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H

검색결과 8,283건 처리시간 0.036초

사과의 Hemicellulose가 Ca-Pectate Gel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pple Hemicellulose on the Ca-Pectate Gel Formation)

  • 김영지;김창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17
    • /
    • 1988
  • Fuji 사과의 hemicellulose가 사과 Ca-pectate gel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hemicellulose를 $HF_1$(1N KOH 가용성), $HF_2$(2N KOH 가용성), $HF_3$(3N KOH 가용성), $HF_4$(4N KOH 가용성)으로 분획한 후 다시 gel여과 정제하여 사과 Ca-pectate gel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Fuji hemicellulose는 KOH의 농도가 1N에서 4N로 증가됨에 따라 hexose peak은 점차 저분자쪽과 고분자쪽의 용출이 증가되었으며 pentose peak는 특히 고분자쪽의 용출이 증가되었다. Gel여과에 의하여 분획된 hemicellulose는 분자량 1만${\sim}$143만에 이르는 $8{\sim}10$개의 peak로 구분되었으며 사과 Ca-pectate gel 형성시에 첨가시킨 결과 고분자보다 저분자쪽이, pentose보다 hexose와 uronic acid가 많이 함유된 쪽에서 gel의 hardness, adhesiveness 및 gumminess 가 증가되었다.

  • PDF

$CO_2$/KOH Catalysis 에 의한 2-Pyrrolidone 과 $\varepsilon$-Caprolactam 의 음이온 중합 (제1보) (Anionic Polymerization of 2-Pyrrolidone and $\varepsilon$-Caprolactam via $CO_2-KOH$ Catalysis (Ⅰ))

  • 정발;최삼권;서길수
    • 대한화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25-532
    • /
    • 1976
  • CO2/KOH catalysis에 의해 2-pyrrolidone과 ${\varepsilon}$-caprolactam의 음이온 중합을 시도하였으며 이 polymer의 물리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2-Pyrrolidone 중합의 경우는, KOH의 농도가 8mole%이상이고 $CO_2/KOH$ mole ratio가 0.45일 때 percent conversion이 가장 높았으며 $50^{\circ}C$가 최적의 온도임을 알았다. ${\varepsilon}$-Carprolactam의 중합에 있어서는 80 ∼ $90^{\circ}C$에서 percent conversion이 낮았고, 150 ∼ $180^{\circ}C$의 온도에서는$ CO_2/KOH$ mole ratio에 크게 관계없이 높은 percent conversion을 얻을 수 있었다. 이들 polymer의 고유점도는 대략 2.0 ∼ 5.0dl/g의 높은 값이었다.

  • PDF

나노스크래치와 KOH 에칭 기술을 병용한 Si (100) 패턴제작 (Pattern Fabrication on Si (100) Surface by Using Both Nanoscratch and KOH Etching Technique)

  • 윤성원;이정우;강충길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48-451
    • /
    • 2003
  • This study describes a new maskless nano-fabrication technique of Si (100) using the combination of nanometer-scale mechanical forming by nano-indenter XP and KOH wet etching. First the surface of a Si (100) specimen was machined by using the nano-machining system, which utilizes the mechanism of the nano-indenter XP. Next, the specimen was etched by KOH solution. After the etching process, the convex structure or deeper hole is made because of masking or promotion effect of the affected layer generated by nano-machining. On the basis of this interesting fact, some sample structures were fabricated.

  • PDF

Nd:YAG 레이저 조사가 Calcium Fluoride 형성 및 치아 내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D:YAG LASER IRRADIATION ON THE FORMATION OF CALCIUM FLUORIDE AND ACID RESISTANCE OF TOOTH ENAMEL)

  • 이제호;손흥규;김성오;박광균;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77-398
    • /
    • 1999
  • 불소도포시 주로 형성되는 calcium fluoride는 구강내 환경에서 pH에 의해 조절되는 불소의 저장고 역할을 하여 치아우식 예방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불소도포의 우식예방 효과는 calcium fluoride를 얼마나 많이 형성시켜 오래 지속시키는 가에 달려 있다. 이에 치아 내산성 증가에 효과 있다고 알려진 Nd:YAG 레이저 조사가 calcium fluoride형성 및 치아 내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 실험을 시행하였다. 소의 영구전치에서 276개의 시편을 제작하여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하고 1.23% acidulated phosphate fluoride (APF) 5분, 30분 도포 및 Nd:YAG 레이저 조사에너지 밀도 $20J/cm^2,\;40J/cm^2$의 조건에 따라 불소 도포군, 레이저 조사군, 불소 도포후 레이저 조사군, 레이저 조사후 불소 도포군으로 분류하였다. 불소도포를 시행한 경우 이를 다시 KOH 처리 여부에 따라 나누어 23개의 실험조건을 만들었다. 각 실험조건에 12개의 시편을 배정하고 이중 10개의 시편은 불소 및 무기인 측정에, 나머지 2개의 시편은 표면 관찰에 사용하였다. KOH 비처치군에서 0.1 N HClO4로 enamel biopsy를 시행하여 탈회 법랑질의 불소농도 및 탈회깊이를 측정하였으며 KOH 처치군에서는 1 M KOH로 24시간 처리하여 calcium fluoride를 정량 후 enamel biopsy를 시행하였다. 실험결과 얻어진 자료 및 주사 전자현미경 관찰 소견을 비교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KOH 비처치군에서 탈회된 법랑질의 불소농도는 레이저조사 후 불소도포시 레이저 에너지 밀도 증가에 따라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2. KOH 비처치군에서 법랑질 탈회깊이는 불소를 5분 도포후 레이저 $20J/cm^2$를 조사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레이저와 불소를 병행하여 처치시 각각을 단독으로 처치시보다 탈회깊이가 작았다 (p<0.05). 3. Calcium fluoride의 양은 레이저의 조사에 의해 유의 있게 증가하지 않았다 (p>0.05). 4. Calcium fluoride 입자는 불소만 도포한 경우에 비해 레이저 조사후 불소도포시 입자크기가 증가되었으며, 불소도포후 레이저 조사시 입자크기의 증가와 함께 일부 융합된 양상을 보였다. 5. KOH 처치군에서 법랑질의 불소농도는 불소를 30분 도포후 레이저를 조사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조군의 불소농도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6. KOH 처치군에서 불소와 레이저를 병행한 경우, 불소만 도포한 경우보다 탈회된 법랑질의 깊이가 작았다 (p<0.05). 7. KOH 비처치군에서 탈회된 법랑질의 불소농도와 탈회깊이의 상관관계(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0.6281)는 KOH 처치군(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0.3792)에 비해 높은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고, 동일한 조건으로 불소도포 및 레이저 조사를 시행한 경우에 있어서 KOH 처리 여부에 따른 탈회법랑질 깊이의 유의차가 있는 경우 calcium fluoride의 형성량이 많았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미루어 보아 레이저 조사가 calcium fluoride의 형성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레이저 조사의 영향으로 calcium fluoride의 용해가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불소도포 및 레이저 조사의 병행은 각각을 단독으로 처치한 경우에 비하여 치아 내산성 증가면에서 유리하므로 임상에서 불소도포주기 연장과 같은 유용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광전소자 패키징에서 광섬유 정렬을 위한 Si V-groove 형성 (The formation of Si V-groove for optical fiber alignment in optoelectronic devices)

  • 유영석;김영호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65-71
    • /
    • 1999
  • 광 패키징에서 광섬유와 광전자소자를 정확히 정렬하기 위한 V-groove의 치수 정밀도에 미치는 마스크 재료와 에칭용액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PECVD nitride, LPCVD nitride, thermal oxide($SiO_2$)를 마스크재료로 사용하였고 실리콘을 이방성에칭하는 용액으로 KOH(40wt%)용액과 KOH(40wt%)용액에 IPA를 첨가한 용액을 이용하였다. 마스크재료로는 LPCVD nitride가 가장 좋은 선택적에칭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사용된 마스크재료 중 thermal oxide가 가장 빠른 속도로 에칭되었다. V-groove의 크기 증가는 마스크충 아래로의 undercutting에 의해 생겼는데 이는 주로 (111)면으로의 에칭 때문이었다. KOH(40wt%)용액에서 (111)면의 에칭속도는 0.034 - 0.037 $\mu\textrm{m}$/min로 마스크재료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하였다. IPA를 KOH(40wt%)용액에 첨가하면 (100)면과 (111)면의 에칭속도는 모두 감소하지만 (111)면에 대한 (100)면의 에칭속도비는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이런 용액에서 (111)면으로의 에칭에 의한 undercutting현상은 줄어들었으며 V-groove의 크기를 더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었다.

  • PDF

수열법에 의한 PZT분말 합성 연구 (Hydrothermal Synthesis of PZT Powders.)

  • 최승도;박병규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97-104
    • /
    • 1997
  • 수열합성법에 의한 Pb(TixZr1-x)O3분말 합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합성원료로는 Lead-acetate trihydrate와 Titanium isoproprxide, Zirconium propoxide를 isopropanol로 희석시킨후 가수분해 시켜 얻은 Ti/Zr 젤을 사용하였고, 광화제로서 KOH(0.5m, 1m, 2m)를 사용하였으며 140℃, 150℃, 160℃의 반응온도에서 합성하였다. 합성된 Pb(TixZr1-x)O3분말은 입방체의 형태를 띄고 있었으며 응집된 형태로 나타났다. 1m과 2m의 KOH에서는 PZT 합성이 잘 이루어졌으며 1m의 경우 8시간, 2m의 경우 1시간 이상의 반응이 필요하였고 0.5m KOH에선 5일의 반응시간에도 순수한 PZT분말만이 합성되지 않았다. 낮은 반응온도와 짧은 반응시간의 실험조건에선 합성된 분말이 대부분 PZT분말이었으나 미반응 Ti/Zr 젤이 상당량 존재하였다. 합성된 PZT분말의 크기는 KOH농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중간생성물로서 PbO고용체가 생성되었으며 이는 Ti고용량이 10% 정도의 큰것과 3%정도의 작은 것으로 크게 나눌 수 있었다.

  • PDF

Pyrrolidone-N-sulfonyl Chloride의 합성 및 Pyrrolidone-N-sulfonyl Chloride / KOH 촉매작용에 의한 Pyrrolidone의 음이온 중합 (The Synthesis of Pyrrolidone-N-sulfonyl Chloride and Its Catalytic Effect in Anionic Polymerization of Pyrrolidone)

  • 정원조;최삼권
    • 대한화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402-411
    • /
    • 1979
  • Pyrrolidone의 음이온중합의 새로운 개시제로서 Pyrrolidone-N-sulfonyl chloride를 합성하고, 이 개시제에 의한 중합반응기구를 제안하였으며, 중합결과를 분석 고찰하여 다른 개시제의 경우와 비교하였다. Pyrrolidone-N-sulfonyl chloride의 농도를 작게할 수록 합성되는 고분자의 점도가 증가함을 관찰하였으며, 개시제의 KOH에 대한 비율이 0.25일때 중합속도 및 중합수율이 가장 큰 결과를 얻었다. PNSC/KOH 촉매작용에 의한 pyrrolidone의 음이온 중합은, $CO_2$/KOH 촉매작용의 경우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중합속도가 빠르고, 중합수율도 높았다.

  • PDF

KOH-activated graphite nanofibers as CO2 adsorbents

  • Yuan, Hui;Meng, Long-Yue;Park, Soo-Jin
    • Carbon letters
    • /
    • 제19권
    • /
    • pp.99-103
    • /
    • 2016
  • Porous carbons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for their novel application in gas storage. In this study, porous graphite nano-fiber (PGNFs)-based graphite nano fibers (GNFs) were prepared by KOH activation to act as adsorbents. The GNFs were activated with KOH by changing the GNF/KOH weight ratio from 0 through 5 at 900℃. The effects of the GNF/KOH weight ratios on the pore structures were also addressed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N2 adsorption/desorption measurements. We found that the activated GNFs exhibited a gradual increase of CO2 adsorption capacity at CK-3 and then decreased to CK-5, as determined by CO2 adsorption isotherms. CK-3 had the narrowest micropore size distribution (0.6–0.78 nm) among the treated GNFs. Therefore, KOH activation was not only a significant method for developing a suitable pore-size distribution for gas adsorption, but also increased CO2 adsorption capacity as well.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sample prepared with a weight ratio of ‘3’ showed the best CO2 adsorption capacity (70.8 mg/g) as determined by CO2 adsorption isotherms at 298 K and 1 bar.

습식법에 의한 티탄산칼륨 섬유의 합성 (Synthesis of potassium titanate by wet process)

  • 강대갑;송종택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78-283
    • /
    • 1995
  • 금속티타늄 분말과 $H_2O_2$와의 반응물에 KOH용액을 첨가하는 습식법에 의해 티탄산칼륨 섬유를 합성하고, 합성된 생성물을 XRD, SEM, FT-IR 등에 의해 검토하였다. 습식 합성법의 경우, $KOH/TiO_2$ 몰비, 합성시간, aging 시간등이 주로 최종 생성물에 영향을 주었다. $KOH/TiO_2 = 1/1$, 합성시간 24시간, aging 시간 24시간 및 하소 온도 $900^{\circ}C$에서의 생성물은 주로 potassium tetratitanate이었으며, 10 ~ 20mm의 가늘고 긴 장섬유이었다. 합성시간이 길어질수록, 그리고 KOH량이 적어질수록, potassium tetratitanate는 potassium hexatitanate로 바뀌면서 섬유의 길이는 짧아졌다.

  • PDF

Al/Air 연료전지의 출력특성에 미치는 KOH 전해질과 H2O2 감극제의 영향 (Effect of KOH Electrolyte and H2O2 Depolarizer on the Power Characteristics of Al/Air Fuel Cells)

  • 김용혁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64권4호
    • /
    • pp.303-307
    • /
    • 2015
  • The effects of additive such as $H_2O_2$ in KOH electrolyte solution for the Aluminum/Air fuel cell were investigated with regard to electric power characteristics. The power generated by a Al/Air fuel cell was controlled by the KOH electrolyte solution and $H_2O_2$ depolarizer. Higher cell power was achieved when higher KOH electrolyte concentration and higher $H_2O_2$ depolarizer amount. The maximum power was increased by the increase amount $H_2O_2$ depolarizer, it was found that $H_2O_2$ depolarizer inhibits the generation of hydrogen and the polarization effect was reduced as a result. Internal resistance analysis was employed to elucidate the maximum power variation. Higher internal resistance created internal potential differences that drive current dissipating energy. In order to improve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Al/Air fuel cell, it is thought to be desirable to increase the KOH electrolyte concentration and increase the $H_2O_2$ addition amou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