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ung-gu in Daegu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7초

대구 중구립 공공도서관 건립에 관한 주민인식 연구 (Citizens' Perception on Establishing a New Public Library in Jung-gu, Daegu)

  • 조용완;구정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15-143
    • /
    • 2021
  • 본 연구는 대구 중구에 새로운 구립 공공도서관을 설립하는 것에 관해 지역주민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대구 중구 관내에서 중구 주민 174명과 향후 중구립 공공도서관을 이용할 가능성이 있는 타 구군 주민 126명 등 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주민들은 공공도서관에 대한 현재와 미래의 가치를 높이 인식하였고, 공공도서관이 없을 경우, 지역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며 자신과 가족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주민들은 중구의 공공도서관 수는 부족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중구립 공공도서관의 건립이 필요하며, 건립시 이용 의향이 높다고 응답하였다. 이외에도 이번 조사에는 중구립 공공도서관의 입지와 건축 방향과 장서, 서비스, 이용자에 관한 주민들의 인식도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대구 중구립 공공도서관 건립을 위한 인식적 타당성은 상당히 확보된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이 결과를 반영하여 보다 구체적인 중구립 공공도서관 건립계획과 운영계획이 수립될 필요가 있다.

대구시 중장기 공공도서관 확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id- to Long-term Public Library Expansion Plan in Daegu City)

  • 윤희윤;오선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97-117
    • /
    • 2023
  • 본 연구는 대구시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한 중장기 확충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문헌조사, 관계 법령 및 통계데이터 분석, 사례조사, 의견·방문조사를 병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서비스 권역은 행정구역을 기반으로 총 14개 권역(중구·서구·남구·달성군은 각각 1개, 동구와 북구는 각각 2개, 수성구와 달서구는 각각 3개)으로 설정하였다. 둘째, 공공도서관 확충 시나리오는 과거 13년간(2008-2020) 전국 도서관의 증가 추이 및 향후 10년간(2023-2032) 증가 예측을 바탕으로 최종 목표연도(2032년)까지 26개관을 추가하도록 제시하였다. 셋째, 건립 중에 있는 대구대표도서관을 제외한 기초자치단체별 건립 시나리오는 중구·서구·남구에 각각 1개관, 수성구에 2개관, 달성군에 3개관, 동구에 4개관, 북구와 달서구에 각각 7개관을 제시하였고, 연면적 규모별로는 법적 최저 기준인 330-2,499㎡(분관)을 17개관, 2,500-4,999㎡(거점관)와 5,000-9,999㎡(중앙관)를 각각 4개관 추가하도록 제안하였다. 이러한 조건정비를 전제로 대구시와 공공도서관은 포용·개방형 커뮤니티 공간화, 디지털 플랫폼 조성, 대구도서관 중심의 도서관 운영·협력체계 강화, 지역거점관의 장서개발 및 서비스 특성화, 다양한 지식정보·프로그램서비스 충실화, 도서관 핵심지표 관리 및 기여도 제고 등에 주력해야 지역 지식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회양구침혈(回陽九鍼穴)에 관(關)한 연구(硏究) (A review study on the Hwe Yang Gu Chim Hyul)

  • 이봉효;임성철;이경민;김재수;정태영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6권3호
    • /
    • pp.111-120
    • /
    • 2009
  • Objectives : Although Hwe Yang Gu Chim Hyul is important for acupuncture treatment in emergency and has been widely used, but there is few study about that, except some comments in ancient literatures. So in this study, the author reviewed the Hwe Yang Gu Chim Hyul, investigating the composition and the function, and found the meaning with analysis based on meridian. Methods : 1. The author reviewed several ancient literatures related with the Hwe Yang Gu Chim Hyul. 2. The author investigated the composition of Hwe Yang Gu Chim Hyul, and the location, acupuncture treatment, specificity, disease of each acupoint. 3. Following the investigation, the author found the meaning, the mechanism of function, and the clinical usefulness, based on analysis with meridian. Results : 1. Hwe Yang Gu Chim Hyul had been referred in "Chim Gu Chwei Young" for the first time. 2. Hwe Yang Gu Chim Hyul is composed of 9 acupoints, i.e. 1 acupoint of Governor Vessel, 1 acupoint of Conception Vessel, 2 acupoints of Yang Myoung meridian, 1 acupoint of So Yang meridian, 1 acupoint of Tae Eum meridian, 2 acupoints of So Eum meridian, 1 acupoint of Gwel Eum meridian. 3. It has not been controversial since the comment of "Chim Gu Chwei Young", and it became the origin. Conclusions : 1. Hwe Yang Gu Chim Hyul can be used for an emergency resulted from chronic disease based on heart failure and accumulation of food.

  • PDF

대구시 구도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유휴 학교시설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A Study on Activation Methods of Old Downtown in Daegu -Concentrated on the Practical Use of Unused School Facilities-)

  • 이종국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0권1호
    • /
    • pp.64-73
    • /
    • 2011
  • Jung-gu in Daegu is an old downtown that has led the development of Daegu as a representative center and a commercial area with historicity and placeless. However, an urban center is losing its vitality due to the transfer of city halls and the development of new towns. The downtown area that is still important in a city should lead urban development continuously so that it needs to return its vitality by rehabilitating the weakling urban center. Accordingly this study makes the school which shows drop in the number of students and classes in the school buildings located in Jung-gu, Daegu. Consequently this study figures out a cause for the occurrence of unused school facilities and find a solution as the space for local residents by investigating the facilities of schools, the surroundings, the reality, and the present condition.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actual situations of a downtown area that has gone through development and history of Daegu as a center. To this end, it aims to seek for methods to activate the city by relating the practical use of unused school facilities.

대구 지명유래에 관한 연구 - '동(洞)명'을 사례로 - (A Study on Origins of the Geographical Name in Daegu Metropolitan Area : Based on the Geographical Name of Dong(洞))

  • 전영권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75-383
    • /
    • 2013
  • 대구 지역 동명 중 유래 분석이 가능한 173개의 동명을 대상으로 주제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명 유래는 주제별로 10가지(자연경관, 인문경관, 위치 등)로 분류된다. 동명 유래에 있어 자연경관이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구의 경우 그러한 경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이것은 동구지역에 넓게 분포하는 팔공산과 금호강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대구의 중심지인 중구와 대구 정체성이 비교적 강한 북구의 경우 지명은 주로 인문경관이나 위치와 관련한 경 우가 많았다. 특히 중구의 경우, 동명과 관련하여 대구읍성이 가장 중요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1914년 행정구역 통합으로 새롭게 나타나는 동명은 기존 동명에서 한자씩 차용하여 만든 경우가 대부분이다. 넷째, 1980년대 이후 새롭게 신설된 수성구와 달서구의 경우, 자연경관을 지명 제정에 활용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수성구의 지명유래에 해당하는 '수성들'과 달서구의 중요한 자연경관인 '성당지', 와룡산 등은 주요한 대상지로 인식되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동구에는 역사와 관련한 지명이 많은데, 이것은 927년의 '공산전투'가 주요인이다. 특히 공산전투와 관련된 역사적 지명이나 설화에 바탕을 둔 지명들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지역 관광활성화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대구광역시 중구의 가로수 및 열섬 모자이크 현황 분석 (Analysis of Street Trees and Heat Island Mosaic in Jung-gu, Daegu)

  • 김수봉;정응호;김기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25-33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practical suggestions to mitigate Urban Heat Island(UHI) problems in Daegu regarding urban surface temperature. Urban street trees's size and the relations between urban land use types and surface temperature are analysed using aerial photos, the numerical value map and Landsat TM image with special reference to Jung-gu. Total urban street tree's crown size is $156,217.6m^2$ and it is equal to 2.24% of study area. In addition, the size of 'city and residential area' is $6,681,870m^2$(95.7% of study area), which causes UHI and the total size of 'river' shows the lowest surface temperature area and 'road' and 'business and service area' are the highest surface temperature zones. Therefore, it is probable that the network between urban street trees and the lowest surface temperature areas mitigate UHI effects.

대구광역시의 인구밀집과 거리에 따른 응급실 접근성 (Emergency Room access by Population Density and distance of Daegu Metropolitan city)

  • 김명관;한승우;김기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218-22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광역시의 인구밀집과 거리에 따른 응급실 접근성을 분석하여 메디시티를 지향하는 대구광역시의 응급의료 접근성 문제점 개선 및 질적 수준 향상에 기여하고자 했다. 지리적인 요건을 보기 위해 3km 반경을 기준으로 읍면동 인구수와 이용가능 응급실수, 인구 대비 이용가능 응급실수를 통계청의 S-GIS를 통해 Mapping하여 데이터 시각화했다. 대구광역시 구군별 명확한 응급실 접근성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ANOVA와 사후검정인 Scheffe을 시행했다. 반경 3km 이내 대구광역시 구별 이용가능 평균 응급실수를 보면 중구 5.7개, 남구 5.0개, 북구 1.6개, 동구 0.4개, 서구 2.4개, 수성구 0.9개, 달서구 3.5개, 달성군 0.1개였고,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3km 반경 이내의 이용가능 응급실수와 인구 천명당 이용 가능한 응급실수는 중앙에 집중되어 있었다. 중앙에서 먼 곳의 시민들에게 응급의료 제공을 위해 중간 허브역할을 하는 지점을 설정하여 도시 응급의료 연계망 구축이 필요할 수 있다.

유치거리 분석을 통한 도시공원의 적정배치에 관한 연구 (Proper Arrangement of City Park though Analysis of Disposition Distance)

  • 류연수;나정화;도후조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0권
    • /
    • pp.33-3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of disposition distance of city park for the plan of suitable arrangement of city park based on the date examining Daegu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result of analysis of population density as the case of districts, it appeared highly in city center area which Seo-Gu district and Nam-Gu district besides Jung-Gu district. However, it apperared in a low Buk-Gu district, Dong-Gu district and Salseong-Gun. 2) The result of analysis of population density as the case of regions, it appeared very highly Joukjun-Dong of Dalseo-Gu district($31,554per/km^2$), Naedang-Dong of Seo-Gu district($29,922per/km^2$). However it appeared in a low Yeuga-Maen($85per/km^2$) and Gachang-Maen($94per/km^2$) of Dalseong-Gun. The regions where the population density is high have very low green space and live a lot of low income layer. 3) The result of analysis of disposition distance, in the case of children park, it appeared an intensive distribution in Dongcheon-Dong and Guam-Dong of Buk-Gu district, Whanggm-Dong and Dusan-Dong of Suseong-Gu district, Sangin-Dong and Yeongsan-Dong and Walsung-Dong of Dalseo-Gu district. however, it appeared in a low in Jung-Gu district. The case of urban park of the neighboring area, it appeared the most in Dalseo-Gu district except 2 parks in Jung-Gu district, the case of urban park of the walking area, it appeared in equality in city. 4) In conclusion, the area have high population density and lots of low income layer, is in out of disposition distance should be considered in first for city park plan.

  • PDF

대구시 자원봉사활동의 수요.공급간 공간불균형 (The Spatial Disparity between Supply and Demand of Volunteering Activities in Daegu, South Korea)

  • 이은정;이철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57-570
    • /
    • 2006
  • 본 논문은 대구시 지원봉사활동에 있어서 자원봉사자와 자원봉사활동 수혜자간의 지역적 불균형을 분석하고 이러한 불균형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자원봉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자원봉사자의 경우 소득과 학력에 따라 계층화되어 주거수준에 따라 자원봉사자율의 편차가 심하고 구(區)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자원봉사활동 수혜자의 경우 특정 소단위지역에 집중분포하면서 구(區)별 차이보다는 동별 격차가 상당히 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자원봉사자와 자원봉사활동의 공간불균형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자원봉사자의 지역간 교류를 극대화하는 전략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