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KADO-WAH

Search Result 1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Implementation and design of Improved Evaluation Tool for Web Accessibility (개선된 웹 접근성 평가도구의 설계 및 구현)

  • Moon, Kyung-Sil;Choi, Jung-Yun;Park, S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05a
    • /
    • pp.375-378
    • /
    • 2008
  • 웹 접근성(Web Accessibility) 평가를 위하여 웹 접근성 표준 가이드라인에 기반 한 120여개의 자동화 평가 도구들이 존재한다. 국외 평가도구는 WCAG 1.0과 미국 재활법 508조를 기준으로 만들어진 A-Prompt, Bobby 등이 있으며, 국내에는 KWCAG 1.0에 기반하여 한국정보문화진흥원에서 제작한 KADO-WAH가 유일한 자동화 웹접근성 평가도구이다. KADO-WAH는 국외 평가도구와 비교하여 상세한 검사를 진행하지 않으며 자동화 평가 범위가 한정되어 있어 상당부분 전문가 평가를 필요로 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개선된 웹 접근성 평가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자동화 평가도구인 KADO-WAH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국외 자동화 평가도구와 비교 분석을 통해 KADO-WAH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 문제점을 개선한 웹 접근성 평가도구를 구현한다.

  • PDF

An Application Scheme and Comparison for the Education Homepage By the Web Accessability Guidelines (웹 접근성 지침에 의한 교육용 홈페이지의 적용 방안 및 비교 분석)

  • Jung, Deok-Gil;Lee, Jong-Hun;Lho, Young-Uh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2 no.6
    • /
    • pp.1142-1147
    • /
    • 2008
  • In recent years, the efforts for standards of Web contents accessibility and the improvements of Web accessibility are expanded in the government, enterprises, and public institutions.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Korean Web contents accessibility guidelines, and propose the evaluation scheme for the education homepage by the Web accessibility guidelines using KADO-WAH program which is the evaluation tool for Web accessibility. Also, we propose the improvement scheme for education homepage by modifying the error and warning clauses directed in which are appeared in the evaluation report. And, we evaluate the various education homepages using KADO-WAH, and analyze the comparisons for the Web accessibility guidelines among the education homepages.

Comparative Analysis of Web Accessibility in National Libraries (국립도서관의 웹 접근성 비교분석 연구)

  • Seo, Eun-Gyoung;Kim, Hee-J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2 no.3
    • /
    • pp.345-364
    • /
    • 2008
  • Proportion and importance of knowledge & information provision through the web are increased continuously. Equivalent accessibility focused on universal service is highly demanded especially for public institutions, such as national libraries. In this study, web accessibility of sixteen national librar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KADO-WAH, web accessibility tool. Characteristics of libraries were investigated and future direction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analysis and results.

A Study on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웹 접근성 평가에 관한 연구)

  • Kwon, Young-Jik;Zhang, Hongwei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4 no.5
    • /
    • pp.155-168
    • /
    • 2009
  • A website should be developed by considering web accessibility for being possible to access the Internet without any difficulties through the Web. In order to do this, after evaluating web accessibility with targeted 15 web sites based on KWCAG 1.0 which is a guideline of Korean type web contents accessibility and WCAG 2.0 which is a guideline of W3C's web serviceability by using KADO-WAH 2.0, this paper suggests improvements of web accessibility after deriving problems of web accessibility according to a web site type.

An Evaluation and Application Scheme for the Education Homepage By the Web Accessability Guidelines (웹 접근성 지침에 의한 교육용 홈페이지의 평가 및 적용 방안)

  • Jung, Deok-Gil;Lee, Joung-Hun;Lho, Young-Uh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05a
    • /
    • pp.433-437
    • /
    • 2008
  • 최근 인터넷 웹 콘텐츠의 접근성에 대한 표준화의 준수와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 정부와 공공기관 그리고 기업까지 확산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형 인터넷 웹 접근성 지침에 대하여 살펴보고, 웹 접근성 평가도구인 KADO-WAH 프로그램을 다운 받아서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일선 학교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웹 접근성 평가 도구를 활용하여 교육 관련 홈페이지를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라서 평가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평가 결과에 따라 나타나는 검사 항목 통계 보고서를 토대로 웹 접근성 준수 여부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평가 결과 나타난 오류와 경고 항목을 평가보고서에서 요구하는 방향으로 수정하여 교육용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안한다.

  • PDF

A Comparison of the Education Homepage By the Web Accessibility Guidelines (웹 접근성 지침을 통한 교육용 홈페이지의 비교 분석)

  • Jung, Deok-Gil;Lee, Joung-Hun;Lho, Young-Uh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05a
    • /
    • pp.445-448
    • /
    • 2008
  • 최근 인터넷 환경은 컴퓨터를 이용한 윈도우즈의 환경에서 핸드폰, PDA 등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로 확산되고 있다. 이로 인해 시각, 청각 장애자나 컴퓨터 초보자도 쉽게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는 웹 접근성 향상이 많은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KADO-WAH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교육 관련 기관의 홈페이지를 평가하고 이들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지침 준수 여부를 비교 분석한다. 이 논문에서는 교육 관련기관인 대도시 교육청 홈페이지와 부산시 교육청 산하 교육구청의 홈페이지, 그리고 부산시내의 여러 고등학교 홈페이지에 대하여 웹 접근성 지침 준수 여부를 평가하고 비교 분석한다. 그 결과 학부모나 교육 관련 이해 당사자 누구라도 쉽게 교육용 웹사이트에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게 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 PDF

An Analysis on the Web Accessibility Guidelines for the Education Homepage by the Questionnaire (설문조사에 의한 교육용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분석)

  • Jung, Deok-Gil;Lee, Joung-Hun;Lho, Young-Uh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08a
    • /
    • pp.113-116
    • /
    • 2008
  • 최근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는 웹 접근성 향상이 많은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교육용 홈페이지에서는 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형편이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형 인터넷 웹 접근성 지침에 대하여 알아보고, 웹 접근성 평가도구인 KADO-WAH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교육 관련 홈페이지를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라서 평가해 본다. 평가도구로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부분은 일선 학교 컴퓨터 관련 교사들에게 설문지를 통하여 웹 접근성 평가를 받고, 그 결과를 분석한다. 평가도구에 의한 평가와 설문조사에 의한 평가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아 교육용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을 높이는 방안을 갈구하고자 한다.

  • PDF

An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ducation Homepage Based on the Web Accessability Guidelines (교육용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평가 지침별 비교 분석)

  • Jung, Deok-Gil;Lee, Jo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08a
    • /
    • pp.105-108
    • /
    • 2008
  • 최근 인터넷 웹 콘텐츠의 접근성에 대한 표준화의 준수와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 정부, 공공기관, 기업까지 확산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웹 접근성 표준 지침에 패하여 알아보고, 표준 지침별 평가 항목에 대하여 비교 분석한다. 또한, 웹 접근성 인증 기준에 의한 중요도에 대해서도 분석한다. 그리고 웹 접근성 평가도구인 KADO-WAH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교육 관련 홈페이지를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라 지침별 준수율을 비교 분석한다.

  • PDF

A Study on Web accessibility situation of Public Institution and Major IT Companies Institutions (공공기관 및 IT 대기업의 웹 접근성 현황에 관한 연구)

  • Joo, Heon-Si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4 no.10
    • /
    • pp.175-187
    • /
    • 2009
  • This paper shows trends in domestic and foreign web accessibility. To disclose the web accessibility observance rate, seven central adminstration institutions and another seven north-eastern cities in Gyeong gi-Do and seven major IT companies were evaluated. KADO-WAH 2.0 was used for showing the observance rate. The evaluation criteria was that of Internet Web contents accessibility Guidelines 1.0. The evaluation was limited to Guideline 1 and Guideline 2 of non-text contents and the restricted frame usage and the keyboard-only operation. The average points for three items are as follows: 65.56% for North-Eastern cities in Gyeong gi-Do and 43.71% for Central adminstration institutions and the average 29.33% for major IT companies. The observance rate was highest by 99.3% in Human-rights committee among the central administration institutions. With the observance rate of 98%, Namyang-ju city came first in Gyeong gi-Do area. Samsung electronics was the highest with 63.66% in observance rate. The Central adminstration got lowered from the average 82.14% in 2006 to the average 54.28% in 2009, with the result of 27.86% down. Accordingly, the urgent improvement for Central adminstration and Local adminstration in web accessibility is asked for. The same is true with major IT companies in web accessibility.

A Study on the Web Accessibility of University Library Web Sites (국내 대학 도서관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실태에 대한 연구)

  • Kim, Young-Gon;Oh, Chang-Gy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8 no.3
    • /
    • pp.197-217
    • /
    • 2011
  • Web accessibility refers to the practice of providing equal access to web sites to people without and with disabilit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web content accessibility of 153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and further suggest the approach to implement an effective university library web site to meet Korea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KWCAG). Survey was conducted with two steps. The first step was to find out the general level of web accessibility of all university library web sites using an automatic appraisal tool, KADO-WAH2.0, and the detailed examination of web accessibility check items was limited to 19 web sites which proved excellent in automatic appraisal. Regretfully, the result says that there is no perfect web site. Therefore every university library is advisable to make good use of the findings to meet all the requirements of KWCAG. In particular, the basic requirements, such as voice service, resizing and highlighting text, must be fulfilled by priority and to almost all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