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DTVP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2초

뇌성마비의 시 지각 검사를 위한 평가도구의 비교 (A Comparison of Two Procedures to Assess Visual Perceptual Skill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김경미;유병규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15-21
    • /
    • 1999
  • 이 연구의 목적은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 (MVPT)와 Mariannene Frostig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 (DTVP)을 사용하여 뇌성마비 아동과 정상아동의 시 지각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 뇌성마비의 사지마비군과 양하지마비군, 그리고 정상아동군에서 두 평가도구의 결과에서 제시한 시 지각능력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뇌성마비 아동 21명(사지마비 11명, 양하지마비 10명)과 정상아동 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의 연령범위는 4세에서 8.5세이었다. 시 지각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운동기능을 포함하지 않은 MVPT와 운동기능을 포함한 DTVT를 사용하였다. 평가과정과 방법은 표준화된 지침서에 따라 수행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를 사용하여 Wilcoxon signed rank test와 Mann-Whitney, Kruskal-Wallis를 하였다. MVPT와 DTVP의 지각지수를 뇌성마비 아동과 정상아동을 비교한 결과 뇌성마비 아동의 지각지수가 정상 아동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아동의 교정연령과 MVPT와 DTVP의 지각연령의 차(CA-PA)를 사지마비군, 양하지마비군, 그리고 정상군과 비교한 결과 정상군에서는 두 평가도구 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사지마비군에서는 두 평가도구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뇌성마비 아동의 시 지각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MVPT의 사용을 제시하였다.

  • PDF

방과 후 감각통합프로그램(감각통합치료)이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 수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Program(Sensory Integration Therapy) after School on Functional Task Performance in School)

  • 박지훈;이은정;노종수;이향숙;차정진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7-40
    • /
    • 2010
  • 목적 : 본 연구는 학교 방과 후 활동으로 감각통합치료를 제공하였을 때 작업수행요소와 더불어 작업수행영역인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 : 실험은 대전 Y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2학년 아동 3명을 대상으로 방과 후 활동 시간에 감각통합치료를 제공하였으며, 중재는 2010년 5월과 6월에 걸쳐 총 25회를 제공하였다. 감각통합치료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사용하였고, 작업수행요소에서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축감각프로파일(SSP),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K-DTVP-2),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1(BOTMP)를 사용하였으며, 작업수행영역에서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 수행능력에 대한 평가(School Function Assessment)를 사용하였다. 결과 : 방과 후 감각통합프로그램(감각통합치료)을 적용한 결과 대상아동들은 작업수행요소인 단축감각력(SSP), BOTMP,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K-DTVP-2)의 수치상 향상을 보였으며, 작업수행영역인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 수행(SFA)의 점수에서도 향상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방과 후 감각통합프로그램(감각통합치료)이 작업수행요소와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지만, 대상의 수가 적어 통계적 유의성을 찾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수를 고려한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전산화 인지프로그램(코트라스)이 지적장애 아동의 시지각과 일상생활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Visual Perception and ADL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ility)

  • 김소영;이근민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05-113
    • /
    • 2015
  • 본 연구는 시지각 장애와 일상생활 기능에 어려움이 있는 지적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용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이 시지각과 일상생활 기능에 임상적인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공통된 특성이 있는 지적장애 아동 3명에게 아동용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총 20회 실시하였다. 시지각 기능의 중재 전과 후를 비교하기 위해 K-DTVP-2를 사용하였고, 일상생활 기능의 중재 전과 후를 비교하기 위해 WeeFIM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적장애 아동에게 아동용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이 아동의 시지각 기능 특히 비운동성 시지각 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일상생활 활동이 향상되었다. 이 연구로부터 얻은 결과들은 지적장애가 있는 아동 중 특히 시지각 기능에 결여를 보이는 아동에게 아동용 전산화 인지 프로그램을 적용하면 인지능력의 하위부분인 시지각 기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기대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일상생활 활동에 향상을 보임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ADHD 아동과 일반 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시지각 기술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and Visual Perception Skills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Typical Children)

  • 주진옥;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13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아동과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감각처리능력과 시지각 기술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지역적 환경이 동일한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소아정신과에서 ADHD로 진단받은 아동 25명과 초등학교 1, 2학년의 일반 아동 51명을 대상으로 감각처리능력과 시지각 기술을 평가하였다.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 SP)을 사용하였고 시지각 기술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Korean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2; K-DTVP-2)를 사용하였다. 두 군 간의 감각처리능력과 시지각 기술의 차이는 독립표본 t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ADHD 아동과 일반 아동의 감각프로파일(SP)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감각요인을 비교한 결과 감각예민을 제외한 8가지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K-DTVP-2의 모든 시지각 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K-DTVP-2의 하위 항목 표준점수를 비교한 결과 공간위치(p=.031), 도형-배경(p=.001), 시각 통합(p=.005), 눈-손 협응(p=.000), 따라 그리기(p=.044), 공간관계(p=.00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임상에서 ADHD 아동의 행동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감각처리능력과 시지각 기술이 중요하다는 근거가 되며 ADHD 아동의 평가, 교육 및 연구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수예공작 프로그램 적용이 발달장애 아동의 시지각 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rafts Programmes on Visual Perceptual Development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김남순;김동현;김희정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41-150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know the effects of craft programmes on the visual perceptual development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ixty children were diagnose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y divided into two groups that were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children were subjected at K-Rehabilitation Center and C-child Care Center in Gyeong-Ju for 6 weeks from Feb to Apr (twice a seek, total 12 times) in 2011. The development programmes for the children disabilities are based on occupational therapy, physical therapy, and speech therapy. The intervention of experimental group included occupational therapy based on the craft programmes, physical therapy, and speech therapy. The one of control group included occupational therapy based on function, physical therapy, and speech therapy. The MVPT-3 and K-DTVP-2 were done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to compare visual perceptual development ability and to know the results of the test.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MVPT-3 score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K-DTVP-2 score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The results mean the craft programm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visual perceptual development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경직형 양하지 뇌성마비아동의 시지각 능력과 일상생활동작과의 관련성 연구 (A Correlation between the Visual Perception Abilit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 유병규;정금희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7-55
    • /
    • 2006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visual perception abilit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in the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who were treated at developmental disabilities children salutary institute. Method : The subject were consisted of 8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mean age, 10). The visual perception ability was measured by the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DTVP) and by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WeeFIM) to evaluate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llected data analysis were completed by using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 Visual percep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is the highest in Position in Space(PS) score, and is the lowest in Visual-Motor coordination(VM) score. Average visual perception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is the highest in SR(Spatial relationship) score, and is the lowest in VM scor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eating componen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Visual-Motor coordination. Conclusions : Therefore, accurate evaluation of visual perception ability and visual perception training for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will be important to improve patient's activities of daily living skill.

  • PDF

시운동기술에 관한 아동 작업치료의 체계적 고찰 (Occupational Therapy Strategies for Visual Motor Skills of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 홍은경;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1-72
    • /
    • 2010
  • 목적 : 체계적 고찰을 통해 시운동기술 평가를 위해 사용된 도구, 치료접근방법,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 아동의 시운동 기술에 가장 적합한 치료방법과 평가도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 체계적 고찰을 사용하였다. 2001년 1월부터 2010년 6월까지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PubMed을 통하여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용어는"visual motor and occupational therapy", "visuomotor and occupational therapy"," perception and motor and occupational therapy"이었고, 161개의 논문 중 총 13개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1. 시운동기술 치료가 필요한 대상 진단군은 발달장애아동이 20.00%로 가장 많았고, 글씨쓰기에 문제가 있는 아동이 13.33%이었다. 결과 : 2. 시운동기술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는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DTVP)을 사용한 논문이 33.33%로 가장 많았고,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Motor Integration(VMI)을 사용한 논문이 26.67%이었다. 결과 : 3. 시운동기술과 관련하여 가장 많이 사용된 치료접근방법은 발달적 기술기반 프로그램으로 58.82%를 차지 하였고, 감각통합과 감각기반 치료는 23.53%를 보였다. 결과 : 4. 시운동기술과 관련하여 작업치료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난 경우는 72.73%이었고, 유의하지 않는 경우가 9.09%이었다. 부모 직접적 또는 간접적 접근과 집중행동 치료에서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론 : 아동 작업치료에서 시운동기술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 도구는 DTVP와 VMI가 60%를 차지하였고, 70%이 상에서 치료에 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작업수행과 관련된 영역에 대한 작업치료의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가상현실게임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눈-손 협응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Virtual Reality Games on eye-hand coordination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ed)

  • 조무신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3-69
    • /
    • 2015
  • 목적 : 본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가상현실게임 프로그램이 눈-손 협응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발달장애아동 6명을 대상으로 그 중에 3명을 감각통합 프로그램과 가상현실게임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실험군으로 선정하였고, 나머지 3명의 아동들은 감각통합 프로그램만을 실시는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2013년 9월부터 10월까지, 총 10회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K-DTVP-2) 중 하위 항목인 눈-손 협응을 사전-사후평가로 실시하여 결과로 나온 점수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 가상현실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이 가상현실 프로그램 참여전보다 참여후가 눈-손 협응 능력의 평균점수가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44). 감각통합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이 감각통합 프로그램 참여 전보다 참여 후가 눈-손 협응 능력의 평균점수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가상현실게임 프로그램을 이용한 훈련이 발달장애 아동의 눈-손 협응력 향상에 영향을 주었다.

  • PDF

컴퓨터 포인팅 게임이 지적장애아동의 시지각 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mputer Pointing Game on Visual Percep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김경주;김성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년도 제42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8권2호
    • /
    • pp.449-452
    • /
    • 2010
  • 이 연구는 컴퓨터 포인팅 게임이 중도(重度) 지적장애아동의 시지각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시지각 능력에 효과적인 컴퓨터 포인팅 게임을 난이도 수준에 따라 3단계로 설계 및 개발하였다. 효과를 최대로 이끌기 위해, 1, 2주와 3주에 적용할 교수 학습 모형을 다르게 설계하였다.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성남의 지적장애 H학교 초등부 재학생 중, 중도 지적장애아동이면서 낮은 시지각 능력을 보이지만, 교정시력과 손가락 사용에 어려움이 없는 4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3주간 1회에 15분씩, 15회 실험을 실시하였다. 양적인 평가를 위해, 표준화 검사 도구인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K-DTVP-2)를 4차에 걸쳐 진행하였고, 질적 평가를 위해, 관찰평가일지를 매주 실험이 끝난 후 작성하였다. 연구결과, 컴퓨터 포인팅 게임은 지적장애아동의 시지각 능력을 양적 질적 측면에서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감각처리와 소운동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roup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for Sensory Processing, Fine Motor Skill, and Social Skill)

  • 홍은경;김한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2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감각통합에 장애가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감각처리와 소운동, 사회성 능력에 그룹감각 통합치료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만 4~7세의 감각통합에 장애가 있는 아동 3명이었다. 그룹감각통 합치료를 주 1회(40분씩), 총 21회기 실시하였다. 감각처리능력, 사회성, 소운동을 측정하기 위해 감각프로파일, 사회성숙도검사, 한국판시지각발달검사,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BOTMP)를 사용하였다. 그룹감 각통합치료의 적용 전과 후의 결과는 윌콕슨 순위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그룹감각통합치료 전과 후의 감각프로파일, 사회성숙도검사, 한국판시지각발달검사, BOTMP의 평균점수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감각통합장애가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그룹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한 후 감각처리, 사회성, 그리고 소운동 능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룹감각통합치료전에 비해 후의 사회성과 소운동에서 평균점수가 향상되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진다. 더 나은 향후 연구를 위해 대상아동의 수, 치료의 회기를 늘리고 외적인 변인에 대한 통제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