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seon Dynasty Painting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6초

평안감사향연도(平安監司饗宴圖)의 채색 재료 특성 연구 -연광정연회도(練光亭宴會圖)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Painting Materials Used in Welcome Feast for the Pyeongan Governor: Focusing on Banquet at Yeongwangjeong Pavilion)

  • 박진호;장연희;고수린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8권
    • /
    • pp.109-13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조선 후기 기록화인 《평안감사향연도》 총 3점 중 <연광정연회도>를 분석하여 채색 재료를 규명했다. 포인트 위주의 분석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문제를 최소화하고자 우선 파장별 이미지를 촬영했다. 엑스선을 통해 먹, 금, 유·무기 안료를 분류했고, 적외선으로 먹과 구리계 안료를 파악했다. 초분광으로는 흑색, 청색, 녹색 재료 중에서 안료와 유기 염료를 구별해냈다. 색상별 선정 지점을 분석하여 백색(연백), 흑색(먹/쪽), 적색(연단+진사), 분홍색(염료), 자주색(염료), 갈색(산화철), 황색(석황/염료), 녹색(석록/석록+염료/쪽)과 청색(석청/연백+쪽/쪽), 자색(쪽+연지), 금색(금박) 등의 재료를 규명했다. 향후 파장별 라이브러리가 확보되면 더 효율적인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 서촌지역 조선조 원림의 위치추적을 통한 경관 해석 (The Landscape Interpretation of Joseon Era Gardens in Old West Village, Seoul through the Locational Investigation)

  • 김한배;이승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68-182
    • /
    • 2014
  • 조선시대 서촌에서는 많은 성시원림들이 만들어졌고 그들 중 다수가 진경산수화로 그려졌었다. 본 연구는 먼저, 서촌의 대표적 원림들의 위치를 보다 실증적 기법에 의하여 규명하려 하였다. 조선조 진경산수화에 나타난 원림경관을 ArcGIS 3차원 지형 모델링과 비교함으로써 사실에 근접한 위치를 밝혀내고 이에 근거하여 지형과 경관의 특징을 해석하려 하였다. 원림추정지 주변의 지형을 3차원 지형모델로 작성한 후, 조망점을 이동시켜 진경산수도와 근접한 3D 모델의 구도에서 대상지의 위치를 찾아내었다. 이후 모형에 지적도를 중첩시켜 원림 터의 지번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의 해석은 다음과 같다. 서촌의 초기 원림인 '청풍계 원림'은 인왕산 계곡의 종단부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감추어진 '위요형 경관'을 보인다. 중기원림인 '청휘각 원림'은 옥류동 계곡과 능선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로 보다 개방된 '반(半)개방형 경관'을 보인다. 후기원림인 '서원 원림'은 대상지 중 가장 높은 능선 상단에 위치하여 '조망형 경관'을 보인다. 말기원림인 '송석원 원림'은 능선과 시가지의 접점 언덕에 위치하여 '개방형 경관'을 보인다. 즉, 서촌원림의 경관과 사회적 기능은 함께 점진적으로 개방되어 온 것으로 나타난다.

조선시대 민화 <연화도> 콘텐츠를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Based on Minhwa of th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Lotus Flower Painting -)

  • 장현주
    • 복식
    • /
    • 제62권5호
    • /
    • pp.59-72
    • /
    • 2012
  • This study aims to collect Minhwa, or folk painting, particularly the Lotus Flower Painting, to analyze its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story, and to develop cultural fashion products by utiliz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modern flavor based on the results. Lotus flowers grow from mud, but are unstained, and they bloom beautiful flowers. Thus, they symbolize Gunja, a true gentleman who is very learned and proper in behavior. In Buddhism, lotus flowers are divine flowers that have the meaning of the creation of life and the eternal cycle of birth, death and rebirth. Lotus flowers also represent the love between man and woman as well as conjugal harmony and love. Lotus flower painting includes the paintings of the lotus flower alone as well as the paintings of the lotus flower with ducks, white heron, kingfisher, fish, butterfly, crab, or tortoise. Colors that are mostly used in lotus flower paintings is the compatible combination of red and blue (green). Based on these findings, fashion products such as bag accessories, sitting cushions, and kitchen utensils are developed using various designs such as realistically drawn lotus flower, schematized lotus flower, the lotus flower alone, or the lotus flower with kingfisher, crab, or dragonfly, that emphasizing the compatible color combination of red and blue.

공재(恭齋) 윤두서(尹斗緖)의 회화심미(繪畵審美) 고찰 (A Study on the Painting's Aesthetic of Gongjae Yoon Duseo)

  • 김도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175-183
    • /
    • 2021
  • 조선 후기 해남(海南) 출신의 공재(恭齋) 윤두서(尹斗緖)(1668~1715)는 숙종년간 활동한 선비화가로서 조선 중기에서 후기로 교체되는 전환기에 조선 후기 사실주의 회화의 선구자로서 그 초석을 다진 인물이다. 그는 남인(南人)의 명문가에서 태어났으나 당쟁에 휘말려 출세길을 접고 서화와 학문에 몰두하였다. 조선 후기가 시작되는 18C는 실학(實學)이 대두되고 민족주의에 대한 자각으로 진경(眞景)시대가 열린 시기였다. 이러한 때 실학사상을 예술세계에 접목하여 실사구시적(實事求是的)이며 현실개혁적(現實改革的) 심미의식을 발휘하여 서민풍속화 개척, 서양화법의 적용, 사실주의적 기법 추구, 남종문인 화풍 도입 등을 도모하였다. 철저한 학고(學古)를 통해 변통(變通)을 도모했던 그의 회화관은 학(學)·식(識)의 학문과 공(工)·재(才) 기예적 요소를 두루 갖추어야 화도(畵道)를 이룰 수 있다는 형신(形神) 겸용을 강조하였다. 그는 다양한 화목을 두루 섭렵하였는데, 특히 인물화는 이형사신(以形寫神)의 사실주의 표현을 심미 특징으로 한다. 대표작인 「자화상(自畵像)」은 극사실적 묘사력과 구도의 혁신성이 탁월하며, 자신의 울분을 비장감있게 전신사조(傳神寫照)한 파격적 실험정신이 돋보인다. 그의 산수화는 형사적 진경과 신사적 관념을 융합하여 형상으로써 도를 아름답게 구현한 망적지적(忘適之適)한 이형미도(以形媚道)를 이루었다. 한편 개방적 사고로써 다양한 서민 생활을 소재로 삼은 서민풍속화는 이형사진(以形寫眞)의 실득(實得)으로 파격을 도모하였는데, 이는 부패한 권력에 대한 소극적 항거이자 애민정신의 표현이기도 하다. 이후 그의 화풍은 장남 윤덕희(尹德熙), 손자 윤용(尹愹)에게 가전되어 전해져 조선 후기 서화예술의 변화와 부흥을 선도하였다.

조선시대 초상화 감상을 통한 인성 교육적 의미와 가치 탐구 -중등미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aning and Value of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the Appreciation of Portraits in Joseon Dynasty -Focused on the Secondary Education of Art)

  • 곽철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342-352
    • /
    • 2018
  • 조선시대 성리학자들이 말하기를 초상화는 학문의 스승으로 숭배되며 수기적 의미가 중시되는 것이 전형적인 모습이라 하였다. 특히 조선후기의 초상화는 수기(修己)적 의미와 정교(政敎)적 의미, 제의(祭儀)적 의미와 같이 다양한 맥락에서 주목 받으며 성행해 왔다. 초상화에 담긴 예법과 수기적 측면은 작품 형식의 표현적인 측면과 작품 내용의 인성적인 측면의 접근방법을 통해 현대 사회의 개인주의적 성향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작품에 대한 이해와 존경, 수양적 태도를 기를 수 있다. 나와 타인과의 관계 살피기, 나와 타인간의 조화, 타인 존중과 배려의 성향 갖기의 3단계 과정은 개개인의 인격 내면을 자연스럽게 변화시킬 것이라는 교육 목적을 갖는다. 이를 통해 조선시대 초상화를 교육의 소재로 활용한 인물탐구, 초상화의 제작과정 조사와 감상, 의미의 발견을 통해 인성 교육적 요소들을 탐색하고 실현방안을 모색하여 개인 내면의 인격화 가치화와 인성교육을 실천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체계적인 감상이 가능하도록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한 3단계 감상과정을 제시하여 감상 표준안을 구성하고자 한다.

고종의 동가(動駕)시 복식에 대한 연구 -「대한제국동가도(大韓帝國動駕圖)」를 중심으로- (Study of King Gojong's Costumes in His Excursion on a Royal Carriage -Focused on the "Dongga Painting of the Korean Empire (大韓帝國動駕圖)"-)

  • 구영미;홍나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441-451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yal progress and regulations on costumes in the king's excursion by a royal carriage and then investigates King Gojong's costumes in "Dongga Painting of the Korean Empire". To examine the regulations on costumes in the king's excursion by a royal carriage, there are unique costumes, 'Ikseongwan and Gangsapo' for the great memorial service for ancestors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Ikseongwan and Gangsapo' are not provided in the code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Thus, it was not provided in the regulations, in the actual execution of the ritual, the king put on 'Ikseongwan and Gangsapo,' so ente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it was legislated as 'Ikseon-gwanbok' in Daehan-yejeon. There is a scene in the "Dongga Painting of the Korean Empire" in which the king pays a visit on Yeon, holding 'Gyu' in 'Ikseongwan and Gonryongpo'. However, holding 'Gyu' on Yeon in 'Ikseongwan and Gonryongpo' can be seen in King Gojong's royal procession to hold Jongmyo Chunhyangdaeje in the year of Gabo (1894).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compromise for the ritual despite not being regulated by law.

Manufacturing Technique of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Mural Painting in Geungnakjeon Hall, Daewonsa Temple, Boseong

  • Yu, Yeong Gyeong;Jee, Bong Goo;Oh, Ran Young;Lee, Hwa Soo
    • 보존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34-346
    • /
    • 2022
  • The manufacturing technique was studied through the structure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walls and the painting layers of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mural of Geungnakjeon Hall, Daewonsa Temple. The mural is painted and connected to the earthen wall and the Junggit, and the wall is composed of wooden laths as a frame, the first and middle layers, the finishing layer, and the painting layer. The first layer, middle layer, and finishing layer constituting the wall were made by mixing weathered soil and s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first layer had a high content of loess below silt, and the finishing layer had a high content of fine-sand and very fine sand. For the painting layer, a ground layer was prepared using soil-based mineral pigments, and lead white, white clay, atacamite, minium, and cinnabar (or vermilion) pigments were used on top of it.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mural was confirmed to belong to a category similar to the soil-made buddhist mural paintings of Joseon Dynasty. However, it shows characteristics such as a high content of fine sand in the finishing layer and overlapping over other colors. Such materi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can constitute important information for future mural conservation status diagnoses and conservation treatment plans.

RESEARCH ON THE DRAGON IMAGE IN TURKISH MINIATURE PAINTINGS

  • KIM, KYONG-MI
    • Acta Via Serica
    • /
    • 제3권1호
    • /
    • pp.119-138
    • /
    • 2018
  • The dragon of the East was an object of worship and an authority to make rain, unlike the West. The dragon image, one of the positively accepted Chinese motifs with the blue-and-white porcelain of the Ming dynasty by the Ottoman Empire in the 16th century, was combined with gigantic saw-edged leaves to create a genre in Saz style. By combining Eastern dragons with plant motifs instead of clouds, dragons were no longer accepted as authority and nobility but as symbols of life and longevity. Unlike Iran and other countries, the image of dragons in Turkish miniature paintings has evolved into a unique style using Turkish calligraphy. The stylistic feature is that a thick black line that gives the impression of calligraphy forms the dragon's back or a huge saz leaf stalk and forms the axis of the screen. Most of the work was black ink drawing, not painting, and partly lightly painted. In the development stage, the dragon appears as a protagonist on the screen of the early works, but the dragon retreats to the latter half and the saz leaves play a leading role on the screen. A common feature in all paintings, whether early or late, is that they have a militant character and create tension on the screen. From the viewpoint of comparative culture, Turkish dragon miniature drawings of the 16thcentury Ottoman period and the Joseon dynasty are somewhat similar in that they are based on calligraphic character and desire for longevity and loyalty, and are drawn according to certain iconic principles.

비파괴 성분 분석을 통한 18세기 초상화의 채색 특성 비교 고찰 - 유언호 초상화를 중심으로 - (Comparison of Painting Characteristics on Portraits by Nondestructive Analysis of Joseon Dynasty in 18th Century - Focusing on Yu Eon-ho's Portrait -)

  • 송유나;이한형;정용재;이혜윤
    • 보존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9-100
    • /
    • 2016
  • 18세기 제작된 유언호 초상화에 대한 비파괴분석 통해 채색에 사용된 안료의 종류와 채색기법을 추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18세기의 초상화 11점과의 채색특성을 비교해보았다. 유언호 초상에 사용된 안료는 백색에 연백, 황색에 염료, 적색에 진사, 연단, 적색염료, 녹색에 석록, 청색에 석청, 갈색에 적색산화철, 갈색염료, 자주색에 청색과 분홍색의 염료 등을 사용하였다. 11점의 초상화와 채색 안료를 비교한 결과 18세기 초상화에 사용된 안료는 시기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동일 화첩에 수록된 초상화일지라도 안료의 사용은 초상화마다 개별적으로 나타났다. 채색기법에서는 유언호 초상 이후의 초상에서 얼굴에 진사를 사용하지 않고 산화철만 사용하였으며, 의복의 배채에 녹색 안료 대신 염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18세기 전반에 걸쳐 제작된 초상화의 채색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결과가 조선 후기 초상화의 채색기법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Analysis of Cow Hide Glue Binder in Traditional Dancheong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 Yu, Jia;Chung, Yong Jae
    • 보존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63-372
    • /
    • 2019
  • Animal glue has been used as a binder in Dancheong since the Joseon dynasty. Binders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 painting layer. The analysis of binders can be used to identify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used in traditional Dancheong. Binders can be investigated using physicochemical component analyses methods such as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pyrolysi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n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but the detection characteristics vary depending on the degradation properties of the pigment and binder. Therefore, cross-validation using a combination of physicochemical analysis and enzyme immunoassay is us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s. In this study, we present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s an example of an enzyme immunoassay as a method for analyzing animal glue, a traditional binder used in Korea. The applicability of ELISA was tested using commercial animal glue, in addition to animal glue produced using a variety of extraction conditions. The animal glue was analyzed in a Noerok-additionally coated-replica sample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analyzing the animal glue in a paint layer mixed with pigment. Based on the results, we performed an assay on the use of animal glue in the Dancheong sample of the temples of the Joseon dynasty, that are estimated to have been built in the 17th centu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