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 jedo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초

Geographic Variations between Jedo Venus Clam (Protothaca jedoensis, Lischke) Populations from Boryeong and Wonsan of Korea

  • Park, Gi-Sik;Yoon, Jong-Man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24
    • /
    • 2008
  • GDNA was isolated from the jedo venus clam (Protothaca jedoensis, Lischke) from Boryeong (jedo venus clam from Boryeong JVCB) and Wonsan (jedo venus clam from Wonsan; JVCW) located in the West Sea and the East Sea of Korean Peninsula, respectively and we performed clustering analyses, DNA polymorphisms and the populations genetic variations. In the present study, the seven decamer primer generated the one hundred and eleven major/minor specific bands in JVCB population and ninety four-specific bands in JVCW population. Seven primers generated the unique shared bands to each population of one hundred and seventy-six, on average of 25,1, in JVCB population from Boryeong and three hundred thirty, on average of 47,1, in JVCW population from Wonsan, respectively. The dendrogram obtained by the seven oligonucleotides primers, indicates two genetic clusters. Especially, two Protothaca between the individual WONSAN no. 12 and BORYEONG no. 10 showed the longest genetic distance (0.537) in comparison with other individuals used. Accordingly, RAPD analysis showed that the JVCB was a little more genetically diverse than the JVCW population. This result implies the genetic similarity owing to rearing in the same and/or similar circumstances or inbreeding within the JVCW population. So to speak, JVCB population may have high levels of genomic DNA variability owing to the introduction of the wild individuals from the other sites to sampling sites although it may be the geographically diverse distribution of this species.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it did not appear like that really in this study. We feel convinced that RAPD analysis discovered a significant genetic distance between two Protothaca population pairs (P<0.001). The existence of population discrimination and genetic diversity between two Protothaca populations was identified by RAPD analysis.

  • PDF

한국거제도 단골해면목(보통해면류)의 2종 (Two Species of Haplosclerida (Demospongiae) from K jedo, Korea)

  • 심정자;이경진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3권1호
    • /
    • pp.55-60
    • /
    • 1997
  • 한국 거제도에서 여러 차례 채집되어온 표본들을 정리한 결과 보통해면류, 단골해면목에 속하는 1신종 대포톡사해면(Taxadocia daepoensis n.sp.)과 한국미기록종인 가시예쁜해면(Callyspongia subarmigera Ridely, 1844)을 보고한다.

  • PDF

RAPD 방법을 이용한 거제도, 개도, 제도해역에서 채집한 말잘피 개체분석 (Population analysis of eelgrass, Zostera marina L. in Geojedo, Gaedo, and Jedo on the southern coastal water of Korea using RAPD-PCR)

  • 조은섭;이상용;김정배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55-461
    • /
    • 2007
  • 본 연구는 말잘피 군집의 유전적 구조 및 다양성 분석은 잘피 관리를 위해서 시행했다. 거제도, 개도, 제도연안에 서식하는 잘피를 대상으로 RAPD분석에 따른 유전적 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제도는 개도 및 제도와는 100 km 이상 떨어진 지역에 서식하는 잘피의 유전적 거리는 0.16으로 나타난 반면에,개도와 제도의 유전적 거리는 0.08정도로 보이고 있다. 거제도에 서식하는 잘피의 개체내 유전적 유사도는 70% 이상으로 나타났으나, 개도와 제도에 비하면 낮은 유사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남해안에 서식하고 있는 잘피의 개체는 지역적 거리에 따라 유전적으로 상이한 집단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원인은 시스트 확산 및 유전자 이동률 제한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 서해산 살조개 (Protothaca jedoensis) 의 식물플랑크톤 먹이 선택성 (Feeding Selectivity of the Jedo Venus Clam, Protothaca jedoensis on Phytoplankton)

  • 조수근;김지현;김용호;이창훈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7-34
    • /
    • 2004
  • Based on both field and laboratory experiments, seasonal changes in the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phytoplankton in the gut contents of the jedo venus clam, Protothaca jedoensis, and its feeding selectivity were investigated. The phytoplankton in the gut contents comprised Bacillariophyceae (diatom), Chlorophyceae, Chrysophyceae, and Dinophyceae, of which the diatoms being the most predominant throughout the year. Although the number of species and the abundance of phytoplankton in the sea water were always more diverse and more abundant than in the gut contents, the relative number and abundance were generally similar in the seawater and in the gut contents. In the laboratory experiments, the relative abundances of Coscinodiscus marginatus and Thalassirosira eccentrica were much more higher in the gut contents than any other algal species, while Paralia sulcata, Skeletonema costatum, and Eucampia zodiacus were abundant in order of cell density in the ambient wat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P. jedoensis may feed preferably on single algal cell or smaller chains of algal cells.

  • PDF

한국 서해산 살조개 Protothaca jedoensis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the Jedo Venus Clam, Protothaca jedoensis on the West Coast of Korea)

  • 김지현;김종식;김용호;정의영;류동기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5-132
    • /
    • 2003
  • 1999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월 충남 보령연안에 서식하는 살조개 총 2,591 개체를 채집하여 연령과 성장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살조개의 패각에 나타나는 윤문은 연 1회 형성되었으며, 윤문형성 시기는 2-3월 중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각고(SH)에 대한 각장 (SL), 각폭 (SW) 및 총중량 (TW) 사이의 상대성장 관계는 각각 SL = 1.1067 SH + 1.778, SW = 0.6758 SH - 0.9824, TW = 0.0007 SH$^{2.8919}$이었고, 연령 (t) 에 대한 각고와 총중량으로부터 구한 von Bertalanffy 성장식은 SH$_t$ = 81.546(1-e$^{-0.176(t+0.381)}$), $_t$ = 81.546(1-e$^{-0.176(t+0.381)}$)이었다.

  • PDF

한국産 참올챙이새우屬 (올챙이새우目, 참올챙이새우科) 의 2미기록종 (Two Species of the Genus Bodotria (Cumacea, Bodotriidae) from Korea)

  • 이창목;이경숙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3권3호
    • /
    • pp.259-267
    • /
    • 1997
  • 거제도와 제주도에서 채집된 올챙이새우류를 동정한 결과 Bodotria(참올챙이새우)속에 속하는 2 한국미기록종인 B. biplicata Gamo, 1964와 B. carinata Gamo, 1964가 확인되어, 각각 곰보두줄참올챙이새우와 네모참올챙이새우로 명명하여 보고한다. 특히, B. carinata의 수컷에 관한 기재는 학계에 처음으로 보고되는 것이다. 이로써 한국산 올챙이새우류는 총 3과 5속 10종이 된다.

  • PDF

Barrier-Transition Cooling in LED

  • Kim, Jedo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4-51
    • /
    • 2013
  • This paper proposes and analyzes recycling of optical phonons emitted by nonradiative decay, which is a major thermal management concern for high-power light emitting diodes (LED), by introducing an integrated, heterogeneous barrier cooling layer. The cooling i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phonons absorbed per electron overcoming the potential barrier, while the multi-phonon absorption rate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is number. We address the theoretical treatment of photon-electron-phonon interaction/transport kinetics for optimal number of phonons (i.e., barrier height). We consider a GaN/InGaN LED with a metal/AlGaAs/GaAs/metal potential barrier and discuss the energy conversion rates. We find that significant amount of heat can be recycled by the barrier transition cooling layer.

살조개, Protothaca jedoensis의 성성숙과 성비 (Sexual Maturation and the Sex Ratio of the Jedo Venus, Protothaca jedoensis (Bivalvia: Veneridae))

  • 김지현;정의영;김용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17
    • /
    • 2003
  • 1999년 1월부터 12월까지 한국 보령 연안에 서식하는 살조개 ( Protothaca jedoensis) 를 대상으로 생식소지수, 생식소 성숙 및 산란에 따른 생식주기, 산란기, 군성숙도, 그리고 성비 등 생식생태를 조사하였다. 생식소는 내장낭의 간중장선 외측을 둘러싸고 있는 외벽 근섬유막으로부터 족부의 외벽근 섬유막 사이에 있는 망상결체 조직층 사이에 다수의 소낭 또는 세관으로 분포하였다 . 난소는 수많은 난소소낭으로, 정소는 다수의 정소세관들로 구성되어 있다. 암수의 생식소지수 (GI)의 월별 변화는 2월부터 점진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하여, 5월에 최대에 이른 후 6월부터 급격히 감소하여 11월에 최소에 이르고 있어 생식주기의 변화와 유사하였다. 본 종의 산란기는 1년에 1회로 5-7월사이에 일어나며, 산란성기는 해수 수온이 20$^{\circ}C$이상인 6월과 7월사이 이었다. 살조개 암수의 생식주기는 초기활성기 (12-3월), 후기활성기 (2-5월), 완숙기 (4-7월), 부분산란기 (5-8월), 퇴화 및 비활성기 (7-1월) 의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암수 개체의 군성숙도(%) 는 각장 30.1-35.0 mm 인 경우 군성숙도 (%) 는 각각 52.6%와 60.0%이었고, 각장 45.1 mm 이상인 암 ,수 개체들의 성비는 1:1로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았다(X$^2$ = 0.40, p > 0.05).

  • PDF

음향메타물질 단위격자 축소를 통한 소리 차단 (Sound Blocking Using Acoustic Metamaterial Scaling)

  • 박성준;송경준;김제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71-376
    • /
    • 2015
  • 본 연구는 지그재그 형상의 음향메타물질 구조체를 1:1, 1:2와 1:4의 축척으로 구성하여 순차배치시킴으로써 나타나는 광대역 음파차단 현상을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단위격자를 축소시킨 구조체의 투과 음압레벨(Sound Pressure Level, SPL)은 각 구조체의 독립적인 투과 특성을 중첩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었으며 이로인해 음파차단 대역폭과 크기가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유효물질 이론을 이용하여 음향메타물질이 매질의 임피던스와 굴절률을 높이는 것을 확인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메타물질을 이용하고 이를 단위격자를 축소시킴으로써 효과적인 광대역 소리차단을 실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비성패류독의 제독방법 및 패류독성과 원인플랑크톤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Detoxification of PSP and relationship between PSP toxicity and Protogonyaulax sp.)

  • 장동석;신일식;김지회;변재형;최위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77-188
    • /
    • 1989
  • 임비성패류독의 제독방법 및 패류독성과 원인 플랑크톤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1987년과 1988년 2월 부터 6월 사이에 마산의 수정, 진동의 양도, 거제도의 하청 해역에시 진주담치의 PSP 함량과 해수의 온도, pH, 염분농도와의 관계와 1989 년 3월부터 6월 사이에 부산의 감천만 해역에서 진주담치의 PSP 함량과 Protogonyaulax sp.의 밀도, 그리고 해역의 무기염(질소와 인) 농도와의 관계를 조사하고 독화된 진주담치의 자숙온도 및 시간에 따른 독력변화를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SP가 빈번히 검출되는 2월과 5월 사이에 있어서 같은 해역이라도 PSP의 검출률이나 독소함양은 연도에 따라 심한 차이가 있었다. 2. 진주담치 서식해역의 수온이 $8.0^{\circ}C$에서 $14.0^{\circ}C$ 사이일 때 PSP가 주로 검출되었다. 3. 부산 감천만 해역에서 진주담치의 PSP 함양과 Protogonyaulax sp.의 밀도 사이에 출현초기에는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항상 일정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4. Protogonyaulax sp.의 밀도는 $NO_3-N$의 농도와 가장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5. 진주담치의 PSP는 $70^{\circ}C$ 이하에서는 60분간 자숙에도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80^{\circ}C$ 이상에서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감독률도 증가하였다. 6. 독력이 $150{\mu}g/100g$인 진주담치는 자숙 30분만에 동물실험결과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5400{\mu}g/100g$인 진주담치의 경우는 90분 이상 자숙하여도 식품위생상 안전한 수준으로 감독시킬 수 없었다.30 mm로 체측의 흑색소포의 분포상태와 체형이 성어와 닮아 있다. 두개골 및 내흉골은 부화 $9\~10$일째의 전장 6.0mm에서 골화되기 시작하여 치어기에 달한 부화후 $40\~43$일째의 전장 13.50 mm에 이르러 골화가 완전하게 이루어진다. 척추골은 복추골이 먼저 발달하여 미추골쪽으로 골화가 진행되며, 각 추체에 대응하는 배경극과 혈관극이 추체보다 늦게 골화한다. 척추골수는 12+21=33개이다. 요대골은 편수골 중 쇄골의 하단과 접착되어 있다. 미골은 미부봉상골 앞의 추체가 먼저 골화된 후에 골화가 진행된다. 골격은 부화 $9\~10$일째인 전장 6.0 mm의 자어에서 섭이와 호흡에 연관된 부분부터 먼저 골화가 일어나 빠른 속도로 발달이 진행되어 부화 40-43일째인 전장 13.52 mm를 전후하여 대부분의 골격이 완성된다. 체장 9.87cm, 수컷은 9.65cm이었다. 병어는 채집된 최소체장인 암컷 18.6cm, 수컷 16.7cm 이상에서 $100\%$ 전개체가 재생산에 참여하였다.전체의 $80.8\%$를 차지하였다. 고등어분말수우프의 맛성분은 건물량 기준으로 유리아미노산 및 관련화합물이 1,279.4 mg/100g, 불휘발성유기산이 948.1mg/100g, 핵산 관련물질 672.8 mg/100g, 총 creatinine이 430.4 mg/100g, betaine 86.6mg/100g 및 미량의 TMAO로 이루어져 있었고 국물로 우려낼때 맛성분의 추출조건은 $100^{\circ}C$에서 1분간의 고온단시간 추출이 적합하였다. 증가를 나타내었는데, 저장기간에 따른 물성의 변화는 숭어에 비하여 붕장어가 적었다.양식산은 aspartic acid 및 proline이 많았다. 또한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