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eum river basin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5초

금강유역의 침식과 하상변동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of erosion and river channel change in the Geum river basin)

  • 양동윤;짐주용;이진영;이창범;정혜정
    • 지질공학
    • /
    • 제10권2호
    • /
    • pp.52-74
    • /
    • 2000
  • 금강유역중 상류는 선캠브리아기의 변성암류가 중.하류는 중생대의 화성암류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 유역에서의 변성암류는 상대적으로 풍화에 강하고 화성암류는 풍화에 약하기 때문에, 상류는 심하게 만곡된 협곡을 이루고 급경사이고, 중하류로 가면서 점점 하폭은 넓어지면서 완경사를 이루며 서해로 유임된다. 특히 하류지역은 제4기 동안에 수차례의 침식과 퇴적이 반복되었고, 현재는 홍수 퇴적층이 넓게 발달되어 있다. 금강 중.하류유역 산사면에서의 침식현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장조사와 침식율실험과 함께, GIS기법을 이용하여 소유역별로 침식율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화강암류 분포 지역의 침식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조사구간 전반에 걸쳐 침식율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왔다. 원격탐사, 측량 등을 이용하여 금강하류의 최근 11년간의 연도별 화상퇴적물의 변화를 추적한 결과 1994년에 완공된 하구언뚝의 영향으로 인한 뚜렷한 퇴적현상이 관찰되었다. 정밀하상지형도를 작성하여 퇴적율을 구한 결과, 하류에서는 최근 11년동안에 매년 약 5cm씩 퇴적이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강경지역에서 HEC-6 모형으로 2004년까지 하상변동을 예측한 결과, 전반적으로 하상이 상승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공주에서 강경까지의 지역에서 많은 양의 골재채취가 이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강경 하류지역에서 뚜렷한 퇴적경향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지류유역에서의 활발한 침식현상은 금강의 하상변동에 많은 기여를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안동 금계천 유역의 지형과 생태 환경 (Morphology and Ecological Milieu of Keum-gae River basin in Andong Province)

  • 기근도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99-110
    • /
    • 2010
  • 본 연구는 생태지리학적 관점에서 금계천 유역의 기후·지형·수리 환경의 특성을 파악하여 이들 간의 상호연관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지역은 내륙지역의 소우지에 속한다. 또한, 연구지역 배후에는 생태댐 효과가 높은 흙산이 분포하지만, 분지 내부의 구릉대에는 투수율이 높은 화강암 풍화층이 발달해 있다. 이에 따라 타 유역의 하천보다 상대적으로 수질 오염도가 높으며, 유량 변동이 심한 편이다. 따라서 연구지역의 안정적 생태 환경 유지를 위해서는 오염 발생원인 제거, 하천 관리, 마을 숲 조성, 우수 저류소 설치, 논이나 습지 보호 등의 인위적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금강 하구호의 월 유입량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nthly River-Inflow Evaluation of the Keumgang Estuary Reservoir)

  • 이재형;김양일
    • 물과 미래
    • /
    • 제27권3호
    • /
    • pp.83-83
    • /
    • 1994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자원 이용이 매우 복잡한 금강유역의 하류부에 위치한 금강하구호에 대하여 물수지를 분석함과 동시에 금강유역 전역의 용수수급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금강 하구호의 월 유입량을 추정하였으며, 월유출량은 자연유출과 저수유출에 대해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상류의 대청댐으로 인해 금강 하구호 유입지점의 자연유출에 따른 유입량은 댐 건설전에 비해 홍수기인 7월에는 8.4% 감소하며, 홍수기를 제외한 10월부터 6월까지는 0.4∼17.6%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수유출에 따른 유입량의 월별 변동은 농업용수의 수요가 큰 5-6월에 비교적 크게 나타났다.

  • PDF

탱크모형의 매개변수 검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rameters-Calibration for the Tank Model)

  • 서영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0권4호
    • /
    • pp.327-334
    • /
    • 1997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2개 하천지점에서 홍수 수문곡선 유도에 이용된 탱크모형의 매개변수를 검정하여 향후 상기 모형들이 관련 하천의 홍수예·경부에 직접 이용되도록 하는데 있다. 선정된 지점은 금강의 공주와 영산강의 나주지점이며 모형의 검정 결과 영산강의 겨우 영산강 유역개발 2단계 수문조사에서 유도된 모형의 매개변수가 비교적 타당하였으나 금강의 경우 대청 다목적댐 타당성 조사보고서에 수록된 모형의 매개변수에 10-1을 곱함으로서 실측치와 거의 일치하는 홍수 수문곡선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흙의 지수적(指數的)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haracteristcs of Soil Parameter)

  • 강예묵;조성섭;김성완
    • 농업과학연구
    • /
    • 제4권2호
    • /
    • pp.157-166
    • /
    • 1977
  • 한강하류(漢江下流), 아산만(牙山灣), 금강하류(錦江下流)및 낙동강하류(洛東江下流) 지역(地域)에 대(對)한 Atterberg한계치(限界値)와 교란(攪亂)된 흙과 교란(攪亂)되지 않은 흙에 대(對)한 역학적(力學的) 성질(性質)을 규정(規定)하는 여러가지 토질상수치(土質常數値)의 상관성(相關性)을 분석(分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자연상태(自然狀態)의 흙에 단위체적중량(單位體積重量)은 함수비(含水比)를 좌우(左右)하는 성분(成分)인 점토광물(粘土鑛物)의 함유량(含有量)에 의하여 변화(變化)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습윤단위중량(濕潤單位重量)은 점토광물(粘土鑛物)의 함유량(含有量)이 가장 많은 낙동강하류(洛東江下流)에서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내고 한강하류(漢江下流), 금강하류(錦江下流), 아산만(牙山灣)의 순(順)으로 큰 값을 나타냈다. 2. 함수비(含水比)가 증가(增加)하면 건조밀도(乾燥密度)는 감소(減少)하는 곡선관계(曲線關係)가 성립(成立)하며 건조밀도(乾燥密度)의 값은 조립토(粗粒土)의 함유량(含有量)이 많은 아산만(牙山灣)에서 가장 컸고 금강하류(錦江下流), 한강하류(漢江下流) 및 낙동강하류(洛東江下流)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3. 각지역(各地域)의 액성한계(液性限界)와 소성지수(塑性指數)의 값은 액성한계(液性限界)의 값이 40% 이상(以上)에서는 소성도(塑性圖)의 A-선(線)보다 위에 있었다. 4. 건조밀도(乾燥密度)는 공극비(空隙比)의 증가(增加)에 따라 감소(減少)하는 곡선관계(曲線關係)가 성립(成立)하며 조립토(粗粒土)의 함유량(含有量)이 많은 흙에서 변화(變化)의 폭(幅)이 컸다. 따라서 공극비(空隙比)의 증가(增加)에 따라 건조밀도(乾燥密度)의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은 점토함유량(粘土含有量)이 가장 작은 아산만(牙山灣) 지역(地域)에서 가장 큰값을 나타내고 금강하류(錦江下流), 한강하류(漢江下流) 및 낙동강하류(洛東江下流)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 PDF

강화학습법을 이용한 유역통합 저수지군 운영 (Basin-Wide Multi-Reservoir Operation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 이진희;심명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54-359
    • /
    • 2006
  • The analysis of large-scale water resources systems is often complicated by the presence of multiple reservoirs and diversions, the uncertainty of unregulated inflows and demands, and conflicting objectives. Reinforcement learning is presented herein as a new approach to solving the challenging problem of stochastic optimization of multi-reservoir systems. The Q-Learning method, one of the reinforcement learning algorithms, is used for generating integrated monthly operation rules for the Keum River basin in Korea. The Q-Learning model is evaluated by comparing with implicit stochastic dynamic programming and sampling stochastic dynamic programming approaches. Evaluation of the stochastic basin-wide operational models considered several options relating to the choice of hydrologic state and discount factors as well as various stochastic dynamic programming models. The performance of Q-Learning model outperforms the other models in handling of uncertainty of inflows.

  • PDF

미계측 유역의 장기 물수지 분석에 관한 연구 (A Long-Term Water Budget Analysis for an Ungaged River Baisn)

  • 유금환;김태균;윤용남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113-119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월 강우량과 월 증발량 자료만 있는 하천유역에 대하여 장기 물수지 분석을 실시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져 하였다. 단기간의 월 강우량 자료를 경혐공식에 의해 월 유출량 자료로 변환시킨 후 추계학적 모의발생 모형을 사용하여 이들 단기 유출자료로부터 일군의 장기 유출자료계열을 발생시켰고, 자료계열별로 갈수빈도해석에 의해 최대 갈수기간 및 월 강수량계열을 작성하였다. 계획년도별 각종 용수수요를 표준절차에 의해 추정하였으며 순 물소모량도 계산하였다. 유역내의 기존 저수지를 총괄하는 합성저수지를 통해 Deficit-Supply 방법으로 물 수지분석을 실시한 결과 물 부족량은 갈수재현기간이 커짐에 따라 급격하게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하천 유역의 장기 물 수지분석을 통해 신뢰성있는 물 부족량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추계학적 모의발생모형에 의한 장기간 유출량의 발생이 필수적이며 수자원 시스템의 적정 갈수재현기간의 선정이 대단히 중요함을 시사해 주는 것이다.

  • PDF

식생 및 기온정보를 조합한 증발산량 산정을 위한 간편법 제안 (Suggestion of Simple Method to Estimate Evapotranspiration Using Vegetation and Temperature Information)

  • 신사철;황만하;고익환;이상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9권4호
    • /
    • pp.363-372
    • /
    • 2006
  • 지금까지 증발산량을 산정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지표면에서 발생되는 증발산량을 지배하는 복잡한 지형 특성 및 토지 이용 등을 고려하여 정확한 증발산량을 산정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다. 원격탐사 기법은 식생과 토지이용과 같은 지형조건과 관련된 증발산량을 산정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증발산량은 기상특성 뿐만 아니라 식생 조건에 의해 지배된다고 볼 수 있다. 그 중 식생조건은 NOAA/AVHRR 자료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정규화 식생지수(NDVI)를 통하여 정량화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유역을 대상으로 증발산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NDVI와 기온자료를 조합하는 간편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통합지수를 이용한 유역의 수자원 지속가능성 평가 (Assessment of Water Resources Sustainability in a Watershed Using Integrated Index)

  • 강민구;이광만;김정곤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07-51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 지속가능성 지수(WRSI)를 금강유역에 적용하여 소유역별 수자원 지속가능성을 평가하였다. WRSI의 적용을 위하여 금강유역을 주요 계측지점의 위치와 자료수집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27개의 소유역으로 분할하였다. WRSI 산정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소유역별 사회, 경제, 환경과 관련된 통계자료에 대한 GIS 주제도를 구축하였다. WRSI를 구성하는 지표들의 표준화는 적정확률분포형을 적합도 검정을 실시한 후 초과확률을 산정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WRSI를 이용하여 금강유역의 소유역별 수자원 지속가능성 지수를 산정한 결과, 금강유역의 소유역별 수자원 지속가능성 지수는 하류에 위치한 유역들보다 상류에 위치한 유역들이 큰 값을 나타냈다. 수자원 지속가능성 지수의 지표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 공평성 세부지수를 구성하는 지표들과 유지관리 능력 세부지수를 구성하는 지표들간의 상관성이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 PDF

하천의 유황에 관한 수문학적 연구 (A Hydrological Study on the Flow Characteristic of the Keum River)

  • 박성우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438-3453
    • /
    • 1974
  • Unmeasured value of water for human lives is widely approved, but the water as one of natural resources cannot be evaluated with ease since it changes itself ceaselessly by flowing-out or transforming the phase. Major objectives of the study concerned consequently with investigating its potentiality and evaluating its time seriesly availabity in a volumatic unit. And the study was performed to give the accurate original data to the planners concerned. Some developed rational methods of predicting runoff related to hydrological factors as precipitation, were to be discusseed for their theorical background and to be introduced whether they needed some corrections or not, comparing their estimation with actual runoff from synthetic unit-hydrograph methods. To do so, the study was performed to select Kongju Station, located at the watershed of the Keum River, and to collect such hydrological data from 1962 to 1972 as runoff, water level, precipitation, and so on. On the other hand,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runoff were concluded more reasonably in numerical values, with calculating the the ratio of daily runoff to annual discharge of the flow in percentage, as. the distribution ratio of runoff.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needed some consideration to apply the Kajiyama's Formula for predicting monthly runoff of rivers in Korea.(2) The rational methods of predicting runoff might be recommended to become less theorical and reliable than the unique analyzation of data concerned in each given water basin. The results from the Keum River prepared above would be available to any programms concerned. (3) The most accurate estimation for runoff could be suggested to synthetic unithydrograph methods calculated from the relation between each storm and runoff. However it was not contained in the study. (4) The relations between rainfall and runoff at KongJu Station were as following table. The table showed some intersting implication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runoff at site, which indicated that the runoff during three months from July to September approached total of 60% of quantity while precipitation concentrated on the other three from June to August. And there were some months which had more amount of runoff than expected values calculated from the precipitation, such as Febrary, March, August, September, Octover, and December, shown in the table. Such implications should be suggested to meet any correction factors in the future formulation concerned with the subjects, if any rational methods would be requir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