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Training

검색결과 1,445건 처리시간 0.048초

조선소 설비공의 직무 분석을 통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by the Job Analysis Ship-Fitters)

  • 조동헌;문대영;박종운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9권2호
    • /
    • pp.219-22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job and develops the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of ship-fitter by using the DACUM (Developing A Curriculum) method. On the first stage, the authors have been defined the job and classified duties and tasks of ship-fitters. To fine what is the most efficient task for ship-fitter, we have been investigated the levels of importance, difficulty, frequency and entry in each task. A DACUM committee is composed of total 10 members, which are one facilitator, eight panel members, one recorder & coordinator to analyze the job of ship-fitter.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5 duties and 28 tasks are analyzed. Second, 19 tasks that are essential in entry level of occupation containing 'drawing inspecting' are identified. Third, a job model of ship-fitter is constructed by the results of DACUM job analysis. Fourth, training program is developed. This program contains task/curriculum Matrix, task/Course Matrix, training Course Profile, training Road Map.

설계사무소 남성 및 여성종사자의 직무 교육활동 실태분석 (Analysis of Job Training Activities of Male and Female Workers in the Design Office)

  • 정현용;이준용;신원상;손창백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46-47
    • /
    • 2021
  •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due to the nature of the job, the need for job training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the job and to improve the organization's qualifications is needed to acquire professional knowledge that is practiced according to the training needs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In the form of education, the government or the government or the government provides systematic and planned professional job training that is implemented to improve qualifications and instill pride in the profession by helping the employees of the design office acquire new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necessary for professional performance. Although it is recommended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mplementation, it was found that most workers did not receive job training activities. Therefore, follow-up studies that can maximize work efficiency at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of design office workers should be continuously performed.

  • PDF

민간경비원의 신임교육훈련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업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System on the Job Satisfaction in Private Security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 전용태;신소영
    • 시큐리티연구
    • /
    • 제38호
    • /
    • pp.163-189
    • /
    • 2014
  • 본 연구는 민간경비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신임교육훈련이 직업의식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또한, 분석결과를 통해 민간경비원의 신임교육과 직무만족의 영향관계를 규명하여 민간경비원의 전문성 함양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서울에 본사를 두고 있는 경호 경비업체와 그 지사를 대상으로 2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최종적으로 18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21.0과 AMO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및 요인분석, 상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에 따른 자료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교육훈련은 민간경비원의 직업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교육훈련은 민간경비원의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민간경비원의 직업의식은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민간경비원의 직업의식은 매개효과로써 교육훈련과 민간경비원의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영향력을 가진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육훈련프로그램의 개선과 민간경비원의 직업의식 함양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민간경비업체의 효과적인 관리행정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PD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White Collars: Focus on Job Title

  • Chun, Jee-Min;Jeong, Ji-Eun;Joo, Hong-Seok;Choi, Wha-Young;Jyung, Chyul-Young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8호
    • /
    • pp.23-33
    • /
    • 2016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education & training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n examine the difference that would appear depending on the job title in the case of Korean employee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Our sample consisted of 1,013 administrative employee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with data extracted from the 4th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2011) survey.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 Results showed that education & training had positive effect only on job satisfaction while organizational culture had positive effect on bo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mponents under education & training (duration of the formal learning, efficacy of formal learning and efficacy of informal learning) and organizational culture (equity, communication, talent recognition, innovation) that were found to be affect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veale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hierarchical position of the employee. Conclusions - Different approach and policy for each group of job title c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and enh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employees.

A Study on the Standard AI Developer Job Training Track Based on Industry Demand

  • Lee, Won Joo;Kim, Doohyun;Kim, Sang Il;Kim, Han S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251-258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산업체 수요에 기반한 표준 AI 개발자 직무 교육과정을 제안한다. 이 교육과정의 특징은 산업체와 대학간의 AI 개발자 직무 역량의 미스 매치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것이다. AI 개발자 직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산업체 현장에 재직중인 AI 개발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다. 이 설문조사에서는 NCS 기반의 5개 AI 개발자 직무 중 산업체 현장의 인력 수요가 많은 AI 개발자 직무를 도출하여 직무분석을 실시한다. 직무분석에서는 해당 직무의 핵심 능력단위요소를 선정하고, 그 핵심 능력단위요소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기술, 도구 등을 도출한다. 그리고 지식, 기술, 도구 등을 교육할 수 있는 핵심 교과목과 이수 체계를 도출하여 표준 AI 개발자 직무 교육과정을 개발한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제안한 표준 AI 개발자 직무 교육과정을 활용한 효율적인 AI 개발자 직무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여성 관리자의 교육훈련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분석 (An Analysis of a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Training of Female Managers and Life Satisfaction)

  • 송영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15-321
    • /
    • 2020
  • 연구의 목적은 여성관리자를 대상으로 교육훈련, 직무만족 및 삶의 만족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교육훈련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여성 관리자 패널조사(Korean Women Manager Panel Survey) 6차 자료를 활용하여 총 1,381명의 자료에 대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신뢰도 분석, 선형회귀분석, Baron & Kenny의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훈련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훈련은 삶의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은 삶의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만족은 교육훈련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학문적, 정책적 시사점을 살펴보면, 여성근로자의 교육훈련, 직무만족, 삶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활발히 수행될 필요가 있다. 여성근로자의 선순환적 교육, 일, 삶의 관계가 형성될 수 있도록 기업, 사회 및 국가의 제도와 정책을 개선해야할 것이다.

디스플레이 산업의 직무기술요소에 대한 정성적 훈련수요 분석 연구 (A Qualitative Analytic Study on Job Skill Elements and its Training Demand of the Display Industry)

  • 이재원;윤석천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127-135
    • /
    • 2011
  • 기존의 과부족인원 중심의 정량적 분석을 위주로 하는 직업훈련 수요연구에서는 직무능력의 질적 불일치에 대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대한 보완적 연구로써 특정한 산업과 관련한 직종 내 직무기술에 대한 정성적 분석을 통해 직업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개선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디스플레이 산업을 대상으로 직종별 직무기술요소의 상대적 중요도와 격차를 이용한 시급성 분석결과를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성적 상향식 훈련 프로그램의 설계 가능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 수행방법으로는 디스플레이 산업에 특화된 직무기술요소 수요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직종과 직무, 그리고 각 직무기술요소의 정성적 수요를 분석하여 8개의 직종과 29개 세부직무별 직무기술요소들에 대해서 인력수준별로 제시하였다. 또한 기업의 직무기술의 확보방법을 분석하고 지역의 대표적 교육과정과 연계를 예시함으로써 직업훈련 프로그램의 적정한 공급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 PDF

현장실습 참여학생에 대한 산재시 법적인 성격 (Legal nature on industrial disasters of students to participate in Co-op program)

  • 이무성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7-182
    • /
    • 2015
  • Many students can experience, such as for credit and social activities through field trips and participate in field trips. For on-site field training exercise participants currently in Gwangju University They take part in field trip 1, 2, 3 and 4 as the type.. Field Practice 1 type in summer and 2 in winter of 4-week period during vacation holidays with 3 credits, field trips 3 type of 8-week period during vacational holidays with 6 credits recognized for \400,000 in job training fee is also payable by the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Agency. 4 types of job training are fourth grade (Architecture Grade 5) can be employed in conjunction for more than 15 weeks and admitted to the second semester of 15 credits by participating in job training. For most schools, but to pay a fee-job training at the University of Hanyang Universit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as a student assistance in the field training participating companies. This establishment does not have a clear idea of the legal entities responsible in the event of industrial accidents. Academic research is also nonexistent state for them. In this paper, we distinguish the personality for it via the existing labor precedents with respect to the legal responsibility of an industrial accident. This aims at putting the means to establish the role of the University of job training support.

노인의료복지시설 영양사의 직무 수행 빈도와 교육필요도 (Job Performance Frequency and the Training Needs of Dieticians in Elderly Healthcare Facilities)

  • 홍신양;서선희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6권2호
    • /
    • pp.160-17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job frequency and the training needs of dieticians in elderly health care facilities. This study consisted of dieticians working in elderly health care facilities with a capacity of over 50 elderly.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90 dieticians through the mail and 106 dieticians (55.8%)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dieticians in elderly health care facilities frequently performed the following job: work management, safety and sanitation management, purchase manage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finance management, nutrition management, and marketing management. The job frequency in safety and sanitation management (p<0.05) and nutrition management (p<0.01) area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number of dieticians. Safety and sanitation management and menu management were considered job areas that needed further training and education. Dieticians in elderly health care facilities responded that the following jobs should require not only training but are also frequently performed: safety and sanitation management, menu management, work management,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Thu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inuous training programs in these fields should be offered to satisfy the needs of dieticians.

직업훈련이 외국인력의 고용과 임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Training Programs on the Employment and Wages of Immigrants in Korea)

  • 김혜진;이철희
    • 경제분석
    • /
    • 제27권2호
    • /
    • pp.41-7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2017년과 2019년 이민자 체류실태 및 고용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직업훈련 프로그램이 외국인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을 적용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직업훈련은 평균적으로 외국인들의 고용률을 6.4%p 높였으며 월평균임금을 상승시키는 효과도 있었다. 또한, 체류자격에 따라 상이한 효과가 나타났는데 먼저 취업비자로 들어온 외국인은 훈련참여의 결과로 고용률이 크게 높아지지 않았지만 임금 상승효과는 상당히 컸다. 반면, 결혼이민자의 경우 임금에 대한 긍정적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정주비자 소지자는 훈련을 통해 고용률과 임금이 모두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