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g

검색결과 29,526건 처리시간 0.062초

유통 콜라겐 제품 중 유해중금속 함량 모니터링 (Monitoring of hazardous heavy metals in circulated collagen products in Korea)

  • 김지은;김범호;김경아;김대환;최영주;강효정;민지현;이명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394-399
    • /
    • 2022
  • 국내 유통 중인 콜라겐 제품 120건을 대상으로 중금속 4종(납, 카드뮴, 비소, 수은) 함량에 대해 조사하였다. 수은은 금아말감화법을 이용한 수은분석기로 분석하였고 납, 카드뮴, 비소는 ICP-OE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검사 결과 납의 평균 함량은 0.097±0.055 mg/kg이었고 건강기능식품, 기타가공품, 음료류, 과·채가공품에서 각각 평균 0.108±0.052mg/kg, 0.084±0.053 mg/kg, 0.131±0.047 mg/kg, 0.149 mg/kg 농도로 검출되었다. 카드뮴의 평균 함량은 0.026±0.011 mg/kg이었으며 검출된 제품은 모두 건강기능식품이었다. 비소의 평균 함량은 0.097±0.048 mg/kg이었고 건강기능식품, 기타가공품, 과·채가공품에서 각각 평균 0.091±0.055 mg/kg, 0.133 mg/kg, 0.086 mg/kg 농도로 검출되었다. 수은의 평균 함량은 0.0025±0.0016 mg/kg으로 건강기능식품, 기타가공품, 과·채가공품, 캔디류에서 각각 평균 0.0012 mg/kg, 0.0028±0.0018 mg/kg, 0.0013 mg/kg, 0.0031 mg/kg 농도로 검출되었다. 중금속 기준·규격이 있는 음료류(납 0.3 mg/kg, 카드뮴 0.1 mg/kg) 및 캔디류(납 0.2 mg/kg)는 모두 기준 이하로 검출되어 적합하였다. 기준·규격이 없는 제품도 국내외 식품의 중금속 기준과 보고된 식품 중금속 함량과 비교하였을 때 비교적 안전한 수준이라고 판단되었다.

Can Moringa oleifera Be Used as a Protein Supplement for Ruminants?

  • Kakengi, A.M.V.;Shem, M.N.;Sarwatt, S.V.;Fujihara, 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호
    • /
    • pp.42-47
    • /
    • 2005
  • The possibility of using Moringa oleifera as a ruminant protein supplement was investigated by comparison between nutritive and anti-nutritive value of its different morphological parts with that of conventionally used Leucaena leucocephala leaf meal (LL). Parameters determined were chemical composition, rumen degradable protein (RDP), acid detergent insoluble protein (ADIP), pepsin soluble protein (PESP), non-protein nitrogen (NPN) total soluble protein (TSP) and protein potentially digested in the intestine (PDI). Total phenols (TP) and total extractable tannins (TET) were also evaluated as anti-nutritive factors. In vitro gas production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and organic matter digestibility (OMD) was estimated basing on 24 h-gas production. Crude protein content ranged from 265-308 g/kg DM in M. oleifera leaves (MOL) and seed cake (MOC) respectively. Leucaena leucocephala and Moringa oleifera soft twigs and leaves (MOLSTL) had CP content of 236 and 195 g/kg DM while Moringa oleifera soft twigs alone (MOST) and Moringa oleifera bucks (MOB) had 160, 114 and 69.3 g/kg DM respectively. RDP was highest in (MOC) (181 g/kg DM) followed by (MOL) (177 g/kg DM) and was lowest in MOB (40 g/kg DM). The proportion of the protein that was not available to the animal (ADIP) was (p<0.05) higher in MOL and MOC (72 and 73 g/kg DM) respectively and lowest in LL (29 g/kg DM). The PDI was high in LL (74 g/kg DM) followed by MOC (55 g/kg DM) then MOL (16 g/kg DM). PESP was highest (p<0.05) in MOC followed by MOL then LL (273, 200 and 163 g/kg DM respectively). MOC exhibited highest NPN content (116 g/kg DM) and was lowest in MOB (18 g/kg DM) (p<0.05). Highly (p<0.05) TSP was observed in MOC and MOL (308 and 265 g/kg DM respectively) followed by LL (236 g/kg DM). MOL had negligible TET (20 g/kg DM) when compared with about 70 g/kg DM in LL. Highly (p<0.05) b and a+b values were observed for MOLSTL (602 and 691 g/kg DM respectively) followed by MOL (490 and 538 g/kg DM). Highest c value was observed in MOSTL followed by MOC and MOL (0.064, 0.056 and 0.053 rate/hour) respectively. OMD was highest (p<0.05) for MOSTL followed by MOC and then MOL (579, 579 and 562 g/kg DM respectively). LL exhibited lower (p<0.05) OMD (467 g/kg DM). It was concluded from this study that the high crude protein content in MOL and MOLST could be well utilized by ruminant animals and increase animal performance however, high proportion of unavailable protein to the lower gut of animals and high rumen degradable protein due to negligible tannin content render it a relatively poor protein supplement for ruminants. MOC can be a best alternative protein supplement to leaves and leaves and soft twigs for ruminants.

찰성벼 CNU계통에 대한 질소 수준별 주요 수량 관련 형질 (Components Related to Yield of CNU Glutinous Rice Lines on Two Nitrogen Levels)

  • 최윤표;차희정;복태규;나승연;정종태;이희봉
    • 농업과학연구
    • /
    • 제36권2호
    • /
    • pp.129-134
    • /
    • 2009
  • CNU육성 찰벼 계통에 대해 질소 시비 수준을 달리하여 주요 작물학적 및 수량관련 형질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다. 공시된 벼품종의 간장은 유색찰벼인 경우 10a당 질소 7kg 수준이 9kg보다 다소 크게 나타났고, 무색찰벼는 Aranghyangchal, Dongjinchal이 큰 반면에 기타 공시종은 9kg수준에서 크게 나타났다. 주당 분얼수는 유색미인 경우 10a당 질소 9kg 처리가 7kg보다 CNU 08-01, CNU 08-02에서 높게 나타났고, 대조품종은 두 처리 모두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무색미는 9kg처리에서 Dongjinchal이 높게 나타났다. 질소 수준별 등숙율은 유색미인 경우는 대체적으로 질소 7kg 수준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무색미는 Dongjinchal, CNU 08-105계통을 제외한 CNU 08-101, Nunborachal, Aranghyangchal이 9kg 수준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천립중은 공시종 모두 질소 9kg수준이 7kg보다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20주당 조곡 수량은 CNU계통의 경우 모두 7kg보다 9kg에서 수량 증가를 보였으나 대조 품종인 경우에는 Aranghyangchal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7kg수준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 PDF

시비가 상수리나무 임분의 낙엽낙지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tilization on Litterfall Amounts in a Quercus acutissima stand)

  • 박진영;김춘식;정재엽;변재경;손요환;이명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6호
    • /
    • pp.582-588
    • /
    • 2008
  • 성숙한 28년생 상수리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5수준의 복합비료[3:4:1처리구(100 kg N/ha, 130 kg P/ha, 33 kg K/ha), 6:4:1, 2:2:1, 3:8:1, 3:4:2]와 무시비구(대조구)를 설치하고 3년간 연속 시비처리한 후 낙엽낙지량 변화를 조사한 결과, 엽량의 경우 3:4:1처리구가 4,015 kg/ha/yr으로 3:8:1처리구의 2,874 kg/ha/yr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그러나 나머지 시비처리구인 2:2:1, 3:4:2, 6:4:1처리구의 경우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P>0.05)가 없었다. 총 낙엽낙지량의 경우 3:8:1처리구 4,206 kg/ha/yr, 2:2:1처리구 4,992 kg/ha/yr, 6:4:1처리구 5,372 kg/ha/yr, 무시비구 5,456 kg/ha/yr, 3:4:1처리구 5,840 kg/ha/yr, 3:4:2처리구 6,015 kg/ha/yr 순으로 나타났으며 3:8:1처리구가 타 시비처리구나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작게 유입되었다. 총 낙엽낙지량에 대한 엽량의 비율은 3:4:1, 6:4:1, 3:8:1처리구의 경우 약 66%이상으로 대조구 61%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성숙한 상수리나무 임분의 낙엽낙지량은 여러 가지 시비수준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벼 휴립건답직파 절수재배에 알맞은 질소 수비량 (Optimum N Fertilization at Panicle Initiation Stage on Ridge Direct Seeding on Dry Paddy of Rice as an Irrigation Water-Saving Cultural System)

  • 최원영;박홍규;이기상;김상수;이재길;김순철;최선영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177-184
    • /
    • 2001
  • 본 연구는 벼 휴립건답직파 절수재배에 알맞은 질소 수비량을 구명하고자 파종량을 6kg/10a과 10kg/10a으로 하고, 질소 수비 시비량을 10a당 4.8kg(표준구), 2.4kg, 7.2kg 및 9.6kg을 시비 처리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질소 수비량이 많을수록 엽면적지수와 지상부 건물중은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나. 출수기 광합성능은 질소 수비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며, 파종량간에는 6 kg/10a 파종에서 높았다. 다. 질소의 흡수량은 질소 수비량이 많을수록 많았으며, 질소 이용율은 6kg/10a 파종에서는 질소 표준수비(4.8kg/10a) 보다 50% 증시에서 가장 높았고 10 kg/10a 파종에서는 별 차이가 없었다. 라. 단위 면적당 수수는 질소 수비량이 많을수록 많았고, 등숙비율과 현미 천립중은 비슷하여, 쌀 수량은 표준(6kg/10a 파종시 수비량 4.8kg/10a 시용) 보다 50%증시(7.2kg/ha)구에서 6kg/10a 파종에서는 6%, 10 kg/10a 파종에서는 13% 증수되었다.

  • PDF

벼 휴립건답직파 절수재배에 알맞은 질소 분얼비 시비량 (Optimum N Topdressing for Tillering in Ridge Direct Seeding on Dry Paddy of Rice as an Irrigation Water-Saving Cultural System)

  • 최원영;김상수;송동석;최선영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5-80
    • /
    • 2001
  • 본 연구는 벼 휴립건답직파 절수재배시 적정 질소 분얼비 시비량을 알아보고자 전북통(미사질양토)에서 동진벼를 공시하여 파종량을 60kg/ha과 100kg으로 하고 질소 분얼비 시비량을 ha당 48kg(표준구), 60kg, 72kg, 84kg 및 96kg을 시비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엽면적지수와 지상부 건물중은 분얼비 시비량이 많을수록 약간 높았고, 파종량간에는 100kg/ha이 60 kg/ha보다 높았다. 시비절소 이용율은 표준 분얼비 대비 50~75%증시에서 높았고 100% 증시에서는 낮았으며, 질소 시비효율은 표준 시비량에서 높았다. 분얼비 시비량 및 파종량간에 출수기는 같았고 m$^2$당 수수와 당 립수는 분얼비 75% 증시(84kg/ha)에서 많았으며, 등숙비율과 현미 천립중은 비슷하였다. 쌀 수량은 (60kg/ha 파종시 질소 분얼비 48kg/ha 시용) 보다 50~75% 증시(84kg/ha)한 처리에서 파종량 60kg/ha에서는 5%, 100kg/ha에서는 16~17% 증수되었다. 따라서 벼 휴립건답직파 절수재배에 알맞은 질소 분얼비는 표준 대비 50~75% 증시한 72~84kg/ha이 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66품종 나물콩과 콩나물의 isoflavone 분석 (Analysis of Isoflavones for 66 Varieties of Sprout Beans and Bean Sprouts)

  • 김연희;황영현;이혜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68-575
    • /
    • 2003
  • Isoflavone함량이 높은 우량나물콩 품종과 우량 콩나물을 선별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나물콩 66품종과 이들로 재배한 30종 콩나물의 isoflavone함량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66종 나물콩의 총 isoflavone의 평균 함량은 $1209.0{\pm}470\;mg/kg$, 함량범위는 $247{\sim}2,256\;mg/kg$이었고 daidzein과 genistein이 약 1:1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었다. 66개 나물콩 품종 중 총 isoflavone 함량이 높은 상위 10개 품종은 KLG10618(2256 mg/kg), KLG11118(2233 mg/kg), KLG10600(1984 mg/kg), KLG10022(1982 mg/kg), KLG10855(1903 mg/kg), 소호콩(1843 mg/kg), KLG11078(1809 mg/kg), KLG11051(1792 mg/kg), KLG10783(1781 mg/kg) 그리고 KLG10873(1762 mg/kg)이었다. 시료 나물콩의 종피색별 총 isoflavone평균 함량은 녹색종에서 가장 높았고 종자크기별 층 isoflavone 평균 함량은 중립종($16{\sim}24\;g$/100립)에서 높은 편이었다. 30종 콩나물의 총 isoflavone 평균 함량은 1898.3 mg/kg이었고, 함량범위는 $768{\sim}3,343\;mg/kg$이었으며, 소호콩(3343 mg/kg), 명주나물콩(2943 mg/kg), KLG11051(2676 mg/kg), KLG11118(2650 mg/kg), KLG10650(2562 mg/kg) 순으로 높았다. 콩에서 콩나물로 재배시 총 isoflavone함량은 평균 1.4배 증가하였다. 콩나물의 총 isoflavone의 함량은 재배일수에 따라 증가하여 5일째에 가장 높은 함량 나타내었다. 콩나물의 부위별 총 isoflavone 함량은 뿌리, 자엽, 배축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daidzein의 함량은 뿌리에서 가장 높았고 genistein의 함량은 자엽에서 가장 높았다.

주요 농작물 생산과정에서의 탄소배출량 산정 및 무기화학비료의 기여도 분석 (Estimation of Carbon Footprint for Production of Main Crops and Contribution Analysis of Inorganic Chemical Fertilizers)

  • 정순철;정재우;허진호;이덕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279-1285
    • /
    • 2011
  •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대표적인 농작물 47개의 탄소배출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농작물 생산 시 주요 요소로 투입되는 무기화학비료의 기여도 분석을 통하여 무기화학비료가 차지하는 탄소배출량을 정확하게 파악하였다. 농작물 중 시설감귤의 탄소배출량이 $5.78E+00kg\;CO_2\;eq.\;kg^{-1}$으로 47개 작물 중 가장 높았으며 시설포도 $4.61E+00kg\;CO_2\;eq.\;kg^{-1}$, 착색단고추 $4.34E+00kg\;CO_2\;eq.\;kg^{-1}$, 인삼 $4.23E+00kg\;CO_2\;eq.\;kg^{-1}$, 시설고추 $4.04E+00kg\;CO_2\;eq.\;kg^{-1}$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농작물 1 kg 생산 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 중 무기화학비료의 기여도는 생산단계, 사용단계를 모두 포함하여 평균 25.19%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부의 정책, 정부 및 기업의 연구 개발을 통한 고품질 저탄소 비료 생산 보급과 같은 노력이 함께 이루어진다면 농업분야의 온실가스 감축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신규 살균제 KNF 1002의 오이 및 고추 중 잔류특성 (Residues of a New Fungicide, KNF 1002 in Cucumber and Pepper)

  • 김태화;이재영;유용만;김장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27-232
    • /
    • 2003
  • Methoxyacrylate계 신규 살균제 KNF 1002의 오이, 고추 및 고춧잎에 대한 잔류 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포장시험을 수행하였다. HPLC-DAB에 의한 KNF 1002의 잔류분석시 최소 검출량은 오이 및 고추에서 2.0 ng 그리고 고춧잎에서는 2.5 ng이었으며, 검출한계는 오이 및 고추에서 0.02 mg/kg 그리고 고춧잎에서 0.05 mg/kg 이었다. 오이에서의 잔류량은 1회 및 2회 처리하여 1일에서 7일 후에 채취된 시료에서 2.0 mg/kg에서 검출한계 미만으로 나타났다. 고추에서의 잔류량은 시설재배지의 경우 최고 0.79 mg/kg에서 0.31 mg/kg수준으로 나타났다. 노지재배의 경우에는 0.47 mg/kg에서 0.11 mg/kg으로 나타나 시설재배의 47% 수준의 잔류량을 보였다. 고춧잎에서는 시설재배지의 경우 최고 25.20 mg/kg에서 7.38 mg/kg으로 나타났으며 노지 재배의 경우에는 1.99 mg/kg에서 0.11mg/kg 수준으로 나타나 시설재배에 비해서 6.2%정도의 잔류량을 보였다.

과립제와 환제 및 현탁액으로 만들어진 생약제제의 중금속 농도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Granule, Globular and Liquid types of Herbal Medicines)

  • 배종섭;박종필;김용웅;박문기
    • KSBB Journal
    • /
    • 제25권1호
    • /
    • pp.91-96
    • /
    • 2010
  • This study is an endeavor to evaluate the safety of medicines from heavy metals, prescribed on the basis of herbal medicinal system and oriental medical prescription which are circulated much recently. For that, six globular types, six granular types and seven liquid types of herbal medicines were bought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ntent of heavy metals, such as As, Pb, Cd and Hg, which are harmful to human body. The concentration of As was 0.219 mg/kg to 1.243 mg/kg, Cd was 0.0282 mg/kg to 0.8481 mg/kg, Pb was 0.9582 mg/kg to 5.233 mg/kg and Hg was 0.001 mg/kg to 0.01 mg/kg in globular and granular types. Otherwise, in the liquid types, As was 0.0123 mg/kg to 0.5024 mg/kg, Cd was 0.0128 mg/kg to 0.0568 mg/kg, Pb was 0.1755 mg/kg to 0.712 mg/kg, and Hg was 0.001 mg/kg to 0.002 mg/kg. It was found that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liquid types herbal medicines was relatively lower than globular and granular types. It is required to treat, manufacture and manage herbal medicines for saf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