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BIOTA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5초

RADIATION DOSE TO HUMAN AND NON-HUMAN BIOTA IN THE REPUBLIC OF KOREA RESULTING FROM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 Keum, Dong-Kwon;Jun, In;Lim, Kwang-Muk;Choi, Yong-Ho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1-12
    • /
    • 2013
  • This paper describes the radiation doses to human and non-human biota in the Republic of Korea, as a result of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By using the measured airborne activity and ground deposition, the effective and thyroid doses of five human age groups (infant, 5 years, 10 years, 15 years and adult) were estimated by the ECOSYS code, and the whole body absorbed dose rate of the eight Korean reference animals and plants (RAPs) was estimated by the K-BIOTA (the Korean computer code to assess the risk of radioactivity to wildlife). The first-year effective and thyroid human doses ranged from 5.7E-5 mSv in the infant group to 2.0E-4 mSv in the 5 years group, and from 5.0E-4 mSv in the infant group to 3.4E-3 mSv in the 5 years group, respectively. The life-time (70 years) effective and thyroid human doses ranged from 1.5E-4 mSv in the infant group to 3.0E-4 mSv in the 5 years group, and from 6.0E-4 mSv in the infant group to 3.5E-3 mSv in the 5 years group, respectively. The estimated maximum whole body absorbed dose rate to the Korean RAPs was 6.7E-7 mGy/d for a snake living in soil (terrestrial biota), and 2.0E-5 mGy/d for freshwater fish (aquatic biota), both of which were far less than the generic dose criteria to protect biota from ionizing radiation. Also, the screening level assessment for ERICA's (Environmental Risks from Ionizing Contaminants: Assessments and management) limiting organisms showed that the risk quotient (RQ) for the estimated maximum soil and water activity was significantly less than unity for both the terrestrial and freshwater organisms. Conclusively, the radiological risk of the radioactivity released into the environment by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to the public and the non-human biota in the republic of Korea is considered negligible.

측백엽(側柏葉) 메탄올 추출물이 멜라닌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thanolic Extract from Biota Orientalis Folium on Melanin Synthesis)

  • 이수형;홍석훈;황충연;김남권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662-670
    • /
    • 2005
  • Recently many efforts were focused to understand the mechanical insights of melanogenesis to develop the agents for hyper-pigmentation and hypo-pigmentation. In the melanin bio-synthetic pathway, tyrosinase is the rate limiting enzyme, and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MSH) stimulates melanogenesis and enhances the melanin synthesis and the tyrosinase activity. The author has analyzed the effects of Biota Orientalis Folium on the basal melanogenic activities of B16 mouse melanoma cells, and on the ${\alpha}$-MSH or tyrosinase-induced melanogenesis. Biota Orientalis Folium alone markedly suppressed melanin content and tyrosinase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decrease of cell propagation was observed in B16 cells treated with 200${\mu}$g/ml dose of Biota Orientalis Folium, indicating that Biota Orientalis Folium-induced depigmenting effect was caused by i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not due to destruction of B16 cells. Pretreatment of the cells with Biota Orientalis Folium also suppressed the increase of ${\alpha}$-MSH (10 nM) induced melanin content and tyrosinase activity. Biota Orientalis Folium inhibited the revelation of ${\alpha}$-MSH induced tyrosinase protein and tyrosinase related protein and mRNA of tyrosinase in B16 melanoma ce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Biota Orientalis Folium inhibits melanogenesis and abrogates ${\alpha}$-MSH and tyrosinase-induced melanogenesis in B16 melanoma cells.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을 이용한 생체시료 중 프탈산 에스텔류의 분석법 (Determination of Phthalates in Biota Samples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서정주;나윤철;홍종기
    • 분석과학
    • /
    • 제14권5호
    • /
    • pp.400-409
    • /
    • 2001
  • 본 연구는 프탈산 에스텔류에 대하여 생물시료 중에 존재하는 가장 일반적인 9종의 분석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선택이온검색법에 의해 수행하였다. 생물시료는 유기용매로 추출하고 Florisil 컬럼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프탈산 에스텔류는 전처리 과정 중 가장 쉽게 오염되는 물질로 생물시료의 경우 전처리 단계가 수질이나 저질시료보다 복잡해지므로 각 전처리 단계의 오염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표준물질이 첨가된 생물시료에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분석법을 적용하여 구한 회수율은 79 - 117%정도로 나타났다. 또한 프탈산 에스텔류의 정량의 정확도, Florisil 컬럼 용리패턴, 검출한계 등을 조사하였다.

  • PDF

측백엽의 Diterpenes 성분 (Diterpenes of Biota orientalis Leaves)

  • 성상현;구경아;임혜경;이흠숙;조정희;김혜수;김영중
    • 생약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47-352
    • /
    • 1998
  • Six minor diterpenes were isolated from Biota orientalis (Cupressa-ceae) leaves. On the basis of comparison with reported spectral data, they were identified as 7,15-isopimaradien-18-oic acid (isopimaric acid), 8(14),15-isopimaradien-18-oic acid (sandaracopimaric acid), 7,15-isopimaradien-3-ol, 7,15-isopimaradien-3,19-diol, 8(17),13-labdadien-16,15-olid-19-oic acid (demethylpinusolide), and 15-hydroxy-8(17),13-labdadien-19-oic acid (isocupric acid). They were first reported in the genus of Biota.

  • PDF

단계적 야생동식물 선량평가 코드 K-BIOTA의 특성 및 적용 (Characteristics of the Graded Wildlife Dose Assessment Code K-BIOTA and Its Application)

  • 금동권;전인;임광묵;최용호;김병호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0권4호
    • /
    • pp.252-260
    • /
    • 2015
  • 본 논문은 ICRP103 환경방호를 대비하여 국내에서 개발된 야생동식물 선량평가 코드 K-BIOTA의 기술적 배경 및 적용 사례를 기술한다. K-BIOTA는 스크리닝(screening) 선량평가(Level 1&2)와 부지 특성적 상세평가(Level 3)의 3단계의 단계적 평가방법을 적용한다. 스크리닝 단계평가는 상세평가의 필요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예비적 평가 단계로 개별적인 생물종보다는 동식물을 그룹별로 구분하여 평가한다. Level 1 평가는 스크리닝 목적의 참조준위로부터 유도된 최대환경매체농도 값과 실제 환경매체농도 값의 비교로부터 위험도 지표(risk quotient)를 계산한다. Level 1 평가 결과 위험도 지표가 1보다 작으면 생태계의 건전성이 유지된다는 결론과 함께 평가를 종료하고, 1 보다 크면 동식물 그룹별로 평균적인 전이계수나 평형분배계수 값을 적용하여 조금 더 실제적인 Level 2 평가를 수행한다. 따라서 Level 2 평가가 Level 1 평가보다 덜 보수적이다. Level 2평가에서 위험도지표가 1 보다 작으면 생태계의 건전성이 유지된다는 결론을 내리고 평가를 종료하고, 1보다 크면 Level 3 평가를 수행한다, Level 3 평가는 부지 특성적 데이터를 고려하는 상세평가단계로, 동식물 그룹별 평가 대신 부지 대표적 동식물에 대한 개별적 선량평가를 수행하며, 대표적 동식물의 종류 및 크기, 거주인자, 전이계수, 평형분배계수에 대한 부지 특성적인 값을 사용한다. 또한 Level 3 평가 단계에서는 전이계수, 평형분배계수, 환경매체농도 (토양농도 또는 물의 농도)에 대한 개별 동식물의 피폭 선량률에 대한 불확실도 분석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적용 가능한 확률밀도함수는 정규분포, 로그정규분포, 균일분포, 지수분포의 4가지이다. 국제원자력기구의 EMRAS II (Environmental Modeling for Radiation Safety) 모델 시나리오 비교 공동연구에 참가하여 K-BIOTA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로 K-BIOTA는 다양한 오염 환경에서 거주하는 야생동식물의 방사선 영향을 평가하는데 유용함이 입증되었다.

Neuroprotective Lignans from Biota orientalis leaves

  • Yoon, Jeong-Seon;Koo, Kyung-Ah;Ma, Choong-Je;Sung, Sang-Hyun;Kim, Young-Choong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4권3호
    • /
    • pp.167-170
    • /
    • 2008
  • We previously reported that 90% MeOH fraction of Biota orientalis leaves (L.) ENDL. had significant neuroprotective activity against glutamate-induced neurotoxicity in primary cultures of rat cortical cells. In the present study, (-)-savinin (1), (-)-hinokinin (2), dehydroheliobuphthalmin (3) were isolated by bioactivity-guided fractionation from the 90% MeOH fraction. All three lignans had significant neuroprotective activities against glutamate-induced neurotoxicity at the concentrations ranging from 0.1 to 10.0 ${\mu}M$.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이용한 생물시료 중 알킬 페놀류, 클로로페놀류 및 비스페놀 A의 분석법 (Analytical Determination of Alkylphenols, Chlorophenols and Bisphenol A in Biota Samples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홍종기;김협;백인걸;김도균;서정주;서종복;정봉철;표희수;김경례;김용화
    • 분석과학
    • /
    • 제13권4호
    • /
    • pp.484-493
    • /
    • 2000
  • 생물시료 중 존재하는 알킬페놀류, 클로로페놀류 및 비스페놀 A의 동시분석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선택이온검색법에 의해 수행하였다. 시료 중 페놀류는 유기용매로 추출하고 정제과정은 Florisil과 silica 컬럼을 비교분석하였다. 회수율 실험은 각 생물시료에 1-ppm 정도를 첨가하여 수행하였다. 이들의 회수율은 83-116% 정도로 나타났고, 표준편차는 약 2.4-11.9%로 나타났다. 페놀류의 검출한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trimeaylsilyl(TMS) 유도체 방법을 도입하였다. 유도체화 시키지 않은 페놀과 TMS 유도체화된 페놀류의 기체크로마토그래피 성질을 연구하였다.

  • PDF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을 이용한 생체시료 중 Polybrominated Biphenyls의 분석법 (Determination of Polybrominated Biphenyls in Biota Samples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홍종기;백인걸;김협;김도균;서정주;서종복;박현미;이강봉
    • 분석과학
    • /
    • 제13권5호
    • /
    • pp.666-674
    • /
    • 2000
  • 본 연구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을 이용한 생물시료 중 polybrominated biphenyls(PBBs)의 분석법을 설명하였다. 생물 시료 중 PBB류는 40mL 아세톤과 80mL의 헥산 혼합용매에서 초음파추출기 20분간 교반하여 추출하였다. 추출액 중 존재하는 지질성분은 농축 황산용액으로 분해한 후 PBB류는 Florisil 컬럼으로 정제하였다. PBB류를 정량분석하기 위하여 정제액은 GC/MS-selected ion monitoring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본 실험 조건하에서 전반적인 PBB류의 추출율은 77-111%로 나타났다.

  • PDF

해양환경시료(해저퇴적물과 해양생물)에 축적된 석유계총탄화수소(TPHs) 분석에 대한 공정시험기준 제안 (A Proposal of Standard Method for the Analysis of Total Petroleum Hydrocarbons (TPHs) in Marine Sediments and Biota)

  • 김창준;홍기훈;전지연;김석현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49-262
    • /
    • 2010
  • 석유계총탄화수소(Total Petroleum Hydrocarbons, TPHs)는 해양에 존재하는 주요 오염물질이지만 현재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에는 TPHs 함량분석 기준이 해수를 제외한 해저퇴적물과 해양생물에 대해서는 등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유류 오염 관리에서 투명성이 결여될 수 있다. 한편 토양의 TPHs 함량을 조사하는 시험방법은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에 포함되어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의 TPHs 시험방법을 근간으로 하여 실제 해양환경시료인 해저퇴적물과 해양생물 수 종의 시료를 대상으로 이의 적용성을 GC-MSD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 정도 관리를 위한 회수율 검정 방법을 새로이 제안하였고, 해저퇴적물에 포함된 황, 해양생물내의 지질, 그리고 다양한 극성물질들이 TPHs 정량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정제과정을 추가하여 해양환경시료의 TPHs 함량시험방법을 새로 제안하였다.

Tributyltin and Triphenyltin Residues in Pacific Oyster(Crassostrea gigas) and Rock Shell (Thais clavigera) from the Chinhae Bay System, Korea

  • Shin, Won-Joon;Oh, Jae-Ryoung;Kahng, Sung-Hyun;Shim, Jae-Hyung;Lee, Soo-H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3권3호
    • /
    • pp.90-99
    • /
    • 1998
  • Butyltin and phenyltin residues were quantified in seawater and biota of the Chinhae Bay System, Korea in 1995. Butyltin compounds were detected in all seawater and biota samples, whereas phenyltin compounds were found only in the biota samples. Tributyltin (TBT) concentrations in seawater ranged from < 8-35 ng Sn/l. Tributyltin concentrations in Crassostyea gigas and Thais clavigera ranged from 95-885 and 23-414 ng Sn/g, respectively, Triphenyltin(TPhT) concentrations in each species ranged 155-678 and 46-785 ng Sn/g, respectively. Spatial distribution of TBT was closely related to boating and dry-docking activities. However, spatial distribution of TPhT was not consistent with that of TBT. The biological concentration factor for TBT in C. gigas was about 25000 that is four times greater than that of T. clavigera. Butyl- to phenyltin concentration ratio was greater than one in C. gigas, but that in T. clavigera was less than one. Major tissues of C. gigas also showed different accumulation patterns for butyl- and phenyltin compounds. Furthermore, 19 and 28% of total body burdens of TBT and TPhT were found in gonadal mass of C. gigas just prior to spawn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