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ACAP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43초

리턴채널 데이터방송 송출을 이용한 지상파 대역폭 한계 극복 (Overcome Terrestrial Bandwidth using Data Broadcasting through Return Channel)

  • 이동준;김정덕;이상주;이종화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 /
    • pp.149-152
    • /
    • 2005
  • 데이터방송 표준 관련해서 지난 2005년 8월에 미국 지상파 데이터방송 표준인 ATSC ACAP이 정식으로 통과되면서 우리나라의 지상파 데이터방송 표준도 2005년 9월에 ACAP 표준을 따르도록 새롭게 제정되었다. 따라서, 정통부와 방송사 그리고 관련 가전사들간에 지상파 데이터방송 본방송 일정에 관한 협의가 본격적으로 이뤄지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그러나, 지상파 데이터방송은 근본적으로 지상파 DTV 채널의 대역폭이 제한되어 있어서 다양한 데이터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전송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오브젝트 캐로설 구성 시 ACAP 표준의 ACAP-X 프로파일에서 규정된 BIOPProfileBody 뿐만 아니라 HTTPProfileBody도 ACAP-J 프로파일에서 추가로 지원하도록 하여 실제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고 있는 일부 혹은 전체 파일 오브젝트를 지상파 온에어 채널로 전송하는 대신 리턴채널을 이용하여 빠르게 전송하는 방법을 연구 ${\cdot}$ 개발하였다.

  • PDF

SCORM-ACAP 상호운용 기반의 T-Learning 콘텐츠 및 운용환경 개발 (Development of Content and Running Environment based on SCORM-ACAP Interoperability)

  • 배일환;이범진;문남미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 /
    • pp.21-25
    • /
    • 2004
  • 최근 IT를 포함한 모든 산업 및 기술 영역에서는 포준화 활동을 기반으로 하여 융복합화(Convergence)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는 또한 e-Learning 산업 및 기술에서도 큰 화두이다. 현재 e-Learning 표준화에서 시장에서 주도권을 행사하고 있는 것은 ADL의 SCORM 규격이다. 데이터방송 영역에서는, 북미에서 지상파와 케이블 TV간 콘텐츠 호환성 확보를 위해 ATSC와 케이블랩(CableLabs)이 공동 연구 중인 ACAP을 통해서 지상파-케이블 공통 표준화가 진행중이다. 이에 본 논문은 3-Learning 산업 및 기술에서의 융복합화의 일 영역으로 그리고 방송통신융합서비스의 일환으로 인터넷 기반 학습 환경과 TV 기반 학습 환경에서의 학습 콘텐츠 ( 및 코스웨어) 상호운용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터넷 기반의 e-Learning의 사실상의 표준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SCORM 규격과 DTV 환경 기반의 데이터방송 지상파-케이블 공통 규격인 ACAP간의 상호운용 API 개발을 통하여, SCORM 규격과 ACAP 규격의 상호운용성을 가능하게 하는 학습 콘텐츠 및 T-Learning 운용환경을 연구$\cdot$개발하였다.

  • PDF

단방향 맞춤형 방송 환경에서의 객체 캐루젤(Object Carousel) 기반의 TV-Anytime Metadata 전송 기법 (TV-Anytime metadata delivery method based on object carousel for unidirectional personalized broadcasting environment)

  • 김승현;임종태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297-304
    • /
    • 2004
  • TV-Anytime 규격은 맞춤형 방송 서비스를 위한 metadata의 표준을 규정하고 있다. 맞춤형 방송 서비스를 위해서는 metadata가 각 방송 시스템에 적합한 전송 방식을 사용하여 전송되는데, MPEG-2를 기반으로 하는 단방향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는 섹션 (Sections), 데이터 캐루젤(Data Carousel)이나 객체 캐루젤(Object Carousel) 등의 방법으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ATSC-ACAP이나 DVB-MHP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방송(Data Broadcasting)에서 사용되는 객체 캐루젤 전송 방식을 통해 TV-Anytime metadata을 전송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객체 캐루젤을 이용한 TY-Anytime metadata의 전송을 ACAP 데이터 방송 단말기에 적용하여 구현한 예를 소개한다.

디지털 셋탑박스 미들웨어를 위한 검증 어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erification Application for Digital Settop-box Middleware)

  • 이주용;이원주;전창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3 No.1 (A)
    • /
    • pp.256-258
    • /
    • 2006
  • 최근 본격적인 지상파 디지털 방송 서비스가 급속히 확산되면서 케이블 TV와 지상파 TV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셋탑박스(settop-box)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셋탑박스를 검증할 수 있는 검증 어플리케이션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상파 TV와 케이블 TV에 공용으로 사용되는 디지털 셋탑박스(settop-box)가 ACAP과 OCAP 미들웨어 표준에 따라 개발되었는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 검증 어플리케이션은 ACAP과 OCAP 표준에 명시된 자바 API를 셋탑박스에서 제공하는지 여부와 올바른 필수 기능의 구현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그리고 실험을 통하여 본 논문에서 구현한 검증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면 OCAP 표준의 경우 99%, ACAP표준의 경우 95%를 검증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Deposition Process of Sulfate and Elemental Carbon in Japanese and Thai Forests

  • Sase, Hiroyuki;Matsuda, Kazuhide;Visaratana, Thiti;Garivait, Hathairatana;Yamashita, Naoyuki;Kietvuttinon, Bopit;Hongthong, Bundit;Luangjame, Jesada;Khummongkol, Pojanie;Shindo, Junko;Endo, Tomomi;Sato, Keiichi;Uchiyama, Shigeki;Miyazawa, Masamitsu;Nakata, Makoto;Lenggoro, I. Wuled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6권4호
    • /
    • pp.246-258
    • /
    • 2012
  • Particulate matter deposited on leaf surfaces may cause erosion/abrasion of epicuticular wax and the malfunction of stomata. However, the deposition processes of particulate matter, such as elemental carbon (EC), has not been studied sufficiently in Asian forest ecosystems. Deposition processes for particulate ${SO_4}^{2-}$ and EC were studied in a Japanese cedar forest in Kajikawa, Niigata Prefecture, Japan, and in a dry evergreen forest and a dry deciduous forest in Sakaerat, Nakhon Ratchasima province, Thailand. The ${SO_4}^{2-}$ fluxes attributed to rainfall outside the forest canopy (RF), throughfall (TF), and stemflow (SF) showed distinct seasonalities at both sites, increasing from November to February at the Kajikawa site and in March/April at the Sakaerat site. Seasonal west/northwest winds in winter may transport sulfur compounds across the Sea of Japan to the Kajikawa site. At the Sakaerat site, pollutants suspended in the air or dry deposits from the dry season might have been washed away by the first precipitations of the wet season. The EC fluxes from RF and TF showed similar variations by season at the Kajikawa site, while the flux from TF was frequently lower than that from RF at the Sakaerat site. Particulate matter strongly adsorbed onto leaf surfaces is not washed away by rainfall and contributes to the EC flux. At the Kajikawa site, Japanese cedar leaf surfaces accumulated the highest levels of particulate matter and could not be neglected when calculating the total flux. When such leaf-surface particles were considered, the contribution of dry deposition to the total EC flux was estimated to be 67%, 77%, and 82% at the Kajikawa site, and at the evergreen and deciduous forests of the Sakaerat site, respectively. Leaf-surface particles must be included when evaluating the dry and total fluxes of particulate matter, in particular for water-insoluble constituents such as EC.

데이터방송 표준간 호환 가능한 저작도구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ata Broadcasting Authoring Tool for Multi-platforms)

  • 이차원;남윤석;김정환;나희주;김성원;정문열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349-362
    • /
    • 2006
  • 디지털 방송에서는 양방향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표준이 존재한다. 우리나라에서 지상파 방송은 ACAP(Adva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 위성 방송은 MHP(Multimedia Home Platform), 케이블 방송은 OCAP(OpenCable Application Platform)을 사용한다. 표준이 다르면 데이터방송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달라지고, 한번 만들어진 애플리케이션을 이종(異種) 매체를 통해 전송하려 할 경우 다시 만들어야하는 낭비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방송 표준을 비교하여, 어떠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들이 사용되는지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의 내용을 각 표준별 애플리케이션으로 변환 가능한 XML 파일로 표현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XML 파일을 자동생성하는 저작도구를 구현하였다. 저작도구를 이용하여 제작된 Xlet 애플리케이션이 각 표준 환경에서 동일하게 작동하는지를 실험 검증하였다.

IPTV기반 방통융합 양방향 공공서비스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PTV based interactive public services of Converged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 박주기;최은복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89-496
    • /
    • 2010
  • 방송통신 융합 환경에서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표준화나 규격정립이 되어 있지 않으므로 인해, IPTV 사업자별로 별도의 IPTV 서비스 개발 및 운영이 될 우려가 있으며, 이에 따른 공공기관과 IPTV사업자들의 중복투자 및 운영의 비효율성이 야기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ACAP-J기반의 One Source Multi-Use를 위한 양방향VOD형 공공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중복투자를 막고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복수의 공공기관과 복수의 IPTV사업자간 효율적인 서비스연동 및 통신망 연동 체계와 One Source Multi-Use 구현을 위한 ACAP-J기반의 서비스 제공 플랫폼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향후 IPTV기반 공공서비스 진화에 따른 신규서비스 개발을 위한 표준 플랫폼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시스템 개발을 위해 사용된 기술은 신규서비스 구축을 위한 가이드로 활용이 가능하다.

  • PDF

IPTV기반 방통융합 양방향 VOD형 공공서비스 구현 방안 (The development plan for IPTV-based(broadcasting-telecommunication convergence) interactive VOD-type public services)

  • 박주기;김형래;이성재;박길주;최은복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79-482
    • /
    • 2009
  • 방송통신 융합 환경에서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표준화나 규격정립이 안되어 있어 현 시점에서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IPTV 사업자별로 별도의 IPTV 서비스 개발 및 제공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중복투자 및 운영의 비효율성이 우려된다. IPTV기반 방통융합공공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공공기관과 IPTV사업자들의 중복투자를 막고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복수의 공공기관과 복수의 IPTV사업자간 효율적인 서비스연동 및 통신망 연동을 위한 체계 정립이 필요하다. 또한 One Source Multi-use 구현을 위한 ACAP-J기반의 서비스 표준플랫폼 정립을 통한 상호 연계 방안 확립이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ACAP-J기반의 One Source Multi-use를 위한 양방향VOD형 공공서비스 제공 방안과 관련 규격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