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entucky bluegrass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23초

질소와 인산의 시비량이 새로 조성된 Kentucky Bluegrass에 성장에 미치는 영향 (Phosphorus and Nitrogen Rate Effects to a Newly Seeded Kentucky Bluegrass)

  • 이상국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17-222
    • /
    • 2011
  • 최근 잔디관리를 위한 시비프로그램에서 인산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 되고 있다. 토양의 인산함량이 식물성장을 위해서 충분히 존재하더라도 시비프로그램은 질소의 양을 기준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인산이 불필요 하더라도 질소와 같이 시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많은 선행연구에서 이미 조성된 잔디에서는 토양내 인산함량의 조건에 상관없이 인산의 영향이 발견되지 않았다. 이것은 뗏장으로 조성된 켄터키블루그래스의 대취층에 많은 인산의 함량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취층을 최소화 하기위하여 파종하여 새로 조성된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성장에 질소와 인산의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질소의 시비량은 소량, 중량, 다량으로 각각 20, 30 and $40g\;m^{-2}\;yr^{-1}$로 되었으며 시비 횟수를 각각 2, 4, 6회로 구성되었다. 인산의 시비량은 0, 10 and $20g\;m^{-2}\;yr^{-1}$로 되었으며 인산은 질소시비와 함께 이루어 졌다. 소량의 질소시비는 실험기간 동안 최소수용 품질을 유지 하였으며 가장 적은 예지물을 생산하였다. 다량의 질소시비는 가장 좋은 잔디 품질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실험기간 동안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성장에 대한 인산의 일관적인 영향은 발견되지 않았다. 두꺼운 대취층에 조성된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성장에 인산의 영향이 없는 것과 동일하게 새로 조성된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성장에도 인산의 영향은 일년 동안 발견되지 않았다.

하절기 한지형 잔디 재배 시 침수 및 고온으로 인한 잔디의 생육 불량 현상 (Effect of High-Humidity and High Temperature at Kentucky Bluegrass Growth in Summer)

  • 이정호;최준용;이성호;주영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3-140
    • /
    • 2008
  • 한지형 잔디는 하절기 온도가 $30^{\circ}C$ 이상까지 올라가는 우리나라에서 뿌리와 줄기의 성장이 급격히 저하되고 심하면 고사하게 된다. 기온의 상승으로 인한 지온 상승은 잔디뿌리에 스트레스가 되며 그 스트레스는 호르몬의 불균형적인 형성으로 지상부 생장 및 광합성, 증산작용 등의 여러 매카니즘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토양내 수분함량을 조절하기도 하고 유기물 함량을 조절하여 지온의 상승을 제한함으로서 잔디의 생육부진을 해소하는 연구도 수행되었다. 본 실험은 토양 수분의 변화에 따른 토양 온도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잔디 재배지에서의 토양 깊이와 수분 함량에 따른 열 전도 기작과 열 환경 변화에 따른 직접적인 잔디 생육(생산량, 녹도, 건조피해, 고온피해 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공시 초종으로 Kentucky bluegrass(Poa pratensis L.)를 선정하였고 각각의 실험구는 수분함량에 따라 25%, 33%, 40%의 3가지로 구분하여 처리하였다. 토양온도측정 센서를 각 실험구에 깊이 12cm 지점과 2cm 지점에 각각 2개씩 즉, 한 실험구당 4개의 토양온도측정 센서를 설치하여 매 5분마다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수분함량에 따른 온도변화는 수분함량이 33% 일 때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잔디의 생육상태를 비교하여 볼 때 수분 함량이 33% 일 때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40% 일 때 가장 생육이 불량하였다. 하절기 고온 환경에서 한지형 잔디인 Kentucky bluegrass의 생육은 토양 수분함량에 따라 큰 영향을 받지만, 장마기에 잔디가 침수된 환경에서 토양 수분 함량을 최소한 33%까지 감소시켰을 경우에는 잔디 생육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지형 잔디의 조성시기, 초종 혼합 비율이 잔디 피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dding and Seeding Time and Rate of Seed Mixture on the Establishment of Cool-Season Turfgrasses)

  • 심규열;김창수;이성호;주영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79-191
    • /
    • 2004
  • 피복율 가을 조성 시(2001. 9. 4)의 피복율은 롤잔디의 경우 KB100, KB80+PR20 처리구 모두 1.5개월(2001. 10. 20)이 경과하면 $100\%$의 피복율을 나타내었으며, 파종의 경우는 초종의 혼합비율에 따라 피복율이 차이를 보였는데 PR100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가장 높은 피복율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KB70+PR 30, KB80+PR20, KB100처리구 순으로 나타났다. 휴면기를 거친 후의 피복율은 PR100 처리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파종 후 7개월 (2002. 5. 5)만에 $100\%$ 피복되었다. KB100, KB80+PR20, KB70+PR30처리구들은 처리구간의 피복율에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공히 7.5개월(2002. 5. 20)만에 $100\%$ 피복율을 나타내었다. 봄 조성시(2002. 4. 11)의 조성속도는 모든 처리구가 가을 조성(2001. 9. 4)시 보다 빨랐다. 봄조성시의 피복율은 롤잔디의 경우 KB100, KB80+PR20 처리구 모두 조성 1개월(2002. 5.11) 후 1$100\%$ 피복율을 나타내었으며 파종의 경우는 $100\%$ 피복되는데 소요되는 기간은 PR100 처리구의 경우 3개월(2002. 7, 12)로 가장 빠른 조성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KB80+PR2O, KB70+PR30 처리구가 3.5개월(2002. 7. 26)이 소요되었으며 KB100 처리구는 4개월(2002. 8. 9)이 소요되었다. 봄 파종시기별 피복율 4월, 5월, 6월에 각각 파종하여 파종시기별, 초종혼합비율에 따른 한지형 잔디의 피복율을 조사한 결과, 파종시기에 따른 피복율은 모든 초종혼합비에서 4월 파종이 가장 높은 피복율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5월, 6월 순으로 나타났다. 4월 파종과 5월 파종간의 피복율 차는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6월 파종은 4월, 5월에 비하여 피복율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초종혼합비 율에 따른 피복율은 4월 5월 파종의 경우는 Perennial ryegrass의 혼합비가 높을수록 피복율이 높았으나 6월 파종의 경우는 KB100, KB80 : PR20, KB70 : PR30, KB50 : PR5O의 혼합구는 Perennial ryegrass의 혼합비가 높을수록 피복율이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PR 100 구는 이들 혼합구보다 약간 높은 피복율을 보였다. 봄 파종시기별, 초종혼합 비율에 따른 개체수 2002년 4월 1일 파종 후 2002년 7월 5일(조성 후 95일)에 초종혼합비율에 따른 개체수 및 총직립 경수를 조사한 결과, KB100:PR0, KB80 :PR20, KB70:PR30, KB50:PR50, PR100:KB0 처리구의 $1m^2$ 당 개체 수는 각각 16,600개, 6,700개, 4,900개, 3,300개, 12,400개였으며 총직립경 수는 각각 33,200개, 22,800개, 18,000개, 15,000개, 62,000개였다. 개체 수는 KB100:PR0처리구가 가장 높았고, 다음은 PR100:KB0처리구였으며 혼합처리구의 경우는 Kentucky bluegrass 혼합비 율이 높을수록 높았다. 총직립경 수는 PR100:KB0 처리구가 KB100:PR0 처리구보다 오히려 높았으며 혼합 처리구의 경우는 개체수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혼합처리구의 경우 초종별 개체수의 비율은 KB80:PR20는 87:13, KB70:PR30는 78:22, KB50:PR50은 48:52의 비율로 나타났다. 조성시기의 기상과 피복율과의 상관관계 2001년 가을과 2002년 봄의 일일평균기온을 비교하여 보면 가을(9월, 10월, 11월) 3개월간의 일일평균기온은 $13.0^{\circ}C$였으며, 봄(4월, 5월, 6월) 3개월간의 일일평균기온은 $17.3^{\circ}C$로 봄철이 가을철 보다 $4.5^{\circ}C$ 높게 나타났다. 조성시기에 따른 한지형 잔디의 피복율 결과에서 봄철이 가을철보다 조성속도가 빠른 것은 일일평균 기온이 피복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중의 하나로 작용하였다. 2001년 가을과 2002년 봄의 일조시간을 비교하여 보면 가을(9월, 10월, 11월) 3개월간의 평균일조시간은 277시간 이였으며, 봄(4월, 5월, 6월) 3개월간은 301.2시간으로 봄철의 일조시간이 가을철보다 월 94.2시간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봄철, 가을철의 강수량은 봄철이 95mm/월, 가을철이 27.3mm/월로 봄철이 가을철보다 약 3배정도 높게 나타났으나 강수량이 많은 봄철에 잔디피복율이 높은 점으로 보아 강수량이 많을수록 잔디생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는 어렵다.

축구경기장 토양의 물리적 특성과 잔디 마모특성 - 2002년 월드컵 인천경기장 모형돔을 대상으로 - (Physical Properties of Soil and Turfgrass Wear Characteristics of Soccer Fields - A Simulation of the Inchon 2002 World Cup Stadium -)

  • 심상렬;정대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6-104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hysical properties of soil and turfgrass wear characteristics within turfgrasses inside or outside the stadium A 1/1000 scale model Inchon world cup soccer d[me was constructed for this test. Turfgrasses planted inside and outside the model dome were; Kentucky bluegrass(KB), Kentucky bluegrass + perennial ryegrass mixture (KB+PR), Kentucky bluegrass + tall fescue + perennial ryegrass mixture (KB+TF+PR), Zoysia japonica 'Anyangjungzii'(ZA) and Zoysia japonica 'Zenith\`(ZZ). The rootzone was constructed by the multi-layer method (United States Golf Association method). Traffic on turfgrasses was treated with a 120kg roller. Surface soil hardness, soil penetration and water infiltration values on cool-season grasses(KB, KB+PR, KB+TF+PR) was found to be better for soccer play compared to zoysiagrasses(ZA, ZZ). No big differences in surface soil hardness, soil penetration and water infiltration values were found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the model dome. Wear damage on cool-season grasses caused by the traffic treatment was low compared to zoysiagrasse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wear damage by the traffic treatment within cool-season grasses while wear damage on ZA was higher than on ZZ within zoysiagrasses. It could be concluded that physical properties and wear characteristics on cool-season grasses were much better for soccer play than on zoysiagrasses.

사면(斜面) 녹화용(綠化用) 외래초종(外來草種)의 혼파조합(混播組合)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Mixed-Seeding Rates of Exotic Grasses for Slope Revegetation Measures)

  • 전기성;우보명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02-109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growth characteristic of mixed-seeding in the grasses for slope revegetation measures. Seeding treatment with six combination types of five grasses used for this experiment such as orchardgrass(Dactylis glomerata 'Potomac'), perennial ryegrass(Lolium perenne 'Manhattan'), tall fescue(Festuca arundinacea 'Jaguar'), kentucky bluegrass(Poa pratensis 'Majestic') and weeping lovegrass(Eragrostis curvula). The growth of orchardgrass, perennial ryegrass and tall fescue were good on mixed-seeding condition in case of number of individuals, heights and coverages at this experiment. These plants will useful for revegetation measures mixed-seeding, but weeping love grass and kentucky bluegrass did not show a desirable growth in mixed-seeding condition, and these plant prefered mixed seeding to single seeding. Regeneration percents of orchardgrass, perennial ryegrass and tall fescue were higher than that of weeping love grass and kentucky bluegrass, and coverage kept on good condition through one year after seeding, therefore, these plants will effective for initial stage revegetation measures.

  • PDF

Impacts of Phosphorus on Lignification and Carbohydrate Metabolism in Relation to Drought Stress Tolerance in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L.)

  • Kim, Dae-Hyun;Lee, Bok-Rye;Park, Sang-Hyun;Kim, Tae-Hwan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20-126
    • /
    • 202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effects of phosphorus on lignification and carbohydrate metabolism in Kentucky bluegrass under drought stress. Drought stress was induced by reducing of water to plants in pots. Two types of phosphorus were applied as potassium phosphate (PO43-; P) or potassium phosphonate (PO33-; PA) in drought-stressed plants. Drought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plant growth, as revealed by reduced biomass of shoot. Drought-induced increase of lignin content was concomitant with the increase of phenylalanine ammonia-lyase (PAL). Soluble sugar content was highly increased but fructan content was largely decreased by drought stress. However, the application of phosphorus was efficient to ameliorate the adverse effects of drought. PA application improved reduced shoot growth and relative water content, and inhibited lignification synthesis with a reduction of PAL activity. P or PA application maintained soluble sugar and fructan content at similar levels to controls under drought stres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hosphorus application may mitigate the drought stress by inhibiting the lignification and promoting the fructan assimilation.

엽록소형광을 이용한 하절기 동안 한지형 잔디 3종의 활력도 비교 분석 (Comparion of Vitality among Three Cool-Season Turfgrasses during Summer using Chlorophyll Fluorescence)

  • 고석찬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4-44
    • /
    • 2021
  •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골프 코스에서 하절기 고온기간에 온도의 상승을 비롯한 다양한 환경변화로 인하여 생육 장애가 심한 한지형 잔디인 perennial ryegrass (Lolium perenne L.),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L.), creeping bentgrass (Agrostis palustris Huds.) 3종에 대하여 엽록소형광과 엽록소지수를 측정하여 골프 코스와 스포츠 필드에서 잔디 선정과 관리를 위한 기본적인 정보를 얻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Fo 값은 3종 모두 하절기 초기에는 낮고 후기에 다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perennial ryegrass의 경우는 하절기 초기와 후기 간의 Fo 값의 변화가 컸으며, 특히, 후기에 Fo 값은 다른 2종 월등하게 보다 높았다. Fm 값은 3종 모두 하절기 초기에는 낮고 하절기 후기에 증가하였으나 3종 간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광계 II의 광화학적 효율의 척도인 Fv/Fm 값은 3종 모두에서 하절기 초기에 낮고, 후기에 다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하절기 후기에 Kentucky bluegrass와 creeping bentgrass는 perennial ryegrass에 비해 Fv/Fm 값이 다소 높아 하절기 고온에서도 보다 더 잘 적응하는 것으로 보인다. 엽록소지수는 perennial ryegrass와 Kentucky bluegrass에서는 뚜렷하게 하절기 초기에는 낮고 후기에 높은 양상을 보였으나, creeping bentgrass는 조사기간 내내 낮은 상태를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Kentucky bluegrass가 하절기 후기의 고온이나 빈번한 강우에 의한 습한 조건에 가장 강하고, perennial ryegrass가 가장 취약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차광정도가 혼파초지의 생산량, 품질 및 식생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ading Degrees on Grass Production, Forage Quality and Botanical Composition of Grass-Clover Mixtures)

  • 김병완;성경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45-252
    • /
    • 2009
  • 최근들어, 친환경 축산이 중요하게 대두대면서 Silvopastrol system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오고 있다. 초지가 나무와 공존하기 위해선 비음에 강한 목초육종과 혼파조합을 선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준 고랭지 지역에서 차광정도에 따른 목초 혼파조합의 식생변화를 살펴보고 생산량과 품질을 조사하여 비음조건에 가장 적합한 목초의 혼파조합을 선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차광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모든 혼파조합의 목초수량이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차광수준이 50와 75%에선 급격히 감소하였다. 혼파초지의 조단백질 함량은 차광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같은 차광수준에서 혼파조합의 조단백질 차이는 관측되지 않았다. NDF 및 ADF 함량은 무차광에 비해 차광구에서 낮은 결과가 나타났으며, 차광수준별로는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비음도가 높아짐에 따라 1번 혼파조합 (orchardgass+tall fescue+Kentucky bluegrass+ladino clover+perennial ryegass+timothy)이 가장 낮은 NDF 및 ADF 함량을 나타냈으며, 이 결과는 차광수준이 75%에서 특히 현저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비음정도가 높은 산림에 임간초지를 조성할 땐 orchardgrass를 주초종으로 하고 tall fescue, Kentucky bluegrass, ladino clover, perennial ryegrass, timothy 혼파하여 조성하고, 비음정도가 낮은 곳에서는 orchardgrass를 주초종으로 Kentucky bluegrass, ladino clover, timothy를 각각 혼합하여 조성하여 관리하면 산림자원과 함께 초자원이 공존하는 친환경 축산의 길이 모색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성분이 추가된 SCB저농도액비가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Developed SCB Liquid Fertilizer on the Growth of Kentucky Bluegrass)

  • 함선규;김영선;임혜정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3-78
    • /
    • 2011
  • 본 연구는 SCB 저농도액비에 질소, 인산, 칼륨 성분을 첨가한 개량SCB액비(DSCB)의 시비에 따른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처리구는 비료의 종류와 시비량에 따라 무처리구(NF), 화학비료를 시비한 대조구(CF), 유안으로 질소성분을 보정한 DSCB를 80% 시비한 처리구 1(DSCB-A1), 유안으로 질소성분을 보정한 DSCB를 100% 시비한 처리구 2(DSCB-A2), 요소로 질소성분을 보정한 DSCB처리구(DSCB-U) 그리고 대조구에 SCB를 시비한 처리구(CF+SCB)로 설정하였고, 각 처리구는 난괴법,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엽색지수, 엽록소지수, 건물중 및 잔디의 양분함유량을 조사하였다. 시험 전후 토양분석결과, 처리구에 따른 토양화학성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아 DSCB와 SCB의 시비가 골프코스의 토양화학성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엽색지수와 엽록소지수를 조사한 결과, NF보다 각각 1~2%와 19~24% 증가하였고, CF와는 비슷하였다. CF와 비교할 때, 잔디생육량은 CF와 비교할 때, DSCB-A1와 DSCB-A2는 CF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DSCB-U와 CF+SCB는 각각 36%와 10% 증가하여 DSCB-U와 SCB처리에 의해 잔디생육량이 증가하였다. 잔디품질과 잔디생육이 가장 우수한 처리구는 DSCB-U였고, 시비효율이 가장 우수한 처리구는 DSCB-A1이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켄터키블루그래스에서 DSCB의 시비는 화학비료와 비슷하거나 양질의 잔디품질을 보여 골프코스관리에서 DSCB가 화학비료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골프코스의 이종잔디 조성과 혼입 현황 (Composition and Invading Problem of Interspecies Turfgrass on Golf Course)

  • 최대홍;박남일;최성환;박기웅;김진우;곽연식;이증주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74-179
    • /
    • 2012
  • 한국잔디로 조성된 국내 골프코스에서 한지형잔디의 사용증가로 이종잔디의 혼입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50곳의 골프코스들을 조사하여 이종잔디 식재와 혼입 현황을 파악하였다. 조사한 골프코스들 중에서 이종잔디가 1 종류 이상 혼입된 곳은 47곳으로 나타났으므로, 이종잔디의 혼입 문제는 전국 거의 모든 골프코스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종잔디의 혼입은 한국잔디에서 크리핑벤트그래스와 켄터키블루그래스의 혼입 가능성이 있는 37곳 중 각각 25곳과 33곳, 켄터키블루그래스에서 크리핑벤트그래스의 혼입 가능성이 있는 47곳 중 43곳에서 발생하였다. 한편, 이종잔디의 혼입(한국잔디에 크리핑벤트그래스의 혼입, 한국잔디에 켄터키블루그래스의 혼입, 또는 켄터키블루그래스에 크리핑벤트그래스의 혼입)이 발생한 골프클럽 중 한 종류의 혼입이 나타난 곳은 14곳, 두 종류가 나타난 곳은 12곳, 세 종류 모두가 나타난 곳은 21곳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