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G-1

검색결과 22,615건 처리시간 0.064초

한우 초발정 전후 혈중 Progesterone 및 Insulin-like Growth Factor-1 농도의 변화 (Change of Serum Progesterone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1 Concentration during the First Oestrus in the Heifers of Hanwoo)

  • 고응규;성환후;백광수;나승환;최창용;신원집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41-347
    • /
    • 1998
  • 본 연구는 생후 33 주령부터 초발정이 시작될 때까지 한우육성빈우의 일당증체량 (0.5kg, 0.7kg) 에 따른 혈중 progesterone 과 IGF-1 농도를 분석하여 한우의 초발정시기 및 춘기발동기전후 혈중 progesterone 과 IGF-1 농도를 비교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모든 시험축에서, 초발정 직전까지는 혈중 progesterone 농도는 검출할 수 없었으며, 13 두의 육성빈우에서 첫발정 6일전에 미미한 혈중 progesterone 농도가 상승하기 시작하여 짧은 황체기를 보였다. 초발정시기의 일당증체량 0.7kg 구의 평균 나이는 331.0$\pm$15.0 일로 0.5kg 구의 358.9$\pm$7.9 일보다 빨랐고 이때 체중도 0.7kg 구가 236.0$\pm$4.7kg으로 0.5kg 구의 224.8$\pm$9.7 보다 무거웠다. 초발정이후 3~15 일까지 IGF-1 농도는 황체초기 (0~1) 와 황체퇴행기 (18일~20일) 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고, 성장단계에 따라서 생후 37주령부터 57주령까지 조사한 IGF-1 농도 변화는 37주령에 93.2$\pm$63.4ng/$m\ell$ 에서 57 주령에 170.9$\pm$59.35ng/$m\ell$로 점차적으로 상승하였다. 이상의 결과 한우의 초발정 평균나이는 345일령 전후로 추정되며 이시기에 혈중 progesterone 농도는 IGF-l 농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 같다.

  • PDF

간장, 된장 및 맥주의 인공소화시 N-nitrosamine의 생성 (The Formaion of N-nitrosamine in Soy Sauce, Soybean Paste and Beer under Simulated Gastric Digestion)

  • 김경란;이수정;신정혜;서종권;손미예;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78-383
    • /
    • 2002
  • 우리나라 고유의 조미료인 간장 및 된장, 대중적인 알코올 음료인 맥주를 대상으로 하여 발암성 N-nitrosamine(NA)을 분석하였고, 또 인공타액 및 위액을 혼합하여 in vitro에서 인공소화시킴으로써 섭취 후 생체내에서 생성 가능한 NA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대상시료 중 질산염은 간장에서 0.3~0.9 mg/kg, 된장에서 0.5~1.0 mg/kg, 맥주에서 0.5~1.3 mg/kg, 아질산염 은 모든 시료에서 평 균 0.3 mg/kg이었으며, DMA 및 TMA는 0.5 mg/kg 이하로 정량되 었다. NA를 분석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NDMA만이 검출되었으며, 간장에서 <0.5~2.7ug/kg, 된장에서는 1.5~3.1ug/kg, 맥주에서는 <0.5~1.8ug/kg으로 정량되었고, 인공소화 후에는 각각 1.1배, 4.5배 및 1.6배 증가되었다. 아질산염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인공소화시킬 때 모든 시료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아질산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NDMA가 증가되었고, 인공소화시 6.4 mM의 thiocyanate를 맥주에 첨가할 때 대조구에 비해 NDMA가 무려 3.3배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Ascorbic acid를 첨가하여 인공소화시킨 결과전 시료에서 NDMA의 생성이 억제되었으며 특히 12.8 mM의 ascorbic acid를 첨가한 된장에서 NDMA 생성은 약 92.3%나 억제되었다.

수도(水稻)에 대(對)한 피혁가공(皮革加工) 폐기물(廢棄物) 스럿지의 비효(肥效)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Fertilizer Effect of Sludge from Leather Processing for Rice Plant)

  • 김문규
    • 농업과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371-376
    • /
    • 1982
  • 수도(水稻)에 대(對)한 피혁가공(皮革加工) 스럿지와 제지(製紙)스럿지를 비료자원으로 활용(活用)할수 있는가를 검토(檢討)하기 위(爲)하여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해 퇴비(堆肥) 1,000kg, 피혁(皮革)스럿지 500kg, 피혁(皮革)스럿지 $500kg+CaCO_3$, 100kg 시용(施用)한것은 7~10%, 제지(製紙)스럿지 1,000kg 및 피혁(皮革)스럿지 $1,000kg+CaCO_3$ 100kg 시용구(施用區)는 22~23% 증수(增收)되었다. 2) 피혁(皮革)스럿지 $1,000kg+CaCO_3$ 100kg시용구(施用區)에서의 수수(穗數), 수당입수(穗當粒數), 등숙률(登熟率)의 증가(增加)는 석회시용(石灰施用)에 의한 스럿지분해촉진 결과(結果)였다. 3) 제지(製紙)스럿지 1,000kg구(區)에서의 수수(穗數)와 등숙률(登熟率)이 높은것은 스럿지의 질소(窒素)와 인산(燐酸) 함량(含量)이 높기 때문이다. 4) 피혁(皮革) 및 제지(製紙)스럿지는 유기물(有機物)로서의 비효(肥效)는 인정(認定)되나 장차(將次) 유해중금속(有害重金屬)의 함량(含量)과 그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가 필요(必要)하다고 본다.

  • PDF

새로운 안트라사이클린계 항암제 DA-125의 생식독성연구: (I) 랫트 최기형시험 (Reproductive Toxicity Study of DA-125, A New Anthracycline Anticancer Agent: (I) Teratogenicity Study in Rats)

  • 정문구;한상섭;양중익;노정구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권1호
    • /
    • pp.82-93
    • /
    • 1994
  • DA-125, a new anthracycline antitumor antibiotic, was at dose levels of 0, 0.1, 0.3 and 1.0 mg/kg/day administered intravenously to pregnant Sprague-Dawley rats during the organogenetic period. Two-third of dams per group were subjected to caesarean section on day 20 of pregnancy and the remaining 10 dams per group were allowed to deliver. Effects of test substance on dams, embryonal development of Fl fetuses, as well as growth, behaviour and mating performance of Fl offspring were examined. 1. At 1 mg/kg, one out of the 10 dams showed difficult delivery. A decrease in food consumption, a loss in body weight and a decrease of spleen weight were found in this dose level group. At 0.3 mg/kg, difficult deliverys were observed in two out of the 10 dams. 2. At 1 mg/kg, an increased resorption rate and a decreased fetal weight were found.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external, visceral and skeletal malformations occurred at an incidence of 11.9, 41.8 and 14.5%, respectively. 3. At 1 mg/kg, body weight reduction, small eyeball, hydrocephalus and atrophy of sexual organs were observed in Fl offspring. One male pup receiving 0.3 mg/kg died on day 2 of lact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no-effect dose levels (NOELs) for dams and Fl offspring are 0.1 mg/kg/day and NOEL for Fl fetuses is 0.3 mg/kg/day.

  • PDF

비음과 질소시비가 Orchargrass의 건물생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hade and N Fertilization on the Dry Matter Production of Orchargrass)

  • 이주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75-181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hade and levels of N fertilization on the dry matter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orchardgrass grown under floor of chestnut tree. Shading conditions consist of $S_0$, (full light), $S_1$, (about 6OC4 shade) and $S_2$, (about 70% shade). And, nitrogen fertilizer was applied at 3 levels, O($N_0$), 12($N_1$), and 30($N_2$) kg per 10a, respectively. The results are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Maximum total dry matter yield of $S_0$, was obtained about 1.28 ton/lOa at $N_2$, level. But, total dry matter yields of N levels in $S_1$, and $S_2$, were decreased about 42-45% compared with $S_0$. 2. The response of the dry matter yield to N fertilization were differences between shading and levels of N. Thus, the dry matter yield of $S_1$, increased almost linear up to about 30 kg/l0a level, while the dry matter yield of S, was increased slightly up to 30 kgIl0a. But. $S_2$, was increased up to 12 kg/lOa and then decreased slightly with N fertilization over the 12 kg/l0a. 3. Average increase in total dry matter yield to N fertilization were 23.85 kg, 7.97 kg and 5.08 kg DM for $S_0$, $S_1$, and $S_2$, respectively. 4. The level of 12 kg N/lOa is the limiting N level to obtain dry matter production under 60-709 shading conditions. 5.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arid nitrate nitrogen were increased with shading and incremental N fertilization up to 30 kg/l0a. But, water soluble carbohydrate content was decreased greatly with high shading and high levels of N. 6. Nitrate nitrogen content indicated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rude protein, but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water soluble carbohydrate content. 7. At 30 kg N level with $S_1$, was necessary to exceed the potentially toxic nitrate nitrogen level of 0.20%.

  • PDF

전기밥솥에서 보온중인 밥의 조직감 변화 (Textural Changes of Cooked-Rice during Warm Keeping in Electrical Rice Cooker)

  • 이영진;황선옥;김상권;박윤서;전재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5호
    • /
    • pp.422-424
    • /
    • 1995
  • 밥의 보온저장중 조직감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밥솥의 보온 온도를 $73^{\circ}C$ 로하여 42시간동안 저장하였다. 보온 기간중 경시적으로 밥을 채취하여 원통형 블록으로 시료를 만든 후 경도와 점착성을 측정하였다. 보온 초기에는 밥의 경도는 1.61kg이었으며 12시간 후에는 1.95kg까지 증가하였다. 그 이후 3시간 이내에 1.57kg으로 감소한 후 서서히 감소하여 42시간에는 1.44kg에 이르렀다. 밥의 점착성은 0.51kg에서 0.32kg로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탄력성과 씹힘성은 경도의 양상과 유사하게 변화하였다. 한편 응집성은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 PDF

서울시일원의 토양 오염도 조사 (Investigation on the Pollution in the Soils of Seoul Area)

  • 김홍제;김연천;이정자;박상현;박성배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4권1_2호
    • /
    • pp.27-34
    • /
    • 1989
  • This work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ollution of heavy metals and pH in soil, collected from the 156 sampling sites in 1987. 1. In the average contents of Cd, the highest value was 0.40 mg/kg in the Outskirt of Seoul area, the lowest value was 0.11 mg/kg in the Greenbelt area, and 0.21∼0.39 mg/kg in the other areas. 2. In the average contents of Cu, the highest value was 32.50 mg/kg in the Motorway area, the lowest value was 2.96 mg/kg in the Greenbelt area, and 9.53∼24.41 mg/kg in the other areas. 3. In the average contents of As, the highest value was 1.32 mg/kg in the Reclamated waste area, the lowest value was 0.31 mg/kg in the Greenbelt area, and 0.93∼1.32 mg/kg in the other areas. 4. In the average contents of Zn, the highest value was 27.33 mg/kg in the Center of city area, the lowest value was 9.97 mg/kg in the Greenbelt area, and 12.47∼25.23 mg/kg in the other areas. 5. In the average contents of Pb, the highest value was 125.25 mg/kg in the Motorway area, the lowest value was 12.99 mg/kg in the Farming area, and 17.01∼77.71 mg/kg in the other areas. 6. In the average contents of pH, the highest value was pH 7.08 in the Motorway area, the lowest value was pH 4.14 in the Greenbelt area, and pH 5.67~7.04 in the other areas. 7. The order of the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was Pb>Zn>Cu>As>Cd. There was significanthy correlation between Cd-Zn, Pb-Zn, Cu-Cd, Pb-Cu and Pb-Cd (p<0.01).

  • PDF

6-OHDA 파괴 후 수종의 향정신약물의 작용에 대한 중추도파민 신경계의 역할 (The Role of Dopaminergic Fibers on the Action of Psychotropic Drugs in 6-OHDA-treated Rats)

  • 이순철;유관희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187-195
    • /
    • 1993
  • We have examined the functional role of central dopaminergic processes on the behavioral pharmacological effects induced by psychotropics and red ginseng saponins of normal rats and compared with that of brain damaged rats. Desipramine and clomipramine produced, a significant depression of the locomotor activity in normal rats, but in brain damaged rats, they did not have any effect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of 4 hours. Total saponin (50~200 mg/kg), PT (25~50 mg/kg), PD (25~50 mg/kg), $Rg_1$(12.5~25 mg/kg), $Rb_1$ (12.5~50 mg/kg) did not change, and high concentrations of PT (100 mg/kg), PD (100 mg/kg) and $Rg_1$ (50 mg/kg)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ocomotor activity of one hour after administration but total saponin (100 mg/kg), PD (25~50 mg/kg), Rgl (12.5 mg/kg), $Rb_1$ (12.5 mg/kg) markedly increased the locomotor activity of four hour after administration in normal rats. On the other hand, total saponin (50 mg/kg), PT (100 mg/kg) and PD (100 mg/kg) Produced a prominent stimulation of the locomotor activity in brain damaged ra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hibition of the locomotor activity induced by antidepressants was not affected by the sensitivity of cerebral DA system, whereas red ginseng saponin showed antifatigue effect and also the stimulation of the locomotor activity induced by red ginseng saponin was mediated by the inhibition of cerebral DA system. These psychotropic action of red ginseng saponins could be responsible for the beneficial effects on conditions of fatigue and decreased alertness.

  • PDF

제주에서 여름정식한 아스파라거스의 이듬해 적정 수확방법 구명 (Investigation of Proper Spring Harvesting Methods on the Summer Planted Asparagus (Asparagus officinalis L.) in Jeju)

  • 성기철;김천환;이진수;문두경;강경희;엄영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80-284
    • /
    • 2009
  • 본 연구는 아스파라거스의 첫 수확기를 단축하기 위한 여름정식 기술을 개발코자 하였으며, 여름 정식시 이듬해 봄 수확유무 및 방법이 아스파라거스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3개월 육묘한 모종을 2005년 6월 20일에 하우스내에 정식 하였다. 이듬해 봄 수확방법은 수확처리(완전수확, 부분수확) 및 무수확(관행)으로 하여 1, 2년차 생육 및 누적수량을 조사하였다. 2006년 1년차 봄 수량은 수확방법에는 차이가 없이 수확처리구에서 399kg${\sim}$400kg/10a이 가능하였다. 2년차 봄 수량은 부분수확 처리구에서 834kg/10a, 완전수확 처리구에서 825kg/10a, 관행 처리구에서 908kg/10a를 보였다. 1년차의 수확방법에 의한 2년차의 수량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 2년차 총 누적수량은 1년차 봄에 수확을 하는 처리구에서 관행에 비하여 35%(1,229kg/10a)증수되었다. 상품수량은 관행 839kg/10a에 비하여 1년차 수확처리구에서 33%(1,116kg/10a)가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 여름 정식시 이듬해 봄에 수확을 하는 것이 증수면에서 바람직하며, 여름정식은 정식 후 8개월만에 첫 수확이 가능하였다.

폭기시간과 유기질비료 농도에 따른 혼합유기질비료의 액비화 특성비교 (Comparison of Liquefying Efficiency of Mixed Organic Fertilizer as Affected by Aeration Time and the Ratio of Organic Fertilizer to Water)

  • 이종태;하인종;문진성;송원두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56-163
    • /
    • 2007
  • 본 연구는 혼합유기질비료를 액비화할 때 액비화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폭기시간과 유기질비료 농도에 따른 무기성분의 특성변화를 조사하였다. 혼합 유기질비료는 참깻묵, 쌀겨, 어분, 혈분 등의 유기질 재료와 일라이트, 패화석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약 2개월간의 발효과정을 거쳤고 N, $P_2O_5$, $K_2O$ 및 유기물함량은 각각 $23.0g\;kg^{-1}$, $17.0g\;kg^{-1}$, $23.9g\;kg^{-1}$, $290g\;kg^{-1}$이었다. 폭기시간은 일 2시간, 8시간, 연속 폭기 및 무폭기의 처리를 두었으며 물량에 대한 유기질비료 농도는 10%로 하였다. 유기질비료 농도에 따른 특성변화는 전체 물 함량에 대한 유기질비료 농도를 5%, 10% 및 20%로 하고 일 2시간씩 폭기를 하였다. 액비제조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폭기시간에 관계없이 pH, EC 및 $NH_4-N$ 농도는 증가하였다. 일 2시간 폭기한 처리구에서 액비제조 10일 후의 N, $P_2O_5$$K_2O$ 농도는 각각 $646mg\;kg^{-1}$, $68.1mg\;kg^{-1}$, $453mg\;kg^{-1}$으로 침출률은 각각 27.6%, 4.0% 및 18.9%이었으며 일 8시간 폭기 및 연속폭기조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연속폭기조에서 호기성 세균, 포자형성 세균 및 사상균의 생균수가 다른 처리구보다 많았다. 물에 대한 유기질비료의 농도를 증가시키면 EC, $NH_4-N$ 및 무기성분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유기질비료의 침출률은 감소하였다. 액비제조 10일 후 유기질비료 20% 처리구의 N, $P_2O_5$$K_2O$ 농도는 각각 $1,140mg\;kg^{-1}$, $35.4mg\;kg^{-1}$, $544mg\;kg^{-1}$이었고 침출률은 각각 24.8%, 2.4% 및 13.6%이었다. 유기질비료 농도의 증가는 포자형성 세균과 Pseudomonas spp. 균의 생균수를 증가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