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Training

검색결과 1,445건 처리시간 0.033초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ffect of HRD in Logistics Industry

  • KIM, Boine;KIM, Byoung-Goo
    • 유통과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27-37
    • /
    • 2020
  • Purpose: This exploratory research is to give managerial implication to sales personal management. This study focused on antecedent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pecially in HRD programs and system by participation and effect toward job.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research focuses on relationship analysis among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RD programs of logistics and sales personnel in Korea. HRD program consider two parts one is participation and other is effect toward job. And three HRD program is included education & training, system and self-directed Learning. This study used 7th HCCP data from KRIVET and 748 employee data is analyzed. SPSS18 is used and frequency, reliability,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are conducted. Results: Result shows that job satisfaction is positively affected by education & training participation, HRD system participation and HRD system effect toward job.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positively affected by education & training participation, HRD system participation, education & training effect toward job and HRD system effect toward job. However self-directed Learning participation negatively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Lastly job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s between HRD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this paper provide implication to academic, practical HRD and suggest feature research.

What Kind of Job Characteristics are Important for Improving Students' Competencies in Co-op Education : KoreaTech IPP Case

  • Lee, Ji-young;Lee, Sang-kon;Lee, Ji-yeon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19-22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on-site training environments and goals on learning outcomes of traine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analyzed survey data collected from 752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KOREATECH's 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IPP) on-site training program from 2017 to 2018. The following summarizes some important findings from the study results: First, on examining whether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n the academic competencies diffe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whole group were job content, coaching, and welfare benefits, but the effect of job scop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on examining whether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n job competencies diffe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whole group were job content, coaching, and job scope, but the effect of welfa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alyzing by training goals, it was found that the major influencers were job content in the Recruitment-intended group; and job content, coaching and job scope in the Training-intended group.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follow-up studies are suggested.

The Effect of Perceived Value of Education Training for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 (SME) Cooperatives on Job Performance

  • Byoung-Jo HWANG;Chang-ki HONG
    • 융합경영연구
    • /
    • 제11권3호
    • /
    • pp.11-23
    • /
    • 2023
  • Purpose: This study empirically studied the effects of the perceived value of education and training on SME cooperative on job performanc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From November 7 to 9, 2022,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members and executives of SME cooperatives in their 20s and 60s across the country, and a total of 217 people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model was performed using SPSS & AMO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ample characteristics. Results: First, perceived value (functional value, service performance value, emotional value, convenience valu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perceived value (functional value, service performance value, emotional value, convenience valu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rd,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performance. Fifth,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performance.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erceived value of SME cooperative education and training can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through job satisfaction, so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online education and training to meet the emotional response of training subjects along.

광주지역의 구직자 훈련 프로그램 이수자 만족도와 취업률간의 관계: NCS 수준의 조절효과 (Relationship between Completers' Satisfaction of Job Training Programs and Training Performance in Gwangju Area: The Moderating Role of NCS Level)

  • 문연희;홍성우;신우진;최지호
    • 직업교육연구
    • /
    • 제36권4호
    • /
    • pp.21-40
    • /
    • 2017
  • 본 연구는 구직자 훈련 프로그램 만족도가 취업률과 같은 객관적인 취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는데 있다. 또한 구직자 훈련 프로그램 만족도와 취업률 간의 관계가 조절되는 경계조건을 규명하기 위하여 NCS 수준을 조절변수로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모형의 분석을 위해 이용된 자료는 HRD-Net에서 제공하는 2016년도 광주지역 구직자 훈련 프로그램 중에서 취업률 정보가 제공되어 있는 513개의 훈련 프로그램이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모형에 포함된 주요 변인들의 특성을 살펴보면, 훈련 프로그램의 총합 만족도 점수는 4.46을 보여주고 있다. 훈련 프로그램의 NCS 수준은 2~6수준에 분포되어 있었으며, 3수준과 4수준이 각각 45.4%와 36.4% 순으로 가장 많았고 평균은 3.32로 나타났다. 둘째,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취업률 측정 시점에 관계없이 취업률에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훈련 프로그램 만족도와 취업률간의 관계는 NCS 수준에 따라 조절되는 상호작용 효과(interaction effect)가 유의하게 도출되었다. 이는 훈련 프로그램 만족도가 취업률에 미치는 주효과(main effect)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NCS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훈련 프로그램 만족도가 취업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훈련 프로그램 만족도에 기초한 훈련 프로그램의 질 관리 및 만족도 활용의 정교화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궁극적으로 만족도가 취업률 향상과 연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근로자가 인식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특성이 조직유효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Traits Perceived by Employe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Job Performance)

  • 이원석;주동범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2호
    • /
    • pp.349-363
    • /
    • 2013
  • Using data from 286 employees who were working in medium and small company in Busan, the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traits perceived by employe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job performance. The main results were as the followings. First, fo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b relation and objective setting among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trait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involvement in organization after controlling the employee's characteristics. Second, for job performance, after controling the employee's characteristics, job relation, educational method, educational training environment, and objective setting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active participation, the improvement of task performance ability and confidence, or professional knowledge improvement. Additionally, among the employee's characteristics, the number of educational training particip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 for job performance. Based on the main results, some sugges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미국의 그린직업훈련체계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신성장동력분야 인력양성 정책방향 도출 (Policy Directions for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the New Growth Engine Industri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U.S. Green Job Training Framework)

  • 엄기용;이문수;권오영;임경화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119-13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그린직업훈련체계 및 정책동향을 연방정부 및 주정부 차원에서 분석하고, 다양한 그린스킬 수요에 대응한 수준별 훈련프로그램체계와 관련 사례들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조사 분석에 기반 하여 우리나라 신성장동력분야의 향후 인력양성 정책방향을 다각도에서 제시하였다. 신성장동력분야는 우리나라의 경쟁력을 제고시킬 고부가가치 산업이지만, 첨단 기술력이 요구되고 투자 위험성이 크며 신속한 시장대응이 필요하기 때문에 적절한 인력공급체계를 갖추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가 정부 인력양성정책의 문제점을 찾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환경분야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기초 연구 (A Study on Job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Curriculum for the Environmental field)

  • 주인중;박종성
    • 공학교육연구
    • /
    • 제7권3호
    • /
    • pp.5-18
    • /
    • 2004
  • 이 연구는 1998년부터 수행된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기초 연구로서 교육 훈련 자격 분야에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2002년도에 개발된 직무분석 지침서를 보완하고, 2003년에 이 연구와 함께 수행된 $\ulcorner$직업 변동에 관한 연구(III)$\lrcorner$에서 추출된 환경 산업 관련 직업 중에서 직업교육훈련과정 및 출제 기준을 개발하기 위해 선행적으로 요구되는 10개 직업을 선정하고, 직무분석을 실시하여 이들에 대한 교육 과정, 훈련 기준, 자격 검정의 출제 기준을 개발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작 보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내용은 첫째, 직무분석 관련 선행 내용을 분석하고, 둘째, 직무분석 지침서를 보완하며, 셋째, 직무분석 대상 직업을 선정한 후, 넷째, 직업교육훈련과정 및 출제 기준을 개발하기 위한 직무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직무분석 관련 선행 연구 및 자료 분석, 직무분석 보완 및 대상 직업 선정과 직업별 직무분석을 위한 전문가 협의회, 데이컴법(DACUM process)을 이용한 직무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우선 직업교육훈련과정의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의 모형을 절차별로 정리 제시하였는데, 1단계는 직무분석 준비, 2단계는 직무모형 설정, 3단계는 지식, 기능, 도구 추출, 4단계는 선수 코스 및 교과목 선정, 5단계는 교육 훈련 내용 상세화, 6단계는 출제 기준 설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절차에 따라 10개 직업에 대한 직업별 직무분석이 진행되었다.

일 지역 종합병원 종사자의 교육훈련 및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ducational Training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n Job Performance in General Hospitals)

  • 정상진;박종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7-28
    • /
    • 2017
  • Objectives : This study analyzed job performance in local area general hospitals to look for measurable effects from educational training and/or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Methods :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f general hospital employees from 29 hospitals in Gwangju and Jeonnam. The survey period was August 22 - September 30, 2016, and 1,004 respons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Results : This study revealed that certain aspects of communication (upward,downward,vertical,orinformal) had significa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learning transfer, and general performance. Conclusions : To improve job performance in general hospitals, employers must improve overall satisfaction by improving upon job training and internal communication. Specifically, training should be better connected to learning transfer and organizational design must encourage active communication between employees.

세무회계사무소 여성 근로자의 교육훈련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Tax Account Office Female Workers' Education and Training on Job Performance)

  • 이환공;체렝후;장석인
    • 산업진흥연구
    • /
    • 제1권2호
    • /
    • pp.33-39
    • /
    • 2016
  • 본 연구는 세무회계사무소 여성 근로자의 교육훈련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직장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요인은 교육 이수 후 적극적 자세 변화 정도, 교육시설 및 환경 적절성, 교육시간 적절성, 교육의 직무지식 향상 도움정도였으며 교육시설과 환경이 적절했다고 평가할수록 직무대응성이 높게 나타났다. 자기계발노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요인은 교육 이수 후 직무수행 도움정도, 교육 이수 후 적극적 자세 변화 정도, 교육시간 적절성, 교육의 개인성장 도움정도, 교육의 직무지식 향상 도움정도로, 교육훈련의 적절성과 도움정도를 높게 평가할수록 직무성과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세무회계사무소 여성 근로자의 교육훈련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세무회계 직종에서 교육훈련에 대한 평가 및 인식이 직무성과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성을 검증한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보건소 통합건강증진사업 담당자의 현업적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s of Variables Affecting Application of Job Training in the Public Health Promotion Personnel)

  • 박귀화;김현주;임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424-43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소 통합건강증진사업 담당자를 대상으로 참여동기, 성취동기, 교육성취도, 교육만족도, 현업적용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 통합건강증진사업지원단 직무교육에 참여한 115명을 대상으로 참여동기, 성취동기, 교육성취도, 교육만족도, 현업적용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업적용도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들 간의 가설적 경로 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40대에서 현업적용도가 유미하게 높았으며, 경력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내재적 동기와 개인지향 성취동기는 현업적용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거나 교육만족도를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만족도는 교육성취도와 현업적용도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현업적용도 향상을 위해 참여자의 동기와 교육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통합건강증진 담당자의 현업적용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