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int-Use Library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32초

통합도서관의 발전과 그 효과 (Joint-Use Libraries: Development and Effects)

  • 곽철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337-352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의 통합도서관에 대한 사례와 그 효과를 조사하여 우리나라 통합도서관 설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통합도서관의 모델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하나는 학교도서관/공공도서관 통합도서관이며, 다른 하나는 대학도서관/공공도서관 통합도서관이다. 통합도서관을 운영하면 얻을 수 있는 장점은 전문인력 활용, 장서의 증가,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 효율적인 시설활용 등이다. 반대로 단점은 학교에 위치한 통합도서관의 문제점, 협소한 공간, 소장 자료의 제한, 학교도서관 기능의 축소 등이다. 우리나라의 통합도서관이 성공적으로 설치되고 운영되기 위해서는 인구수, 주민들의 통합도서관 설치 의지, 시설, 법적 문서의 존재 등의 요소가 충족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 모델로 농산어촌 지역에는 학교도서관/공공도서관 통합도서관과 소규모 시에는 대학도서관/공공도서관의 통합도서관의 두 가지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충청남도 공공도서관 보존서고 분석에 기초한 공동보존자료관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Cooperative Repository Librari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reservation Library at the Chungcheongnam-do Public Library)

  • 곽승진;노영희;강은영;김정택;곽우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91-21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공공도서관 보존서고 현황 분석을 기반으로 한 충남도서관 공동보존자료관의 협력체계 및 이용서비스 구성 방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공동보존자료관의 협력 방안 구축과 서비스 제공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현재 충남도내 공공도서관 62개관의 장서 현황과 개별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보존서고 현황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공동보존자료관 운영과 관련된 제반 사항은 참여주체간의 협정 또는 협의에 의해 의사결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와 더불어 공동보존자료관의 운영 또한 참여 주체간의 체계적 협력체계 하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충남도서관 공동보존자료관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협의체(협력네트워크)인 공동보존자료관 운영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이관기준 등 공동보존자료관 운영과 관련된 제반 사항은 공동보존자료관 운영위원회의 협의를 통해 규정화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Influence of Age, Job Status, ICT Literacy Skills and ICT Use on Task Performance of Library Personnel in Public Universities

  • Oyedipe, Wuraola Janet;Popoola, Sunday Olanrewaju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43-61
    • /
    • 2019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factors (age and job status), level of ICT skills possessed by respondents and ICT use on task performances of library personnel. The study employed correlation design. Thirteen public universities were purposely selected while total enumeration was adopted to study 248 library personnel made up of librarians and library officers in public university libraries in South-west, Nigeria. Data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 The study establish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ge, job status, ICT skills and task performance. Also, Anova test found significant joint influence of age, job status, ICT skills and ICT use on task performances of respondents. The study further indicated that age, job status, ICT skills possessed by respondents and ICT use had relative significant influence on task performances of respondents. It is therefore recommended that, library personnel must leverage their demographics positively to bring about positive disposition to their jobs while all categories of staff must ensure they possessed the requisite ICT skills that will ginger ICT use for effective task performance.

대학도서관의 목록이용행태의 일고찰 (A study of the searching behavior at the catalog in a university library : case study of Jeonbug national university library)

  • 강혜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9권
    • /
    • pp.1-31
    • /
    • 1982
  • A library catalog is most important finding tool to a library collection. This tool should be so designed as to enable users to handle with ease and convenience. Library catalog use study is necessary in order to identify the demands made on the catalog by its actual users and to measure the adequacy with which the catalog is meeting these demands. Many major catalog use surveys were performed by means of questionnaire and interview, but these methods are so difficult and perverse that the results of catalog use studies might often be far from scientific precisi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eek the guidelines with which one might assist the catalogers in providing an effective library catalog for their patrons. In order to get the first-hand information an actual survey was undertaken on searching behavior at the catalog of Jeonbug National University Library from November 30 to December 5, 1981 and from May 17 to May 22, 1982. The results of the surv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Most of the students (79.77%) use the library. 2. Most of the library patrons (74.52%) use the public catalog as the searching tool to the library collection. 3. 67.85% of the catalog users are interested in searching materials written in Korean, Japanese, and Chinese. 4. 72.86% of the catalog users are interested in searching known items at catalog. 5. In known item searching, 49.44% of the catalog users choose title entry. 6. 20.17% of the catalog users are interested subject searching at the catalog. 7. Reference card is not utilized in searching. 8. For the translated items users want double entries in both vernacular and Korean. 9. At current catalog description, author, title, call number, translator, publisher and joint author are useful entry. Edition, author's date of birth and death, illustrative, size of book and bibliographical notes are not much utilized. 10. 55.39% of the catalog user need systematic guidance on how to use the library catalog and collection.

  • PDF

충남도서관 공동보존자료관 운영정책 수립을 위한 사서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of Librarian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Policy of the Joint Preservation Archive in Chungnam Library)

  • 곽승진;노영희;강은영;김정택;곽우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27-51
    • /
    • 2020
  • 지역대표도서관은 도서관의 보존공간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공동보존자료관을 설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 대표도서관인 충남도서관 공동보존자료관의 구체적인 운영정책 및 추진방안 마련을 위해 공공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FGI 방법으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공동보존자료관의 목표인 인쇄자료와 디지털자료의 공동보존 및 활용에 맞는 운영정책 및 추진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충남도서관 공동보존자료관에서는 참여 도서관의 보존공간 상황과 수요를 고려하여 우선적으로 단행본과 연속간행물을 소유권과 함께 우선적으로 이전해야한다. 둘째, 신속하고 편리한 공동보존자료관 운영을 위하여 전체 참여 도서관이 이용할 수 있는 운영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클라우드 기반의 통합자료관리스템과 연계해야 한다. 셋째, 공동보존자료관에서 디지털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자료의 디지털화 및 아카이빙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소규모 대학도서관의 전자책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 D대학교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atus of e-Books Usage in Small University Library: Focusing on the D University Library)

  • 김진영;한상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429-44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소규모 대학도서관의 전자책 이용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이를 통해 소규모 대학도서관의 전자책 관련 정책과 이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지방의 한 소규모대학교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59명의 유효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종이책과 전자책의 선호도에서 아직은 전자책의 선호도(12%)보다 종이책의 선호도(71%)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자책을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경우 전자책의 이용 만족도(45.6%)가 종이책의 이용 만족도(27.9%)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전자책을 일반독서 용도로 사용할 때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용 기기는 태블릿을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소규모 대학도서관에서의 전자책서비스 운영 정책 및 홍보 계획의 수립, 이용자에게 친숙한 전자책서비스 이용 환경의 제공, 다양한 주제의 전자책 확보, 전자책 이용 목적에 부합하는 전용 단말기의 제공, 대학 간 전자책 공동 이용 연합체의 구성 등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추나요법이 턱관절 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체계적 문헌 고찰 (Chuna Manual Therapy for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Systematic Review)

  • 배동렬;조형준;김희나;황의형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71-79
    • /
    • 2017
  • Objective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uina for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Methods We searched 10 electronic databases (Pubmed, CNKI, EMBASE, Cochrane Library, KISS, KISTI, NDSL, RISS, KMBASE, DBpia) up to May 2017. We inclu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using Tuina for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each RCT was assessed by the Cochrane risk of bias tool. Results 14 RCT studies were eligible in our review. 14 studies were divided into 4 groups, and meta-analysised. The meta-analysis of 6 studies showed favorable results for the use of Tuina. High risk of bias were observed in 9 studies. Conclusions Although there are favorable results with meta-analysis, our systematic review are highly dependent on the single source of Chinese electrical database, CNKI. Now limited evidence is available to support Tuina for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and further well-designed RCTs should be encouraged.

국가보유정보의 효율적인 서비스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ng strategies for the effective service of government information)

  • 이응봉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7권
    • /
    • pp.211-244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ome constructing strategies for the effective service of government informations aiming at enhancing the quality of public services and the competitiveness of government in case of Korea. The major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structing strategies for the effective service of government informations should be implemented in the level of national government reforms. Second, the constructing strategies for the effective service of government informations are to drive at linking the related policies and the use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ird, the constructing strategies for the effective service of government informations are should be based on the information superhighway project initiated in 1994. Fourth, the constructing strategies for the effective service of government informations are to drive at introducing the concepts of IRM(Information Resources Management) and emphasizing the concepts of information transfer. Fifth, the constructing strategies for the effective service of government informations are to drive at adapting the related new information technologies including Internet by a means to full joint utilization of information. Sixth, the constructing strategies for the effective service of government informations are to drive at the policy of full joint utilization of information linking through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 Finally, the constructing strategies for the effective service of government informations are to drive at considering the linkage of other countri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 PDF

일본의 사회과 교과서 분석을 통한 도서관활용수업의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Library Assisted Instruction(LAI) Through the Analysis of Japanese Social Studies Text-Books)

  • 노진영;변우열;이병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55-175
    • /
    • 2008
  • 본 연구는 도서관활용수업과 도서관협력수업에 적합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일본의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중학교의 지리(中學校の地理), 중학교의 역사(中學校の歷史))를 분석함으로써 도서관활용수업에 적합한 교과서 개편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본의 사회과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신학습지도요령(新學習指導要領)'에 학교도서관 자료의 이용에 관한 사항을 명시하고, 교과서가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수업을 전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교과내용의 전달에 그치지 않고, 학습하는 방법, 자료 활용을 통한 학습을 유도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도서관활용수업과 도서관협력수업을 학교 현장에 정착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도개선의 측면, 교과서 재개발의 측면, 도서관활용수업 교재 개발의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통합도서관 운영에 대한 조사연구 (An Investigation on the Operations of Joint Use Libraries)

  • 김성은;김기영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2년도 제19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45-48
    • /
    • 2012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을 지역 주민에게 개방하여 공공도서관의 기능을 함께 제공하는 통합도서관의 운영 실태를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통합도서관의 주요 두 이해관계자인 자치행정기관과 학교에서 통합도서관 업무를 수행하는 실무 사서를 대상으로 각각 전화인터뷰와 면대면 비구조화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공공도서관의 기능 측면에서 통합도서관을 살펴보기 위해 특히 장서와 관련된 운영 측면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통합도서관이 자치행정으로부터 예산을 지원받으면서도 학교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문제점을 발견하였고, 문제 해결을 위한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