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Kcal

Search Result 2,50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nti-Obesity Effect of Krill Oil by Regulation of Adipokines in High Fat Diet-Induced Mouse Model (고지방식이 동물모델에서 크릴오일의 아디포카인 조절을 통한 항비만 효과)

  • Kim, Ji Hyun;He, Mei Tong;Seo, Hyo Jeong;Lee, Dongjun;Cho, Eun Ju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11
    • /
    • pp.201-208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anti-obesity effect of krill oil (KO) by regulating adipokines in a high-fat diet (HFD)-induced obese mouse model. The mice were fed a 60 kcal% HFD for 16 weeks, and KO was then administered at an oral dose of 100, 200, and 500 mg/kg/day for four weeks before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administration of KO at concentrations of 200 and 500 mg/kg/day decreased body weight gain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e HFD-fed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HFD-fed control group showed the abnormal release of adipokines by an increase in leptin and decrease in adiponectin, compared to the normal diet-fed normal group. On the other hand, KO (500 mg/kg/day)-administered group attenuated the abnormal release of adipokines by the down-regulation of leptin and the up-regulation of adiponectin. Therefore, KO could be a promising therapeutic agent for obesity by the regulation of adipokines.

Study on Crude Oil Productions and its practice with Rice hull As Treated in Various Supercritical Solvents on Application of Liquefaction Technology (Liquefaction technology 적용 시 왕겨를 이용한 Crude oil 생산 및 적용 연구)

  • Shin, JoungDu;Baek, Yi;Hong, Seung-Gil;Kwon, Soon-Ik;Park, Woo-Kyun;Park, SangWon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18 no.1
    • /
    • pp.110-118
    • /
    • 2010
  • Supercritical treatment of liquefaction technology for rice hull was investigated the biomass conversion rate and evaluated its crude oil in respect to feasibility of burner in order to heat the green house. The reaction was carried out in a 5,000 mL liquefaction system with dispenser and external electrical furnace. Raw materials (160 g) of rice hull and 3,000 mL of different solvents were fed into the reactor. It was observed that the maximum crude oil yield was about 84.4 % with 1-butanol. The calorific value of crude oil from ethanol solvent were 7,752 kcal/kg. Furthermore, in case study of co-solvent with ethanol and bulk-glycerol, it observed that more than 80 % of rice hull was decomposed and liquefied in its solvent at $315{\sim}326^{\circ}C$ for 30 min. For the development of applicable bio-fuel from rice hull, it was considered that its feasibility is necessary to be carried out for co-solvent soluble portions. Regarding to utilize the crude oil into burner as fuel, it was observed that its calorific value was lower at approximately 24 % than the diesel. Also, flame length from crude oil at lower temperature was decreasing due to incomplete incineration. The temperature of warm wind on the burner was maintained between 63 and $65^{\circ}C$, and the temperature of emission line was appeared at $350{\sim}380^{\circ}C$.

Experimental Study on Gasification Characteristic by Using Liquefied Gas Vaporizer with Various Shape (다양한 형상을 갖는 액화가스용 기화기의 기화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Lee, Y.H.;Eldwin, D;Chung, H.S.;Jeong, H.M.
    •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 /
    • v.11 no.2
    • /
    • pp.5-11
    • /
    • 2007
  • 액화천연가스(LNG : Liquified Natural Gas)는 연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기화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기화하는 방식에는 해수에 의한 기화와 공기에 의한 기화의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뉘게 된다. 해수에 의한 기화는 LNG 인수기지에서 대량의 LNG를 NG로 기화하기 위하여 사용하며, 공기에 의한 기화는 LNG 위성기지에서 사용처에 적합한 온도를 얻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공기식 기화기를 이용하여 기화를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LNG가 NG로 기화하는 과정에서 1kg당 200kcal의 냉열을 외부로 방출하고 있으며, 이러한 냉열의 방출로 인하여 공기식 기화기의 표면에 결빙현상을 발생시킨다. 또한 현재 사용하고 있는 기화기는 $2{\sim}3$개의 기화기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어 그 비용의 손실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최근 사용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공기식 기화기에 관한 것으로 작동유체는 실제 LNG와 특성이 비슷한 초저온 액화가스인 $LN_2$를 사용하였다. 이번 연구에 사용된 변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각의 기화기의 길이를 4000mm, 6000mm, 8000mm으로 하였고 핀의 type을 finless, 4fin, 8fin으로 하여 적용하였다. 두 번째는 봄, 여름, 가을, 겨울철에 따른 기화기의 성능을 알고자 각각의 계절별 온도와 습도를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계절별 풍속과 실험을 하는 시간 동안의 유량을 알고자 압력을 1 bar로 적용하였다. 그리하여 이번 연구의 목적으로는 각각의 변수를 통하여 실험을 진행 한 후 vaporizer type과 길이에 대한 최적의 성능을 가지는 기화기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기성분은 균주에 따른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경향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알코올 발효 균주에 따른 참다래 와인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고급알코올함량을 비교하였을 때 Sacch. cerevisiae Wine 3이 와인제조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b값은 CSB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물성측정 결과 경도와 응집성은 각 시료들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탄력성과 부서짐성은 CSB가 가장 낮았으며,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점착성은 SDB1이 가장 낮았으며,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기공의 균일성은 SDB1이 가장 균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색은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경도, 탄력성, 단맛 및 신맛 등은 홍국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취는 SDB1이 가장 적게 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기호도는 SDB1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홍국을 10% 첨가한 sourdough starter를 3일 동안 발효한 후 반죽에 첨가하여 sourdough bread를 제조할 때 품질이 가장 우수한 제품을 얻을 수 있었다.생수와 여러 물질의 혼합용액의 온도가 장에 끼치는 자극에 차이가 있지 않나 추측되며 이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총대장통과시간의 단축은 결장 분절 모두에서 줄어들어 나타났으나 좌측결장 통과시간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이 부위의 통과시간 비율의 저하가 가장 주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차가운 생수 섭취가 주로 결장 근위부를 자극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닌가

  • PDF

Process Kinetics of Nisin Production in Batch and Continuous Culture (회분식 및 연속식 배양시 Nisin의 생산특성)

  • Yoo, Jin-Young;Park, Shin-Yang;Jin, Young-Ok;Koo, Young-Jo;Chung, Kun-Sub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17 no.5
    • /
    • pp.504-509
    • /
    • 1989
  • Fermentation condition of Streptococcus lactis IFO 12007 for nisin production was examined. The optimal glucose concentration was 60g/ι. The pH and temperature optimum were 6.5 and 31$^{\circ}C$, respectively. The maximum nisin activity in batch culture was 2000IU/$m\ell$. The fermentation quotients after 7 hours of fermentation in batch culture were; specific glucose uptake rate:0.59g/g/h , specific nisin productivity: 34924IU/g/h, product yield: 5944IU/g, growth yield:0.24, biomass:4.81g/ι. The specific growth rate was affected by pH and temperature and the activation energy for growth was 1.35kcal/mole. pH control was essential for nisin production. Fed-batch culture using 20g/$\ell$ glucose medium produced 1420IU/$m\ell$ after 14 hours. The continuous culture could be operated at below 0.38h$^{-1}$ for nisin production. The steady state nisin concentration and specific nisin productivity were 740IU/$m\ell$ and 45000IU/g/h. The growth yield and maintenance energy were 0.144 and 207mg glucose/g-cell/h.

  • PDF

Ethylenediamine Complex for Stabilization of Omeprazole (오메프라졸의 안정화를 위한 에칠렌디아민 복합체 개발)

  • Oh, Sea-Jong;Kim, Eun-Young;Kim, Kil-Soo;Kim, Yuon-Jeung;Lee, Gye-Ju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v.25 no.1
    • /
    • pp.9-17
    • /
    • 1995
  • To stabilize omeprazole(OMP), ethylenediamine(ED) complex of omeprazole(OMPED) was prepared by reaction between OMP and ED in methanol, and the complex formation was confirmed by the instrumental analysis, i.e., IR, DSC, EA, NMR, MS and XRD. The rates of decomposition of OMP and OMPED in aqueous solution and the shelf lives at standard temperature were measured by accelerated stability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ole ratio of OMP and ED in OMPED complex is 1:1, the energy of formation within OMPED might be combined between polar imidazole group of OMP with induced a dipole amine group in the readily polarizable ED molecule. At standard temperature the degradation rate constant of OMP in aqueous solution is $2.540{\times}10^{-2}\;hr^{-1}$ and the shelf life is 4.15 hrs, and in the case of OMPED the degradation rate constant is $7.986{\times}10^{-4}\;hr^{-1}$ and the shelf life is 131.96 hrs. So, the OMPED has about 31 times longer shelf life than OMP. The activation energy of OMP and OMPED are 5.23 and 18.55 kcal $mole^{-1}$ respectively. The stability of OMP is dependent chiefly on pH in the solutions and it decomposes readily in acidic medium by hydrogen ion catalized reaction but becomes stable beyond pH 9.0. In case of the ED-complex, OMPED is stable in neutral as well as in dilute acidic solutions even in pH 6, OMPED is very stable to light(UV), that is, the rate constant and shelf life of OMP are $k=1.0188{\times}10^{-2}\;day^{-1}$, $T_{90%}=4.5 \;days$, on the other hand, the those of OMPED are $k=7.138{\times}10^{-4}\;day^{-1}$, $T_{90%}=64.1\;days$, respectively.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thought that new dosage forms could be developed by using the OMPED as a potential OMP complex.

  • PDF

Development of Decompressed Dryer for Mushroom (버섯의 감압건조기 개발)

  • 김영민;김유호;조영길;최희석;조광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7a
    • /
    • pp.267-27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버섯의 건조시간을 줄여 건조 후 버섯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버섯의 감압건조기를 개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버섯의 감압건조기의 시작기를 제작하였고, 시작기의 구조는 건조실, 감압블로워, 흡ㆍ배기구 솔레노이드 밸브, 제습장치, 송풍기, 전기히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건조실의 내부 압력이 표준대기압-900hPa, 열풍온도는 상온에서 5$0^{\circ}C$까지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나. 시작기를 이용하여 표고버섯을 대상으로 건조특성시험을 실시한 결과, 열풍온도 5$0^{\circ}C$, 건조실 내부압력 900-940hPa에서 건조시간은 11.5h으로 대기압과 비교하여 6.5h 단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조 전ㆍ후의 색차, 수축률, 복원률의 품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F-test 유의성 검증 결과, 5%의 유의수준에서 갓주름의 색차, 갓직경의 수축률, 복원률에서 유의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 열풍온도 5$0^{\circ}C$, 건조실 내부압력 900-940hPa로 표고버섯과 아가리쿠스에 대하여 건조성능시험을 실시한 결과, 표고버섯의 경우 건조시간은 13h으로 열풍식 농산물 건조기와 비교하여 건조시간이 4.5h 단축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가리쿠스의 경우 건조시간이 17.5h로 나타났다. 라. 성능시험 결과, 시작기가 열풍식 농산물건조기와 비교하여 건감률, 색택, 수축률, 복원률 등의 품위가 전반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 시작기의 건조비용을 분석한 결과, 건조시간은 단축되었지만 시설투자비가 높아 건조비용이 표고버섯의 경우 2,461원/kg으로 열풍식 농산물건조기 보다 13%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추후 고품질 건조버섯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라갈수록 낮은 온도분포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상부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면서 온도가 떨어지는 반면 하부에는 외부공기 유입이 적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열풍실의 길이방향 위치별 온도 분포에서도 같은 현상으로 나타났고, 버너쪽과 송풍기쪽의 온도편차는 나타나지 않아 균일 건조를 기대할 수 있다. 마. 열풍온도를 45$^{\circ}C$로 설정하고 조사거리와 방사체 길이를 각각 119, 1,470mm로 하여 벼의 건조성능시험을 열풍건조기(대비구)와 비교시험 결과 시험구에서 건감률, 건조소요에너지가 각각 0.58%(w.b.), 470kcal/kg - water로 대비구보다 각각 건감율은 23% 높았고, 건조소요에너지는 2%의 절감되었다. 바. 건조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버너쪽 근처에서는 대비구 94.12㏈의 87%에 불과하였으나, 거리가 멀어질수록 차이는 크지 않았다. 이것은 버너에서 멀어질수록 외부적인 요인이 소음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사. 시작기와 대비구간의 경제성에서 시작기의 구입가격이 20% 비싸기 때문에 시간당 고정비가 높았으나, 건조성능이 우수하여 건조비용이 69,350원/톤으로 대비구보다 14%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된다.정량 분석한 결과이다. 시편의 조성은 33.6 at% U, 66.4 at% O의 결과를 얻었다. 산화물 핵연료의 표면 관찰 및 정량 분석 시험시 시편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증착시키지 않고, Silver Paint 에 시편을 접착하는 방법으로도 만족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째, 회복기 중에 일어나는 입자들의 유입은 자기폭풍의 지속시간을 연장시키는 경향을 보이며 큰 자기폭풍일수록 현저했다. 주상에서 관측된 이러한 특성은 서브스톰 확장기 활동이 자기폭풍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se that were all

  • PDF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ar Infrared Ray Drying for Rough Rice(III) - Performance test of far infrared ray dryer - (벼의 원적외선 건조특성에 관한 연구(III) 원적외선 건조기 성능시험)

  • 김유호;조영길;조광환;이선호;김영민;한충수;금동혁;한종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7a
    • /
    • pp.213-21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개념의 건조방법을 연구하여 곡물건조의 변화를 도모하고자 원적외선ㆍ열풍 복합열을 이용한 곡물건조기를 개발하게 되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방사체길이가 1,680mm일 때 보다 1,470mm일 때가 방사체 표면온도가 높게 나타났고,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열풍온도를 5$0^{\circ}C$로 설정했을 때 방사체의 표면온도분포는 280-29$0^{\circ}C$을 유지하였고, 6$0^{\circ}C$일 때는 30$0^{\circ}C$ 부근에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조건 모두에서 온도편차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균일 건조가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곡물의 품질저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나. 열풍온도 5$0^{\circ}C$, 조사거리 125mm, 방사체 길이 1,470mm에서 방사체 길이방향으로 위치에 따라서 온도편차를 측정했을 때 버너를 기점으로 해서 근거리에서부터 원거리까지 균등 분할하여 5점의 온도를 측정하여 그 변화곡선을 분석한 결과 위치 3에서 온도가 높았고, 계속해서 위치 4, 5, 2, 1순으로 나타났다. 버너의 근거리에서보다 원거리에서 온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원적외선방사체를 통과하는 열풍이 빠져나가도록 되어있는 열풍유동관이 버너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어 버너에 불꽃이 점화되면서 열풍이 방사체 끝쪽으로 유동되기 때문이다. 다. 건조실 수직면 길이방향의 온도는 열풍공기가 열풍실에서 유입되는 하단부이 온도가 높게 나타났고, 버너쪽과 송풍기쪽의 온도차는 나타나지 않아 온도분포의 좌우 대칭이 잘 되어 균일 건조가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현상은 건조실의 수평면에 대해서도 같은 현상이 나타났다. 라. 바닥면에서 상부로 올라갈수록 낮은 온도분포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상부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면서 온도가 떨어지는 반면 하부에는 외부공기 유입이 적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열풍실의 길이방향 위치별 온도 분포에서도 같은 현상으로 나타났고, 버너쪽과 송풍기쪽의 온도편차는 나타나지 않아 균일 건조를 기대할 수 있다. 마. 열풍온도를 45$^{\circ}C$로 설정하고 조사거리와 방사체 길이를 각각 119, 1,470mm로 하여 벼의 건조성능시험을 열풍건조기(대비구)와 비교시험 결과 시험구에서 건감률, 건조소요에너지가 각각 0.58%(w.b.), 470kcal/kg - water로 대비구보다 각각 건감율은 23% 높았고, 건조소요에너지는 2%의 절감되었다. 바. 건조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버너쪽 근처에서는 대비구 94.12㏈의 87%에 불과하였으나, 거리가 멀어질수록 차이는 크지 않았다. 이것은 버너에서 멀어질수록 외부적인 요인이 소음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사. 시작기와 대비구간의 경제성에서 시작기의 구입가격이 20% 비싸기 때문에 시간당 고정비가 높았으나, 건조성능이 우수하여 건조비용이 69,350원/톤으로 대비구보다 14%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Feed Intake Patterns and Growth Performance of Purebred and Crossbred Meishan and Yorkshire Pigs

  • Hyun, Y.;Wolter, B.F.;Ellis,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v.14 no.6
    • /
    • pp.837-843
    • /
    • 2001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feed intake patterns and growth performance of Meishan and Yorkshire growing pigs. Experiment 1 was carried out over a 6-wk period and used 48 barrows with equal numbers of purebred Meishan (M) and Yorkshire (Y). Pigs were allocated to four groups of 12 pigs consisting of equal numbers of M and Y. Initial BW were $36.4{\pm}0.32kg$ and $42.1{\pm}1.41kg$ for M and Y, respectively. Experiment 2 was carried out over a 5-week period and used 48 pigs consisting of equal numbers of both barrows and gilts and of crossbred Meishan$\times$Yorkshire (MY) and purebred Yorkshire (Y) animals. Pigs were allotted to 6 pens of 8 pigs, with 4 single- and 2 mixed-genotype groups (initial $BW=28.5{\pm}0.99kg$). In both experiments, pigs were given ad libitum access to a grower diet (17% crude protein, 0.9% lysine, 3365 kcal/kg ME) via feed intake recording equipment (F.I.R.E.). Pigs carried an ear-tag transponder with an unique identification which allowed the time, duration, and size of individual meals to be recorded. In Exp. 1, Y had higher ADG (721 vs 353 g, p<0.01), daily feed intake (DFI; 2.338 vs 1.363 kg, p<0.01), made more frequent visits to the feeder per day (NFV; 18.5 vs 7.7, p<0.01), had a shorter feeder occupation time per visit (FOV; 7.4 vs 12.9 min, p<0.01), and ate less feed per visit (FIV; 130 vs 177 g, p<0.01) than M pigs. Feed consumption rates (CR) were greater for Y compared to M (19.3 vs 14.8 g/min, p<0.01). Feeder occupation time per day (FOD) was longer for Y than M (114.3 vs 82.8 min/pig, p<0.01). Yorkshire pigs visited the feeder more frequently between 0800 and 1100 h. Meishan pigs showed more frequent feeder visits between 0600 and 0800 h, and between 1600 and 2100 h when feeding competition with Y was reduced. In Exp. 2, there was no effect of genotype or group composition on DFI, ADG or gain:feed ratio. Crossbred pigs (MY) made fewer feeder visits (12.6 vs 17.7, p<0.01), and had greater FIV (124 vs 98 g/visit, p<0.01), and longer FOV (8.11 vs 7.24 min/visit, p<0.01) and FOD (112 vs 100 min, p<0.05) than Y pigs.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substantial genetic variation in feeding patterns as well as in growth performance.

Growth Performance of Early Finishing Gilts as Affected by Different Net Energy Concentrations in Diets

  • Lee, Gang Il;Kim, Kwang-Sik;Kim, Jong Hyuk;Kil, Dong Y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v.28 no.11
    • /
    • pp.1614-1623
    • /
    • 2015
  • The objectives of the current experiment were to study the response of the growth performance of early finishing gilts to different net energy (NE) concentrations in diets, and to compare the NE values of diets between calculated NE values and measured NE values using French and Dutch CVB (Centraal Veevoederbureau; Central Bureau for Livestock Feeding) NE systems. In a metabolism trail, the NE concentrations in five diets used for the growth trial were determined based on digestible nutrient concentrations, digestible energy, and metabolizable energy using a replicated $5{\times}5$ Latin square design with 10 barrows (initial body weight [BW], $39.2{\pm}2.2kg$). In a growth trial, a total of 60 early finishing gilts (Landrace${\times}$Yorkshire; initial BW, $47.7{\pm}3.5kg$) were allotted to five dietary treatments of 8.0, 9.0, 10.0, 11.0, and 12.0 MJ NE/kg (calculated, as-is basis) with 12 replicate pens and one pig per pen in a 42-d feeding experiment. The NE and amino acid (AA) concentrations in all diets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values from NRC (2012). Ratios between standardized ileal digestible AA and NE concentrations in all diets were closely maintained. Pigs were allowed ad libitum access to feed and water. Results indicated that calculated NE concentrations in diets (i.e., five dietary treatments) were close to measured NE concentrations using French NE system in diets. The final BW was increased (linear and quadratic, p<0.05) with increasing NE concentrations in diets. Furthermore, average daily gain (ADG) was increased (linear and quadratic, p<0.01) with increasing NE concentrations in diets. There was a quadratic relationship (p<0.01) between average daily feed intake and NE concentrations in diets. Feed efficiency (G:F) was also increased (linear, p<0.01) as NE concentrations in diets were increased. The NE intake per BW gain (kcal NE/kg of BWG) was increased (linear, p<0.01) with increasing NE concentrations in diets that were predicted from both French and Dutch CVB NE systems. Linear regression indicated that predictability of daily NE intake from the BW of pigs was very low for both French ($R^2$, 0.366) and Dutch CVB ($R^2$, 0.374) NE systems. In conclusion, increasing NE concentrations in diets increase BW, ADG, G:F, and NE intake per BW gain of early finishing gilts. The BW of early finishing gilts is not a good sole variable for the prediction of daily NE intake.

Nutrient Digestibilities and Fecal Characteristics of Diets Including Brown Rice for Miniature Poodle (Miniature Poodle에 있어서 현미 함유사료의 영양소 소화율 및 배설 분 특성)

  • Hong, Kyung-Hee;Oh, Young Kyoon;Lee, Sang-Rak;So, Kyoung-Min;Moon, Sang Ho;Park, Chang-Seok;Lee, Kyung-Won;Kim, Kyoung Hoo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54 no.5
    • /
    • pp.349-354
    • /
    • 2012
  • In this experiment, two inclusion levels (15 and 30% of diets, as-fed basis) of brown rice (BR) were tested against a control diet with 0% BR (51% wheat flour of diet). Six female Miniature Poodles (8~9 months age, initial mean body weight of 3.5 kg) were assigned to treatments in replicated $3{\times}3$ Latin square design. Total tract digestibilities of DM, OM, CP, acid hydrolyzed fat and gross energy increased linearly (P<0.05), and observed digestible energy and metabolizable energy values also increased linearly (P<0.001 and P=0.007, respectively) with increasing BR inclusion levels. Wet and dry fecal output decreased linearly (P=0.001) with increasing BR inclusion levels in the diets. Linear (P<0.05) effects was observed in fecal score for dogs fed BR and fecal ammonia concentration increased linearly (P<0.05) in response to increasing BR inclusion level. It seems that the increase in fecal ammonia concentration may be partially related to the decrease in short-chain fatty acid concentration (P<0.01). This study clearly demonstrates that BR improves nutrients digestibility and fecal characteristics of do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