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ADO-WAH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8초

개선된 웹 접근성 평가도구의 설계 및 구현 (Implementation and design of Improved Evaluation Tool for Web Accessibility)

  • 문경실;최정연;박수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A
    • /
    • pp.375-378
    • /
    • 2008
  • 웹 접근성(Web Accessibility) 평가를 위하여 웹 접근성 표준 가이드라인에 기반 한 120여개의 자동화 평가 도구들이 존재한다. 국외 평가도구는 WCAG 1.0과 미국 재활법 508조를 기준으로 만들어진 A-Prompt, Bobby 등이 있으며, 국내에는 KWCAG 1.0에 기반하여 한국정보문화진흥원에서 제작한 KADO-WAH가 유일한 자동화 웹접근성 평가도구이다. KADO-WAH는 국외 평가도구와 비교하여 상세한 검사를 진행하지 않으며 자동화 평가 범위가 한정되어 있어 상당부분 전문가 평가를 필요로 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개선된 웹 접근성 평가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자동화 평가도구인 KADO-WAH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국외 자동화 평가도구와 비교 분석을 통해 KADO-WAH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 문제점을 개선한 웹 접근성 평가도구를 구현한다.

  • PDF

웹 접근성 지침에 의한 교육용 홈페이지의 적용 방안 및 비교 분석 (An Application Scheme and Comparison for the Education Homepage By the Web Accessability Guidelines)

  • 정덕길;이종훈;노영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1142-1147
    • /
    • 2008
  • 최근 인터넷 웹 콘텐츠의 접근성에 대한 표준화의 준수와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 정부와 공공기관 그리고 기업까지 확산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형 인터넷 웹 접근성 지침에 대하여 살펴보고, 웹 접근성 평가 도구인 KADO-WAH를 활용하여 교육 관련 홈페이지를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라서 평가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평가 결과 나타난 오류와 경고 항목을 평가보고서에서 요구하는 방향으로 수정하여 교육용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안한다. 그리고 KADO-WAH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교육 관련 기관의 홈페이지를 평가하고 이들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지침 준수 여부를 비교 분석한다.

국립도서관의 웹 접근성 비교분석 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Web Accessibility in National Libraries)

  • 서은경;김희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45-364
    • /
    • 2008
  • 웹을 중심으로 한 지식정보 서비스의 비중과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공공적 성격을 갖는 국립도서관의 경우에는 보편적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평등한 접근성이 기본적으로 보장될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웹 접근성 평가도구인 KADO-WAH를 활용하여 16개의 주요 국가의 국립도서관을 선정하여 웹 접근성을 점검하고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웹 접근성의 국가별 특징과 차이점을 파악하고 향후 방향을 제시하였다.

웹 접근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 권영직;장굉위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55-168
    • /
    • 2009
  • 모든 사용자가 웹을 통하여 어려움 없이 인터넷에 접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웹 사이트가 웹 접근성을 고려하여 개발되어야 한다. 이러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웹 접근성 평가 분석도구인 KADO-WAH 2.0을 사용하여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KWCAG 1.0과 WCAG 2.0을 기반으로 15개의 웹 사이트를 대상으로 하여 웹 접근성을 평가한 후, 웹 사이트의 유형에 따라 웹 접근성의 차이점과 문제점을 도출한 후 웹 접근성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웹 접근성 지침에 의한 교육용 홈페이지의 평가 및 적용 방안 (An Evaluation and Application Scheme for the Education Homepage By the Web Accessability Guidelines)

  • 정덕길;이종훈;노영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A
    • /
    • pp.433-437
    • /
    • 2008
  • 최근 인터넷 웹 콘텐츠의 접근성에 대한 표준화의 준수와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 정부와 공공기관 그리고 기업까지 확산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형 인터넷 웹 접근성 지침에 대하여 살펴보고, 웹 접근성 평가도구인 KADO-WAH 프로그램을 다운 받아서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일선 학교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웹 접근성 평가 도구를 활용하여 교육 관련 홈페이지를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라서 평가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평가 결과에 따라 나타나는 검사 항목 통계 보고서를 토대로 웹 접근성 준수 여부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평가 결과 나타난 오류와 경고 항목을 평가보고서에서 요구하는 방향으로 수정하여 교육용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안한다.

  • PDF

웹 접근성 지침을 통한 교육용 홈페이지의 비교 분석 (A Comparison of the Education Homepage By the Web Accessibility Guidelines)

  • 정덕길;이종훈;노영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A
    • /
    • pp.445-448
    • /
    • 2008
  • 최근 인터넷 환경은 컴퓨터를 이용한 윈도우즈의 환경에서 핸드폰, PDA 등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로 확산되고 있다. 이로 인해 시각, 청각 장애자나 컴퓨터 초보자도 쉽게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는 웹 접근성 향상이 많은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KADO-WAH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교육 관련 기관의 홈페이지를 평가하고 이들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지침 준수 여부를 비교 분석한다. 이 논문에서는 교육 관련기관인 대도시 교육청 홈페이지와 부산시 교육청 산하 교육구청의 홈페이지, 그리고 부산시내의 여러 고등학교 홈페이지에 대하여 웹 접근성 지침 준수 여부를 평가하고 비교 분석한다. 그 결과 학부모나 교육 관련 이해 당사자 누구라도 쉽게 교육용 웹사이트에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게 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 PDF

설문조사에 의한 교육용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Web Accessibility Guidelines for the Education Homepage by the Questionnaire)

  • 정덕길;이종훈;노영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지능정보 및 응용 학술대회
    • /
    • pp.113-116
    • /
    • 2008
  • 최근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는 웹 접근성 향상이 많은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교육용 홈페이지에서는 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형편이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형 인터넷 웹 접근성 지침에 대하여 알아보고, 웹 접근성 평가도구인 KADO-WAH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교육 관련 홈페이지를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라서 평가해 본다. 평가도구로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부분은 일선 학교 컴퓨터 관련 교사들에게 설문지를 통하여 웹 접근성 평가를 받고, 그 결과를 분석한다. 평가도구에 의한 평가와 설문조사에 의한 평가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아 교육용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을 높이는 방안을 갈구하고자 한다.

  • PDF

교육용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평가 지침별 비교 분석 (An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ducation Homepage Based on the Web Accessability Guidelines)

  • 정덕길;이종훈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지능정보 및 응용 학술대회
    • /
    • pp.105-108
    • /
    • 2008
  • 최근 인터넷 웹 콘텐츠의 접근성에 대한 표준화의 준수와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 정부, 공공기관, 기업까지 확산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웹 접근성 표준 지침에 패하여 알아보고, 표준 지침별 평가 항목에 대하여 비교 분석한다. 또한, 웹 접근성 인증 기준에 의한 중요도에 대해서도 분석한다. 그리고 웹 접근성 평가도구인 KADO-WAH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교육 관련 홈페이지를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라 지침별 준수율을 비교 분석한다.

  • PDF

공공기관 및 IT 대기업의 웹 접근성 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eb accessibility situation of Public Institution and Major IT Companies Institutions)

  • 주헌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175-18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국내 외 웹 접근성 동향을 나타내었다. 웹 접근성 준수율을 나타내기 위해 중앙기관 7개 사이트와 경기도 북동부에 위치한 7개 시의 사이트 그리고 IT 대기업 7개 사이트를 평가하였다. 준수율을 나타내기 위해 KADO-WAH 2.0을 사용하였다. 평가 기준은 인터넷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1.0을 이용하였다. 평가 항목은 지침 1과 지침 2의 대체 텍스트 제공과 프레임 사용 제한 그리고 키보드 운용으로 제한하였다. 평가 항목 3가지 평균에서 경기 북동부 7개 시는 65.56%, 중앙기관은 43.71%, IT 대기업은 29.33%를 나타내었다. 중앙기관 7개 평가 기관 중 인권위원회가 평균 99.3%로 준수율이 가장 높았다. 경기도 북동부 7개 시 평가에서는 남양주시가 평균 98%로 준수율이 가장 높았다. IT 대기업 7개의 평가에서는 삼성전자가 평균 63.66%로 준수율이 가장 높았다. 중앙 기판은 2006년 평균 82.14%에서 2009년 평균 54.28%로 27.86% 더 낮아졌다. 따라서 중앙 기관 및 지방 기관의 웹 접근성 준수율 개선이 시급하다. 또한 IT 대기업도 웹 접근성 준수율 개선이 필요 된다.

국내 대학 도서관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실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Web Accessibility of University Library Web Sites)

  • 김영곤;오창규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97-217
    • /
    • 2011
  • 웹 접근성이란 장애에 구애 없이 모든 사람들이 차별없이 정보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153개 대학 도서관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실태를 살펴보고, 웹 접근성 확보를 위한 관련 법 제도와 이를 준수하기 위한 효과적인 실무 접근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태조사는 2단계로 실시되었다. 1차적으로는 153개 대학의 도서관 홈페이지의 일반적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자동화 평가도구인 KADO-WAH 2.0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점검항목별 상세 점검은 1차 평가에서 준수율이 100%라고 판단된 19개 대학의 도서관 홈페이지에 대해 국한하였다. 평가 결과 국내 대학도서관 홈페이지에서 웹 접근성을 완벽하게 준수하는 사이트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향후 국내 대학 도서관에서 KWCAG의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본 연구결과를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음성 서비스, 화면 확대 축소, 하이라이트 기능과 같은 기본 요구사항을 우선적으로 그리고 거의 모든 콘텐츠에 실천되어야 한다고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