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apa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1초

하와이 전통 카파(Kapa)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ditional Kapa(Bark cloth) of Hawai'i)

  • 서미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16권2호
    • /
    • pp.319-33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apa, the traditional bark cloth of Hawaii, including materials, method of manufacture, and colors and patterns, and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Kapa to identify traditional culture of Hawaii as well as the unique culture of cloth of Hawaii in tropical area. The method of study is qualitative research using documentary records about Kapa. The cultivated Wauke proved to be the best material for bark cloth in Hawaii. The manufacture of Kapa was made by beating divided into two stages. The dyes for coloring were very different due to the existence of various plants. Indigenous Hawaiians showed the unique textures like grooving and watermarks, and the various designs in their Kapa. The characteristics of Hawaiian Kapa appear the symbol of some colors, the preference of geometrical patterns, the various uses of Kapa, and perfumed Kapa. Through these characteristics of Hawaiian Kapa, the traditional culture of indigenous Hawaiian can be understood very well. This study will help people understand indigenous bark cloth of tropical areas including Hawaii.

  • PDF

하와이 목질의복(木質衣服)(Bark Cloth) KAPA에 대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Hawaiian Bark Cloth Kapa)

  • 박민녀
    • 복식
    • /
    • 제17권
    • /
    • pp.137-148
    • /
    • 1991
  • The use of bark cloth, made of the inner bark of certain trees, was widespread along tropical zones from the Africa to the Hawaii encompassing the globe. They include Malaysia, Indonesia, New Guinea, Polynesian Islands and South America. Among them the Hawaiian bark cloth, named Kapa(pronounced as tapa) was rated as the best quality and most admired. It has variety in designs and colors as well as the most sophistcated production methods. The distinct processes of kapa making are composed of two stages. The first is called first beating and it is a preparatory stage to beat the sea-water soaked bast. It was done with a round beater on a stone anvil. The second beating process was carried out with the squared beater and wooden anvil. The strips from the first beating was soaked again in the water and then beaten lightly to break up fibers. The craftmen laid a bundle of strips over the anvil and beat it into pieces of kapa. The second beater of Hawaii was the most characteristic one among bark cloth producing countries. On their surfaces were the engraved patterns, which were creation of theirs. These distinguished designs enabled them to produce the kapa with the thinner and finer texture and an elaboration of impressed designs known as "watermaks". The Hawaiian culture was self-sufficient one : Everything they used was of their own creation until 19th century. Among their inventions of printing designs on kapa are three most important and distinguished processes. They are the overlaying, the cord snapping and the block printing techniques. Their inventiveness as well as self sufficient environment made it possible to develop their fine art of the kapa making. It is said that the mass producing and cheap western technology of loom forced them to gradually abandon their traditional art and as a result this fine and valuable legacy of Hawaiian traditional kapa making technique is all but disappeared. However it is encouraging and heart warming to find that some of the people as well as specialized researchers pined together to form a group to try to reproduce the old kapa and study the traditional art. They consider the kapa as an expression of the ethnic identity with Hawaii's heritage as well as valuable art of human history.

  • PDF

Knowledge Assisted Pricing Advisor for Large-scale Retailers: KAPA

  • Sung, Nahk-Hyun;Lee, Jae-Kyu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39
    • /
    • 1998
  •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large-scale retailers, who deal with tens of thousands of items, to price all the items dynamically reflecting all the constraints and policies. In spite of its importance, the prices are determined by human experts because the process of setting the prices of all the items is not established yet. To solve this problem, we adopt a mixed model that combines three typical pricing models: cost-plus model, competition-oriented model, and demand-oriented model. Since each model an be converted to a set of constraints in point and interval forms, solving the pricing problem with the three groups of models requires an algorithm which can solve the problem with weighted constraints of intervals and points. So we have devised an algorithm named “Point Determination Algorithm”. From the rules that represents tile models, the constraints are extracted to be solvable by tile Point Determination Algorithm. A prototype KAPA (Knowledge Assisted pricing Advisor) is developed with this idea using the expert system environment UNIK - a tool developed by KAIST. According to the experiment with 76 items in comparison with 53 human pricing experts we confirmed that the KAPA can perform highly consistent with human experts. This implies KAPA system is applicable to pricing millions of items dynamically.

  • PDF

생간건비탕(生肝健脾湯)이 HepG2 cell의 증식, 세포사멸 및 활성조절 신호전달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aengkankunbi-tang on Proliferation, Apoptosis and Cell Signaling Pathways of HepG2 Cells)

  • 김재용;김영철;이장훈;우홍정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49-165
    • /
    • 2006
  • Objectives: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effects of Saengkankunbi-tang on cell-viability, proliferation, cell-cycle, apoptosis and DNA replication on HepG2 cell and to find out by which molecular-biological mechanism by which Saengkankunbi-tang operates. Methods : The MTT assay, cell counting assay, [3H]-thymidine incorporation assay, flow cytometric analysis, tryphan blue exclusion assay, western blot analysis, quantative RT-PCR were taken. Results : Saengkankunbi-tang had no effect on proliferation, cell-cycle and DNA replications of HepG2 cells, while it improved cell viability and reduced apoptosis, and it activated Akt and NFKB. But, it did not produce an effect on cell viability and apoptosis when P13K/Akt pathway was blocked by LY294002 nor when $NF{\kapa}B$ activation was blocked by DN-$I{\kapa}B$.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s that Saengkankunbi-tang improves cell viability and reduces apoptosis of HepG2 cells, by activating $NF{\kapa}B$ through PI3K/Akt pathway.

  • PDF

천연 Naphthoquinone계 Juglone의 KAPAS 저해 및 제초활성 특성 (Herbicidal Activity and KAPAS Inhibition of Juglone with Potential as Natural Herbicide)

  • 최정섭;임희경;서보람;김진석;최춘환;김영섭;류시용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40-249
    • /
    • 2011
  • 식물 유래 naphthoquinone계 juglone의 신규 제초제 작용점 KAPAS에 대한 in vitro 및 in vivo에서의 활성 평가를 통해 천연물 유래 제초제로서의 가능을 검토하였다. Juglone은 농도의존적인 반응으로 KAPAS를 효과적으로 저해하였으며, 50% 저해농도는 $9.5{\mu}M$이었다. 바랭이(Digitaria sanquinalis)에 대한 경엽처리에서 juglone 125, 250, 500 및 $1000{\mu}g\;mL^{-1}$ 농도에서의 활성정도는 각각 70, 95, 100 및 100%이었다. 또한, 8종의 화본과 및 광엽잡초에 대한 juglone 2,000 및 $1000{\mu}g\;mL^{-1}$ 농도에서의 살초력은 완전하였으며(100%), $500{\mu}g\;mL^{-1}$에서도 90~100%이었다. Juglone을 처리했을 때 나타나는 주요 증상은 고사(desiccation) 또는화염상(burndown)이었다. Juglone 처리에 의한 전해물질 누출은 광조건에 관계없이 농도의존적으로 일어났으나, 엽록소 함량 감소 정도는 광조건에서도 경미한 수준이었으며, 암 조건에서는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 Juglone에 의해 억제되었던 애기장대 종자의 발아율은 biotin 공급에 의해 뚜렷하게 회복되었다. 이상의 실험에 결과에 의하면 천연 naphthoquinone계 juglone은 신규 제초제 작용점 KAPAS를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친환경적인 천연물 유래 제초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국내의 정보화 및 전자정부 연구동향 분석 (Research Trend and Analysis on the Issues of Informatization and E-Government in Korea)

  • 이혜원;명승환
    • 정보화정책
    • /
    • 제20권4호
    • /
    • pp.3-2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정보화 및 전자정부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한국행정학보, 한국정책학회보, 정보화정책 등 이상의 3개의 학회지에 게재된 학술논문과 학술대회 발표논문을 대상으로 문헌 연구와 메타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각각의 연구에서 나타나는 연구내용과 연구방법의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방법적인 측면에서 볼 때 정보화 및 전자정부에 대한 연구는 새로운 개념이나 이슈 등을 서술하고 분류하는 탐색적 연구에서 점차 새로운 모형 혹은 프레임워크를 이용하거나 개발하는 경험적 연구방법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양적 연구방법 보다는 사례연구 등의 질적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둘째, 연구내용적인 측면에서 볼 때 2000년도 초반에는 정보화 시스템과 거버넌스 관련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던 반면, 2000년도 후반으로 갈수록 정보화 서비스, 전자 민주주의, 시민참여, 정보격차, 후기 정보화 연구 등 학문의 독자성 추구 및 일반화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였다. 향후 이론개발, 담론형성, 융합학문 등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도할 학계의 노력이 필요하며, 정부3.0에 대한 명확한 개념정의와 이론적 토대를 제시할 시점이다.

  • PDF

뇌졸중 환자에 대한 기능적 보행평가의 신뢰도 (Reliability of the Functional Gait Assessment in Patients With Stroke)

  • 원종임;유경훈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4-73
    • /
    • 2011
  • After stroke, many people have problems with balance during movement. Balance is essential for the optimal functioning of the locomotor system and the performance of many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Functional Gait Assessment (FGA) is a clinical tool for evaluating balance ability during walking. The test consists of ten tasks, seven tasks of the Dynamic Gait Index and three additional task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internal consistency of data obtain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the FGA when used with people after suffering a stroke. One-hundred participants, at least three months poststroke and able to walk at least six meters with or without a walking aid, participated in the study (age range=30~83 years; $mean{\pm}SD=58.8{\pm}10.9$). Two physical therapists and two physical therapy students rated the FGA. Intrarater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FGA were assessed using kappa statistic and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2,1).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FGA was assessed using the Cronbach alpha. The Cronbach alpha was good (${\alpha}$=.86~.93). The intrarater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92~.95) and interrater reliability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91, .95) of the total scores administered by the therapists and students were good, whereas the reliability for single item scores when administered by the physical therapists was moderate to good (kapa value=.42~.97). This study found that intrarater and interrater reliability for total FGA scores and internal consistency were good. Therefore, the Korean version of the FGA can be used as a reliable tool to assess the functional gait performance of patients after stroke.

천연물 유래 5,8-dihydroxy-1,4-naphthoquinone의 살초특성과 작용기구 (Herbicidal Properties of 5,8-dihydroxy-1,4-naphthoquinone and Their Possible Mode of Action)

  • 최정섭;김지연;서보람;고영관;차미란;김영섭;류시용;황인택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50-259
    • /
    • 2011
  • 본 실험은 식물에서 유래한 천연 naphthoquinone계 5,8-dihydroxy-1,4-naphthoquinone(DHNQ)의 온실조건에서의 제초활성 정도를 평가하고 효소활성 저해를 포함한 생리 생화학적인 규명을 통해 살초특성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온실조건에서 바랭이(Digitaria sanquinalis)에 대한 경엽처리에서 DHNQ 125, 250, 500 및 $1000{\mu}g\;mL^{-1}$ 농도에서의 활성정도는 각각 60, 70, 95 및 100%이었다. 돌피를 포함한 화본과 잡초 3종과 까마중을 포함한 5종의 광엽 잡초에 대한 살초활성 평가에서 2,000 및 $1000{\mu}g\;mL^{-1}$ 농도에서는 완전방제되었고, $500{\mu}g\;mL^{-1}$ 수준에서는 70~100%이었다. 주요 증상은 화염상(burndown)이었고, 약제 처리 24시간 이내에 활성이 나타나 속효성이지만 완전하게 방제되지 않은 개체에서는 처리 5일 이후에 재생되었다. DHNQ를 처리했을 때 KAPAS를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였으며, 50% 저해농도는 $4.4{\mu}M$이었다. 엽절편으로부터의 전해물질 누출은 광 암 조건에 관계없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으나 누출된 총량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DHNQ은 광 암 조건에 관계없이 엽록소 함량 감소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한편, DHNQ에 의해 억제되었던 애기장대 종자 발아율은 biotin을 공급해 줌으로서 크게 증가되었다. 이상의 실험에 결과에 의하면 천연 naphthoquinone계 DHNQ는 식물체 내로의 흡수 또는 침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제형개발을 통해 살초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된다면 신규 제초제 작용점으로 발굴한 KAPAS를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친환경적인 천연물 유래 제초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난자성숙 과정의 단일 시료에서 일곱 가지 인산화 단백질의 동시 분석 방법 (Simultaneous Detection of Seven Phosphoproteins in a Single Lysate Sample during Oocyte Maturation Process)

  • 윤세진;김윤선;김경화;윤태기;이우식;이경아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6권3호
    • /
    • pp.187-197
    • /
    • 2009
  • 목 적: 단백질 인산화는 세포신호전달에 매우 중요한 현상으로서, 수많은 조절인자들이 난자성숙에 관여하게 된다. 그러나 이들 중에서 어떤 단백질이 인산화되어 난자성숙을 조절하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체세포의 신호전달과정에서 인산화를 통해 중요한 기능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 일곱 가지 단백질들이 생쥐의 난자성숙과정에서 어떻게 인산화 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 개 샘플에서 일곱 개의 변화를 한꺼번에 측정할 수 있는 bead-based multiplex phosphorylation assay를 이용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ICR 생쥐에 PMSG를 주사하고 46시간 후에 cumulus-oocyte complex (COCs) 형태로 미성숙 난자를 채취한 후 체외배양 하면서, 배양 2시간 후에 GVBD를, 배양 8시간 후에 MI을, 배양 16시간 후에 MII 단계의 난자를 얻었고 체내에서 배란한 MII 단계의 난자는 수란관에서 얻었다. 각 단계의 난자를 100개씩 모아서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에 속하는 세가지 단백질인 ERK1/2, JNK, p38 MAPK와 Akt, GSK-$3{\alpha}/{\beta}$, $I{\kapa}B{\alpha}$, STAT3 등 총 일곱 단백질의 인산화를 Bio-Plex System을 이용하여 같은 시료에서 동시에 측정하였으며 세 번의 반복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생쥐의 난자성숙과정에서 측정된 일곱 가지 단백질 중에서 인산화가 현저히 증가하는 단백질로는 ERK1/2, JNK, p38 MAPK와 STAT3로서 미성숙 난자에 비해서 3배에서 20배까지 인산화되는 결과를 보였다. 반면에 GSK-$3{\alpha}/{\beta}$, $I{\kappa}B{\alpha}$의 인산화의 변화는 미약하였으며, Akt의 경우에는 변화가 전혀 없었다. 난자성숙 과정에서 분석 대상 단백질들의 인산화는 GVBD 단계에서 활성화되기 시작하여 MI에서 현저히 높게 증가하며 MII까지 높게 유지되었다. 결 론: 본 연구는 난자성숙과정에서 일곱 가지 단백질의 인산화를 동시에 측정한 최초의 보고로서 이 방법은 난자와 같이 적은 양의 시료에서의 여러 개의 단백질 인산화를 동시에 분석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 세 가지 MAPK 단백질인 ERK1/2, JNK, p38 MAPK 외에도 STAT3가 난자성숙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조절자로 생각되었다. 또한 Akt의 473번 serine기의 인산화는 난자성숙에 관여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첨가제(添加劑) 알칼리 법(法)에 의한 일본 잎갈 나무의 펄프화(化)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Pulping Characteristics of Larchwood (Larix leptolepis Gordon) by Alkaline Process with Additives)

  • 임기표;신동소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7권2호
    • /
    • pp.3-30
    • /
    • 1979
  • 우리나라에서는 일본잎갈나무가 대량(大量) 조림(造林)되어 축적(蓄積)과 생장량(生長量)으로 보아 주요(主要)한 조림(造林) 수종(樹種)이나 각종(各種) 추출물(抽出物)과 활성(活性) phenol 성분(成分)이 많고 심재율(心材率)이 높아 펄프화(化)에서 수율저하(收率低下)와 표백곤란(漂白困難)이 초래(招來)되어 펄프원료(原料)로서의 이용(利用)이 기피(忌避)되고 있다. 따라서 일본잎갈나무의 화학(化學)펄프 원료화(原料化)의 제고(提高)로서 펄프수율(收率) 향상(向上)과 표백성(漂白性) 개선(改善)을 위하여 셀룰로오스보호제를 첨가(添加)한 소다펄프화(化) 특성(特性)을 구명(究明)하였다. 증해(蒸解)는 최고온도(最高溫度) 170$^{\circ}C$까지 90분간(分間) 가열(加熱)하고 90분간(分間) 유지(維持)하는 일정조건(一定條件)으로 황화도(黃化度) 25%, 활성(活性)알칼리 18%의 크라프트법(法)으로 일본잎갈나무의 수령별(樹齡別) 펄프화(化) 특성(特性)을 구명(究明)하고, 18%활성(活性) 알칼리의 소다증해(蒸解)에 첨가제로 2.5% $MgSO_4$, 2.5% $ZnSO_4$, 2.5% $Al_2(SO_4)_3$, 2.5% KI, 2.5% hydroquinone, 2.5% ethylene diamine 또는 0.1~1.0% anthraquinone를 가(加)하여 15년생(年生) 일본잎갈나무의 변재(邊材)와 심재별(心材別) 소다펄프화(化) 특성(特性)을 구명(究明)한 후(後), 0.5% anthraquinone과 18% 활성(活性)알칼리로 증해(蒸解)된 펄프를 3%, 6%, 9% NaOH를 투입(投入)한 30%의 고농도(高農度)펄프를 상압(常壓) 산소표백(酸素漂白)하고, 이산화염소(二酸化鹽素)의 DED로 계속표백(繼續漂白)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일본잎갈나무의 수령별(樹齡別) 크라프트펄프는 수령간(樹齡間)에 펄프의 정선수율(精選收率)은 차(差)가 없으나, 수령(樹齡)이 증가함에 따라 펄프의 총수율(總收率)은 감소(減少)하고 비인열도(比引裂度)는 증가하였으며, 목재(木材)의 심재율(心材率), 용적밀도(容積密度) 수(數), 섬유장(纖維長) 및 온수추출물(溫水抽出物)도 증가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냈다. 2. 일본잎갈나무의 변재(邊材)와 심재별(心材別) 소다증해(蒸解)에 셀룰로오스 보호제로 첨가(添加)된 7종(種)의 첨가제들은 변재(邊材)와 심재(心材)펄프화(化)에 대한 영향(影響)이 대체로 소다법(法)보다 증가되었으나 크라프트법(法)에 미치지 못하고, 크라프트펄프법(法)에 가까운 첨가제는 펄프수율(收率)에서 KI $MgSO_4$, anthraquinone이며, 특(特)히 다른 첨가제의 25분(分) 1이 첨가(添加)된 anthraquinone은 펄프의 정선수율(精選收率)과 KappaNo. 및 비파열도(比破裂度)에서 다른 첨가제보다 효과적이었다. 3. anthraquinone첨가량(添加量)에 따른 변재(邊材)와 심재별(心材別) 소다펄프의 품질(品質)은 변재(邊材)와 심재(心材) 모두 첨가량(添加量)이 많을수록 탈(脫)리그닌도(度)와 펄프수율(收率)이 높으나 활성(活性)알칼리가 낮으면 정선수율(精選收率)도 낮았으며 활성(活性)알칼리 17%의 소다 증해액(蒸解液)에 0.5% anthraquinone을 첨가(添加)한 조건(條件)에서는 크라프트펄프보다 비교적(比較的) 양호(良好)한 펄프가 얻어졌다. 4. 일반화(一般化)된 CEDED표백중(漂白中) 염소화(鹽素化)와 알칼리 추출단계(抽出段階) 대신(代身)에 30%의 고농도(高濃度)펄프에 상압(常壓) 산소표백(酸素漂白)한 ODED표백(漂白)은 산소단계(酸素段階)에서 변재(邊材)와 심재(心材)펄프 모두 NaOH투입량(投入量)이 증가될수록 백색도(白色度)와 비인열도(比引裂度)가 향상(向上)되나 펄프수율(收率)과 Kapa No.는 감소(減少)되었으며, NaOH 투입량(投入量)이 높을수록 펄프품질(品質)은 CEDED 표백(漂白)과 유사(類似)하나 펄프수율(收率)이 떨어졌다. 5. 따라서 본(本) 실험(實驗)에서는 펄프수율(收率) 향상(向上)을 위해서는 원료(原料)에서 심재율(心材率)이 낮은 수령(樹齡)의 경우가 펄프재(材)로 적당(適當)하고, 0.5% anthraquinone을 첨가(添加)한 활성(活性)알카리 18%의 소다증해(蒸解)하는 것이 적당(適當)하며 폐수중(廢水中)의 염소화합물(鹽素化合物)을 감소(減少)시키기 위하여서는 펄프농도(濃度) 30%이상(以上)의 고농도(高濃度)에서 상압(常壓) 산소(酸素)로 표백후(漂白後) 이산화(二酸化) 염소(鹽素)로 DED 표백(漂白)하면 일본잎갈나무의 크라프트법(法)보다 비교적(比較的) 우수(優秀)한 펄프를 얻을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