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akaoTalk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3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이 협력 학습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Utiliza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 on Collaborative Learning)

  • 신진;전은화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241-25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협력학습에 활용할 때 학습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밝히는데 있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유형에 따라 1) 카카오톡 2) 페이스북, 3) 카카오톡과 페이스북 동시 활용, 그리고 4)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하지 않은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네 집단 모두 사전 검사에서 모바일 효능감, 진로 결정 자기 효능감, 수업 흥미도에 있어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 검사에서는 협력 능력 평균 점수에 있어서 카카오톡을 이용하거나 카카오톡과 페이스북을 동시에 활용한 집단이 페이스북을 이용하거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하지 않은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페이스북에서 생성된 메시지 분석 결과는 카카오톡과 페이스북을 동시에 활용한 집단이 페이스북만을 활용한 집단보다 많은 메시지 생성 뿐 아니라 평균 메시지를 읽는 수, 댓글 수, '좋아요' 클릭 수에 있어서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통계적 의미를 뒷받침하고 있다.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및 플랫폼 신뢰도가 모바일 콘텐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카카오플랫폼과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Trust in Mobile Instant Messenger and Platform on Mobile Contents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Kakao Platform and KakaoTalk Emoticon)

  • 정보희;김한구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5권2호
    • /
    • pp.131-152
    • /
    • 2016
  • Purpose Mobile phones increase the frequency and speed of communication. The most popular mobile application in Korea is KakaoTalk, one of the mobile instant messenger(MIM) services. Although studying mobile services such as SMS, SNS and SNG suggests drawing upon theories in marketing, consumer behavior, psychology to investigate their personal use, research on MIM is scarce. We designed this paper to fill this gap.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elationships among consumers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purchase intention to emoticons in context of MIM. Design/methodology/approach Data was obtained from 310 KakaoTalk users in Korea via questionnaire. The data was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n the model. Specifically,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risks, trust in messenger service, system quality, trust in platform, and emoticons purchase intention. Finding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perceived benefits and perceived risk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rust in MIM service(e.g. KakaoTalk). Specifically, while perceived benefits had a positive effect on trust in MIM service, perceived risks had a negative effect on trust in MIM service. Second, trust in messenger service also had a positive impact on system quality. Third, trust in messenger service and system qu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rust in platform(e.g. Kakao platform) directly. Lastly, trust in platform had a positive influence on emoticons purchase intention in KakaoTalk messenger.

협력 학습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이 협력 능력, 협력 만족도, 집단내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Utiliza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 on Collaborative Skills, Collaborative Satisfaction and Interaction in the Collaborative Learning)

  • 전은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693-70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협력 학습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했을 때, 구성원들의 협력 능력, 협력만족도, 그리고 집단내 상호작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데 있었다. 협력 과정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중의 하나인 카카오톡을 활용하여 과제를 수행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협력 능력과 협력 만족도의 정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p<.05). 카카오톡을 활용한 집단을 대상으로 생성한 담화의 양과 내용을 분석한 결과 담화의 양은 협력 능력이나 협력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 중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의 워터쿨러 효과 : 스마트폰 사용자의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Water-Cooler Effect in Informal Communication at Work : Focusing on Kakao Talk of Smart-Phone User)

  • 이종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62-369
    • /
    • 2013
  • 본 연구는 업무 중 스마트폰 사용자의 비공식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워터쿨러 효과를 배경으로 티타임으로 대표되는 비공식적인 오프라인 커뮤니케이션과 카카오톡과 같은 비공식적인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을 함께 반영한 연구모형을 개발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첫째, 조직 내부인과의 카카오톡은 남성 그룹에서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 외부인과의 카카오톡은 남성과 여성 그룹 모두에서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호의존도가 높은 업무 그룹에서는 티타임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상호의존도가 낮은 업무그룹에서는 조직 내부인과의 카카오톡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조직에서의 현명한 스마트폰 사용 지침 개발에 대한 시사점이 있다 하겠다.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 사용자의 이용태도 분석 - 쿠폰태도를 매개변인으로 - (Analyzing the User's Using Attitude of KakaoTalk Plus Friend - Coupon attitude as a Mediator -)

  • 김종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327-336
    • /
    • 2018
  • 본 연구는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사용자의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선호도, 정보신뢰도가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 쿠폰태도가 매개역할을 할 것인지와 이용만족도가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 쿠폰태도가 매개 역할을 할 것인지를 분석하기 위해 '카카오톡 플러스친구'를 사용하고 있는 170명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브랜드이미지와 정보신뢰도가 이용만족도에 영향관계에서 쿠폰태도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선호도가 이용만족도와의 영향관계에서 쿠폰태도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용만족도가 지속이용의도에 영향관계에서 쿠폰태도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사용에 있어 쿠폰태도는 사용자의 이용태도에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결과는 '카카오톡 플러스친구'의 사용자의 태도와 쿠폰 태도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제공 할 것이다.

소셜 네트워크에서 공통믿음의 형성과 추론: 카카오톡 채팅방을 중심으로 (Achieving and Reasoning about Common Beliefs based on Social Networking Services: on the Group Chatting Model of KakaoTalk)

  • 김군오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7-14
    • /
    • 2017
  • 이론적으로 분산 비동기 통신 환경에서 공통믿음 또는 공통지식의 형성은 불가능하다고 받아들여져 왔으나, 서로 신뢰하는 에이전트 그룹에서는 비동기 통신을 사용하더라도 데드라인이 있는 명제들은 공통믿음이 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한 추론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멀티에이전트 환경에서 공통믿음의 형성은 통신의 문제로 접근하며 통신 시간의 제약이 없는 시스템 상에서는 공통믿음이 형성되지 않는다는 공통믿음 역설 문제를 느슨한 정밀도를 적용하고 필요한 요구조건을 완화시켜 공통믿음을 형성 할 수 있음을 카카오톡 채팅방 모델을 통해 확인한다. 또한 카카오톡 채팅방 모델의 각 에이전트에 추론 기능을 구현하여 생성된 공통믿음을 알고 있는지에 관한 질의를 통해 공통믿음임을 확인하는 추론 기능을 실험하였다. 분산 멀티에이전트 환경에서 공통믿음의 표현과 추론을 메타논리 프로그래밍으로 형식화하였으며, 카카오톡 채팅방 모델을 통해 비동기 통신을 사용하는 분산 에이전트 그룹이 공통믿음을 형성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보였다.

이용자의 충족에 따른 소셜미디어 시장 내 경쟁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cial Media Market Competition based on User Gratification)

  • 황운초;백헌;양창규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05-117
    • /
    • 2014
  • 소셜미디어 시장의 다매체 환경으로의 변화는 이용자가 요구하는 선호요인의 충족에 따라 소셜미디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되었고, 각 소셜미디어 간 경쟁을 유발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용자의 충족이라는 측면에서 소셜미디어 시장의 다매체 환경을 고려한 소셜미디어 간의 경쟁에 주된 관심을 두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한정된 자원에서의 미디어간 경쟁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널리 이용된 적소이론을 이용하여 경쟁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1) 페이스북과 카카오톡이 이용자의 기대를 가장 많이 충족시키고, (2) 페이스북과 카카오톡이 선두그룹으로 경쟁하고 있고, 블로그, 유튜브와 트위터가 이들을 추격하고 있으며, (3) 카카오톡이 이용자가 기대하는 다양한 기대를 가장 많이 충족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소셜미디어가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편리성, 즉시성을 제공하고, 이용자가 보다 쉽게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윈도우 환경에서 카카오톡 데이터 복호화 및 아티팩트 분석 연구 (Study on The Data Decryption and Artifacts Analysis of KakaoTalk in Windows Environment)

  • 조민욱;장남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3권1호
    • /
    • pp.51-61
    • /
    • 2023
  • 카카오톡, 라인, 페이스북 메신저 등과 같은 메신저는 누구나 사용하는 범용적인 의사소통 수단이다.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편의 기능과 사용 시간이 증가할수록 아티팩트 안에 남게 되는 사용자의 행위 정보 또한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디지털 포렌식 수사 관점에서 중요한 증거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보안상의 이유로 현재 대부분의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저장되고 있다. 또한, 의도적인 조작, 은닉, 삭제 등의 은폐 행위가 증가하여 디지털 포렌식 분석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를 가진 메신저인 카카오톡에 대해 Windows 환경에서 데이터 복호화 및 아티팩트 분석 방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효율적인 복호화 키 획득 방안, 삭제 시도한 메시지 식별 및 복호화 방안을 제시하고 썸네일 아티팩트를 분석한다.

A Study on Promotional Plans of Local Business by using SNS (Social Network Service): Focused on Naver Band, Blog, Kakao Talk and Facebook

  • Jang, Yu-Ri;Youn, Won Bae
    • 융합경영연구
    • /
    • 제2권2호
    • /
    • pp.1-9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solutions of not only weak organization but also poor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from point of view of SNS such as Naver blog, Naver band, Kakao Talk and Facebook to promote local business market. The study gave strategies: First, SNS marketing strategy shall be used to do public relations and communicate in accordance with features of each SNS. Naver Blog that is opened SNS shall be used to do public relations and to invite new customers, and Kakao Talk that is closed SNS shall be used to increase customers having high loyalty, and Facebook that has both properties of SNS, that is to say, openness and closure, shall be used to raise effects of word-of-mouth to make use of new sales window. The communication can find out customers' needs to provide customers with customized services. Second, Naver Band and/or cafe shall be opened to increase link and friendliness and to have community consciousness realizing common goal and to destroy merchants' helplessness and individualism and to make change of the market for the place of community. Changes among the merchants may get better ideas to do events continuously and to get more SNS marketing effects and synergy. Third, the merchants shall make change not momentarily but continuously by making efforts steadily. Good communication in and out of the market may create inherent brand value to differ from super chain and/or SSM and to increase sales as well as traditional market image and to attain customers' loyalty.

Gift-giving Behaviors via SNS Mobile App: An Exploratory Study of Fashion Products

  • Ji Yoon Kim;Jiyeon Lee;Kyu-Hye Lee
    • 패션비즈니스
    • /
    • 제27권6호
    • /
    • pp.110-123
    • /
    • 2023
  • As social distancing strengthened after the COVID-19 incident, people looked for things they could do alone. Additionally, as people have more financial resources, they purchase products they had previously considered purchasing, and the phenomenon of giving gifts to oneself has also appeared.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fashion product reviews of KakaoTalk Gift, the service to exchange gift via SNS mobile app, to discover the phenomenon of self-gifting and the differences from interpersonal-gifting. For post-hoc data, in collected 18,354 pieces after excluding unnecessary data using a Python-based web crawling technique. The self-gifting behavior of KakaoTalk Gift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tudy for self-gift. Regardless of the gift-giving contexts, it determines that most self-gift products are material items. There are differences in product types and price levels when choosing gifts for others and oneself. As a self-gift, people typically buy luxury jewelry and branded bags/wallets to wear and show off. As interpersonal, among fashion products, people usually buy beauty products that reflect less personal tastes. When gift-giving to others, people buy products to appropriate prices to reduce the burden on both. When gift-giving to oneself, people buy wanted products regardless of the price.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suggests a new direction in self-gift research by limited online places to give gif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