh, Youngkyun;Park, Sungkwo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9권12호
    • /
    • pp.28.1-28.8
    • /
    • 2017
  • Background: Major amino acids in pig diets are Lys, Met, Thr, and Trp, but little is known about the requirements for the other essential amino acids, especially on odorous compounds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in feces of growing-finishing pigs. To this end, different levels of amino acid composition added to diet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mino acid composition on microbial characteristics and odorous compounds concentration. Methods: A total eight (n = 8) barrows (Landrace ${\times}$ Yorkshire ${\times}$ Duroc) with an average bodyweight of $89.38{\pm}3.3kg$ were individually fed diets formulated by Korean Feeding Standards 2007 (old version) or 2012 (updated with ideal protein concept) in metabolism crates with two replication. After 15-day adaptation period, fresh faecal samples were collected directly from pigs every week for 4 weeks and analysed for total volatile fatty acids (VFA), phenols and indoles by using gas chromatography. The nitrogen was determined by Kjeldahl method. Bacterial communities were detected by using a 454 FLX titanium pyrosequencing system. Results: Level of VFA tended to be greater in 2012 than 2007 group. Among VFAs, 2012 group had greater (p < 0.05) level of short chain fatty acids (SCFA) than control.Concentration of odorous compounds in feces was also affected by amino acid composition in pig diet. Levels of ammonium and indoles tended to be higher in 2012 group when compared with 2007 group.Concentration of phenols, p-cresol, biochemical oxygen demand, and total Kjeldahl nitrogen, however, were lower (P < 0.05) in 2012 treatment group compare to 2007. The proportion of Firmicute phylum were decreased, while the Bacteriodetes phylum proportion increased and bacterial genera includingCoprococcus, Bacillus, and Bacteroides increased (p < 0.05) in 2012 compare to 2007 group. Conclusion: Results from our current study indicates that well balanced amino acid composition reduces odor by modulating the gut microbial community. Administration of pig diet formulated with the ideal protein concept may help improve gut fermentation as well as reduce the odor causing compounds in pig manure.

단백질가수분해효소를 이용한 탁주박의 가수분해 및 그 분해물의 특성 (Derivatization of Rice Wine Meal Using Commercial Proteases and Characterization of Its Hydrolysates)

  • 김창원;최혁준;한복경;유승석;김창남;김병용;백무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29-734
    • /
    • 2011
  • 쌀부산물인 탁주박을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8가지 protease를 최적화된 조건에서 단일 혹은 혼합 처리하여 수용성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단백질을 Lowry, Kjeldahl 그리고 건조 방법 등 총 3가지 방법으로 분석을 한 결과 Protamex, Alcalase, Protease N이 가장 높은 분해율을 나타냈으며 이것을 이용하여 3가지 protease를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단일처리와 큰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효소처리를 하여 얻어진 단백질의 사이즈를 알아보기 위해 SDS PAGE를 한 결과 어떠한 밴드도 형성이 되지 않았고 이는 단백질이 마커의 최소사이즈 15 kDa보다 작은 것을 의미한다. 즉 일단 단백질보다 사이즈가 작은 polypeptide나 amino acid로써 분해된 것을 뜻하고 실제로 섭취하였을 때는 trypsin이나 chymotrypsin의 효소적인 분해 없이도 흡수할 수 있는 식품첨가물로써 활용도가 높은 단백질로 분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아미노산의 경우 lysine의 함량이 적기 때문에 단백질의 유래가 탁주박에 존재하는 효모가 아닌 쌀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총 아미노산의 함량은 효소 3개를 모두 혼합하였을 때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필수아미노산 8가지 중 4가지의 함량이 일반 쌀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것은 각 효소마다 작용하는 기질이 정해져 있고 효소의 개수가 많을수록 아미노산의 생성확률이 높아져서 총 아미노산의 함량이 효소를 모두 혼합하였을 때 가장 높아진 것으로 생각된다. 상대적으로 효소를 두 개 혹은 세 개로 혼합하였을 때 생성된 총 단백질 함량은 비슷하였지만 총 아미노산의 함량은 적었기 때문에 두 개의 효소를 혼합한 샘플들은 효소에 의해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지 못한 polypeptide가 모든 효소를 혼합한 샘플에 비해 더 많이 존재 할 것으로 생각된다.

감마선 조사에 의한 수산 자숙액의 단백질 함량 변화 (Changes of the Protein Contents of Seafood Cooking Drips by Gamma Irradiation)

  • 최종일;김현주;성낙윤;변의백;김재훈;전병수;안동현;조국연;변명우;이주운
    • KSBB Journal
    • /
    • 제23권6호
    • /
    • pp.489-493
    • /
    • 2008
  • 수산가공 폐자원인 수산 자숙액의 산업적 활용 극대화 방안의 연구 일환으로 감마선 조사가 수산 자숙액 내 단백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톳, 문어 및 참치 자숙액을 감마선 조사하여 단백질 정량 및 SDS-PAGE를 진행하였다. Lowry, BCA 및 Kjeldahl 법에 의한 단백질 정량 실험 결과 감마선 조사에 의해 수산 자숙액 단백질의 함량이 증가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단백질 함량은 10 kGy이상에서는 선량에 따라 일정한 값을 가졌다. 이를 토대로 각각의 자숙액을 SDS-PAGE를 이용한 전기영동적 분리정도를 확인한 결과 감마선 조사에 의해 단백질의 응집과 저분자화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감마선 조사에 의해 수산 자숙액의 단백질 추출 효율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감마선 조사에 의해 증가된 단백질의 동정 및 구조변화 등의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