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ASQ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33초

지역사회 아동의 Korean-Age and Stage Questionnaire 타당도와 효용성 연구 (A Study on the Validity and Utility of Korean-Age and Stage Questionnaire for Children in Community)

  • 이성아;황상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390-3397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아동을 대상으로 발달지연 선별검사 중 부모-보고형 검사인 Korean-Ages and Stages Questionnaires(K-ASQ)의 타당도와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에서 연구대상은 선별검사에 동의한 229명 아동의 부모들과 유전적 질환 혹은 선천적 발달 지연이 보고되지 않은 3~5세 아동들이었다. 연구결과 K-ASQ는 민감도 0.41%, 특이도 0.76%, 과다의뢰율 0.14%, 과소의뢰율 0.21%이였으며, 지연발달과 정상발달 예측율은 지연 발달에서는 K-ASQ 0.70%, 정상발달 예측율은 K-ASQ 0.77%로 나타났다. K-ASQ의 타당도는 정상아동을 정상으로 선별하는 특이도가 민감도보다 높았으며, 지연발달과 정상발달 예측율에서도 K-ASQ는 70% 이상으로 임상에서 아동발달 선별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SQ :소아과외래에서의 발달지연 선별검사 (The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 screening for developmental delay in the setting of a pediatric outpatient clinic)

  • 김은영;성인경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11호
    • /
    • pp.1061-1066
    • /
    • 2007
  • 목 적 : 소아의 발달 장애는 조기에 발견하면 조기 치료가 가능하게 되어 치료 효과가 높아지고 후유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다. 발달 장애의 조기 발견을 위하여 기존에 사용해 오던 정식 발달 선별검사는 대부분 시간이 오래 걸리고, 복잡하며, 의료인력이 추가로 필요하기 때문에 바쁜 소아과 외래에서 모든 소아에게 적용하기는 어렵다. 기존의 발달검사 대신에 부모가 작성한 내용을 토대로 평가하는 발달 설문 양식들 중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 (ASQ)는 60개월 이전의 소아의 발달 선별을 목적으로 개발된 검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과 외래에서 시행하는 발달 지연의 선별 도구로서 ASQ의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방 법 :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성모병원 소아과 외래를 방문한 소아의 부모에게 진료 전 대기 시간 동안 한국형 ASQ (K-ASQ)를 완성하도록 하였다. 설문지를 완성한 총 150명 중 만삭 출생아이며 이전에 발달지연의 진단을 받은 적이 없고, 기타 선천성 기형, 경련성 질환을 포함한 신경학적 이상, 유전성 질환의 경력이 없는 소아 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K-ASQ는 각 영역별로 평균에서 2 표준편차(SD) 아래 점수보다 낮으면 "실패"로 판정하며, 한 발달 분야 이상에서 "실패"가 있는 경우를 "선별검사 양성"으로 하였다. 최종 발달평가는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II (BSID-II)를 사용하여 판단하였으며, 지능 혹은 운동발달 지수가 평균보다 -1 SD 미만인 경우는 발달지연으로 판정하였다. K-ASQ의 결과를 BSID-II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1) 대상아의 평균 연령은 $16.4{\pm}7.4$개월($6{\pm}30$개월 범위, 중앙치 14개월)이었다. 10명(14.9%)은 출생 시 부당경량아였으며, 평균 출생체중 $3.1{\pm}0.6kg$, 재태기간 $38.8{\pm}1.4$주이었다. 9명(13.4%)이 쌍생아였고, 33명(49.0%)이 남아였다. 대상 소아들의 모친의 평균 교육 기간은 $13.6{\pm}2.4$년, 53명(79.1%)이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졌고, 21명(31.3%)이 정규직 근무자였다. ASQ 설문지를 완성하는데 평균 $10.2{\pm}3.0$분이 소요되었다. (2) 17명(25.4%)이 ASQ 선별검사 양성이었는데, 그 중 4명은 발달이 지연되었고, 나머지 13명의 발달은 정상이었다. BSID-II로 판정한 발달 지연아 8명 중 4명은 ASQ 선별검사에서 양성이었고, 다른 4명은 선별검사 음성이었다. ASQ 선별검사 음성인 50명 중 4명이 발달지연으로 판단되었다. (3) BSID-II와 비교한 K-ASQ의 민감도(sensitivity)는 50.0%, 특이도(specificity) 78.0%, 양성 예측치 (positive predictive value) 23.5%, 음성 예측치(negative predictive value)는 92.0%로 나타났다. 결 론 : K-ASQ는 높은 음성 예측치를 보여 소아과 외래에서 소아 발달 지연의 선별 도구로서 사용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Stigma Questionnaire

  • Rim, Soo Jung;Jang, Hyesue;Park, Subi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9권3호
    • /
    • pp.122-128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Stigma Questionnaire (ASQ) and the effect of the source of information about mental health on ADHD stigma. Methods: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ASQ was prepared, and 673 participants, 20-64 years of age, completed the questionnaire using an online panel survey in South Korea. The participants also completed questionnaires detailing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the source of their mental health knowledg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used to explore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ASQ. Factor analysis using Varimax rotation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the ASQ. Results: The 26-item ASQ demonstrated excellent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alpha=0.940). Factor analysis supported a three-factor structure, including Concerns with Public Attitudes, Negative Self-Image, and Disclosure Concern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ASQ score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Participants who reported the internet as their major source of information about mental health showed higher ASQ scores compared to those who used other sources for mental health information. Conclusion: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ASQ has acceptable psychometric properties among Korean adults. Inaccurate information from the internet could increase the stigma toward ADHD.

조산아의 발달 지연 선별 검사로 사용되고 있는 ASQ의 효용성 (A Validity Study of the Korean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s: Screening for Developmental Delay in Preterm Infant)

  • 김윤주;이주영;손진아;이은희;이진아;최창원;김이경;김한석;김병일;최중환
    • Neonatal Medicine
    • /
    • 제17권2호
    • /
    • pp.217-223
    • /
    • 2010
  • 목적 : 지난 20년간 주산기 관리 및 신생아학의 발전으로 28주 미만의 조산아 및 1,000 g 미만의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생존률은 증가하였으나 이환률의 감소는 뚜렷하지 않다. 이러한 고위험군 신생아들의 신경 발달 문제에 대해서는 조기 진단을 통해 적절한 시기에 중재를 시작하는 것이 예후를 개선한다고 알려져 있어 발달 지연을 선별하는 수단들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s(K-ASQ)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Bayley scales of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BSID-III)의 결과와 비교분석 하였다. 방법 : 2006년 10월 30일부터 2010년 8월 1일까지 기간 동안 서울대학교 어린이 병원 신생아 분과 외래에서 K-ASQ 및 BSID-III를 모두 시행한 37주미만 조산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BSID-III의 -1SD 미만을 발달 지연으로 보고 K-ASQ의 민감도, 특이도를 산출하고 각 발달 영역에 따라 다시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 환자의 평균 출생 주수는 28$\pm$2.87 week(median, 28.43 weeks; range 23.57-35.86 weeks) 이었으며 출생 체중은 1,027$\pm$363 g (median, 950 g; 480-2,870 g) 이었다. 8개월 BSID-III를 시행한 환아는 115명, 18개월 BSID-III를 시행했던 환아는 58명으로 전체 1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8개월 K-ASQ의 민감도는 0.2, 특이도는 0.93, 18개월 K-ASQ의 민감도는 0.72, 특이도는 0.94로 높은 특이도를 보이고 민감도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상승하였다. BSID-III와 K-ASQ의 항목별로 짝을 지어 민감도 및 특이도도 산출하였으며 K-ASQ의 문제해결 항목의 민감도는 8개월에 0.09, 18개월에 0.3 였고 의사소통 항목은 민감도가 8개월에 0, 18개월에 0.29 대근육 항목은 8개월에 0.11, 18개월에 0.8, 소근육 항목은 8개월에 0.2, 18개월에 0.67 였다. 특이도는 최소 항목이 0.92로 지속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 ASQ는 개발 과정에서 전체 인구를 대상으로 선별 검사를 할 목적으로 만들어져 민감도가 높지 않았으며 이는 미숙아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ASQ를 고위험군에서의 선별검사로서 이용하기에는 제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낮은 연령에서 더욱 뚜렸하였다.

아동의 발달지연과 가족환경과의 관련성 (Relation of Developmental Delay and Family Environment of Children in Community)

  • 이성아;박수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275-284
    • /
    • 2010
  • 본 연구는 3-5세 아동을 대상으로 발달선별검사인 K-DDSTII, K-ASQ을 실시하여 발달지연 결과를 가진 하부검사와 가정환경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K-DDST에서는 가족환경 중 아버지의 나이와 개인사회성, 어머니의 나이와 교육력이 대동작과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또한 K-ASQ에서는 의사소통과 성별, 출생순서와 부모의 교육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문제해결과 출생순서, 그리고 하부검사 중 하나이상의 발달지연이 있는 경우는 성별과 출생순서와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 발달선별 검사 시에 가족환경에 관한 조사가 병행된다면 아동 발달에 대한 선별검사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의 하나일 수 있음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애착의 평가 (THE MEASUREMENT OF ATTACHMENT)

  • 이경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5권1호
    • /
    • pp.28-39
    • /
    • 2004
  • 본 글에서는 애착유형과 정도를 측정하는 심리학적 평가도구들에 대해 발달연령적 접근으로 살펴보았으며 각 도구들의 신뢰성, 타당성과 관련된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영유아기의 애착평가도구로는 낯선상황절차(SSP), 애착Q-Set(AQS)을, 유아/아동기 도구로는 $3{\sim}4$세 유아용 애착평가도구인 Cassidy-Marvin의 애착유형체계, Crittenden의 PAA, Main과 Cassidy의 애착유형평가와 인형놀이기법을 이용한 MSSB와 애착유형별 가족그림분석을 소개하였다. 아동/청소년기 도구로는 부모와 또래와의 애착을 재는 자기보고식 질문지인 IPPA를, 청소년기/성인기 도구로는 성인애착면접(AAI)과 성인들간의 낭만적 애착을 재는 ASQ를 소개하였다.

  • PDF

의학문서 질의응답을 위한 정답 스닛핏 검색 (Answer Snippet Retrieval for Question Answering of Medical Documents)

  • 이현구;김민경;김학수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3권8호
    • /
    • pp.927-932
    • /
    • 2016
  • 온라인 의학 문서의 폭발적 증가와 함께 질의응답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늘어나고 있다. 최근에는 기계학습에 기반 한 질의응답 모델들이 다양한 영역에서 좋은 결과를 보여 왔다. 그러나 의학 영역에서 질의응답 모델들은 학습 데이터의 부족으로 인해 여전히 정보 검색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정보검색 기술에 기반 한 의학문서 질의응답용 정답 스닛핏 검색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먼저 클러스터 기반 검색 기술을 이용하여 의학 문서로부터 많은 정답 후보 문장을 검색한다. 그리고 다양한 문장 검색 기술들에 기반 한 정답 후보 문장 재순위화 모델을 사용하여 신뢰성 있는 정답 스닛핏을 생성한다. BioASQ 4b 데이터를 이용한 실험에서 제안 모델은 기존 모델보다 좋은 성능(MAP 0.0604)을 보였다.

뉴로피드백 훈련이 장기요양시설노인의 뇌기능지수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Neurofeedback Training on Brain Function Quotient of Elderly with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

  • 윤미경;현경선;박병운;이광심;정동례;이정은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8권2호
    • /
    • pp.111-119
    • /
    • 2012
  • Purpose: Recently, Neurofeedback training system that based on biofeedback of brain wave was introduc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improvement of brain function by Neurofeedback training on elders(the 2nd or 3rd grade of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s). Methods: A quasi-experimental design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was used. Total 11 elderl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experimental group 5, control group 6).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3 times a week for 30 minutes from January to June, 2012 (total 60 times). Chi-square test and Mann-Whitney U-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After the Neurofeedback intervention, attention quotient (AQ), anti-stress quotient (ASQ), emotion quotient (EQ) and brain quotient (BQ)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bett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Neurofeedback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in reducing fatigue by AQ, increasing the physical and mental stress resistance by ASQ, emotional balance by EQ and improving of total brain function by BQ. Therefore Neurofeedback training be used as an effective training intervention for the health of elderly in geriatric facility.

음향 인텐시티법을 이용한 GDI 엔진 소음원 규명 및 소음 기여도 분석에 관한 연구 (Identification of Airborne-noise Source and Analysis for Noise Source Contribution of a GDI Engine Using Sound Intensity Method)

  • 김병현;이상권;윤준석;신기철;이상직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10호
    • /
    • pp.985-993
    • /
    • 2012
  • In this paper, a new method is proposed to estimate the sound pressure generated from gasoline direct injection (GDI) engine. There are many noise sources as much as components in GDI engine. Among these components, fuel pump, fuel injector, fuel rail, pressure pump and intake/exhaust manifolds are major components generated from top of the engine. In order to estimate the contribution of these components to engine noise, the total sound pressure at the front of the engine is estimated by using airborne source quantification (ASQ) method. Airborne source quantification method requires the acoustic source volume velocity of each component. The volume velocity has been calculated by using the inverse method. The inverse method requires many tests and has ill-condition problem. This paper suggested a method to obtain volume velocity directly based on the direct measurement of sound intensity and particle velocity. The method is validated by using two known monopole sources installed at the anechoic chamber. Finally the proposed method is applied to the identification and contribution of noise sources caused by the GDI components of the test engine.

영아의 언어발달 영향요인에 관한 종단 분석 (A Longitudin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Language Development in Infants)

  • 김민석;호운운;왕문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457-465
    • /
    • 2019
  • 본 연구는 영아의 언어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한국아동패널 1차년도(2008년)부터 3차년도(2010년)까지 3개년도의 패널 데이터를 구성하여 패널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 참여 영아 2,150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고, 한국아동패널에서 제공하는 K-ASQ 검사의 의사소통 점수를 활용하여 영아의 언어발달 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영아의 언어발달 영향요인들을 모형에 투입하였으며, 가구 및 부모 특성에 주목하여 영아의 언어발달 영향 요인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하우스만 검정을 통해 패널의 개체 특성 오차항을 고정한 고정효과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영아의 인지발달 수준이 높아질수록,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행동이 많아질수록 영아의 언어발달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언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가구 및 부모 특성에 대한 결론 및 제언을 첨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