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Preparation Skills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31초

핵심어 카드 제작 및 수업시연 온라인 평생교육프로그램이 시간제 발달장애 근로자의 직장출근준비기술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Online-based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rough Key Words Card Production and Class Demonstration on Job Preparation Skills for Workplace of Work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김영준;권량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9호
    • /
    • pp.241-255
    • /
    • 2021
  • 본 연구는 핵심어 카드 제작 및 수업시연 온라인 평생교육프로그램이 시간제 발달장애 근로자의 직장출근준비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목적을 두어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시간제로 식당사업체에 근무하고 있는 세명의 발달장애 근로자들이며, 이들이 거주하는 가정과 지하철역을 실험 환경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방법은 단일대상연구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기초선, 중재, 유지를 실험의 설계 조건으로 반영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들은 핵심어 카드 제작 및 수업시연 온라인 평생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직장출근준비기술을 효과적으로 습득 및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구성된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이 상호간에 갖는 유의미한 기능적 관계가 타당하다는 측면을 논의 및 결론지을 수 있었다.

The Study of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for Self-Marketing based on Job Analysis

  • Ahn, Sang Jo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9호
    • /
    • pp.135-142
    • /
    • 2019
  • Given the ability and skills required by modern people, marketing can be divided into knowledge-related skill such as marketing plans, market segmentation, and marketing mix management and supportive skill such as communication, inter-organizational management, creativity, and decision making. Knowledge related skills can be nurtured in existing marketing classes, but it is recognized that special educational programs such as self marketing are needed to develop and train supportive skills regardless of education levels or major education. This paper is aimed to design for marketing educational program for the self marketing. In this study, a DACUM method job analysis to extract contents by specialists such as model setting of task and job, job statement, job analysis, education course development, and so on. In the first place, this report presents job analysis model by procedures for developing selection criteria of examination questions of the self marketing qualification. The first step is preparation for job analysis, the second step: the establishment of job models, the third step : the job specification and task analysis, the fourth step: the review of job model, the fifth step: the establishment of subjects for examination matrix table for making questions.

직무분석을 통한 컴퓨터 운용사 자격검정 출제기준 개선 연구 (Job Analysis for the Improvement of criteria for preparation of Qualification test of Computer Operation Engineer)

  • 서준호;박종성
    • 공학교육연구
    • /
    • 제9권3호
    • /
    • pp.22-36
    • /
    • 2006
  • 이 연구는 컴퓨터운용사의 구체적인 직무 분석을 통하여 컴퓨터 운용사 자격의 출제기준을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계, 학계 전문가 7명으로 구성된 직무분석 위원회에서 데이컴(DACUM: Development A curriculum)법으로 직무분석을 실시하여 직무범위, 등급, 응시자격, 검정 기준, 출제 기준, 검정 방법 등의 구성 내용을 추출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컴퓨터 운용사의 출제기준을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의 모형을 절차별로 정리 제시하였는데, 1단계는 직무분석 준비(자료 조사 및 면담, 전문가 선정), 2단계는 직무모형 설정(1차 전문가 협의회 및 1차 현장 검토)하였고, 3단계는 지식, 기능, 도구 추출(2차 전문가 협의회 및 2차 현장 검토), 4단계는 코스 및 교과목 선정(3차 전문가 협의회), 5단계는 출제기준 설정(3차 현장 검토)의 과정을 통하여 컴퓨터운용사의 자격의 출제기준을 제시하였다.

Development of Head-cook's Education and Training Curriculum by Analyzing Job Characteristics and Competencies in Contract Foodservice Management Company

  • Cha, Jin-A;Park, Moon-Kyung;Shin, Jeong-Hoon;Yang, Il-Sun
    • Nutritional Sciences
    • /
    • 제9권2호
    • /
    • pp.131-138
    • /
    • 2006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job characteristics and competencies of a head-cook in contracted foodservice management company, identify the knowledge, abilities, skills and other characteristics (KASO) required to perform the duties of a head-cook, and provide training content and develop training program for job of head-cook in contract foodservice management company (CFMC). A survey instrument including identified KASO was used in the study. The questionnaire was delivered by using e-mail to 165 head-cooks employed by CFMC. The factor analysis resulted in a three-factor structure of the instrument such as 'basic foodservice operation duties' 'personal characteristics' 'managing of expanded duties-menu, customer and business'. This result suggested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for head-cook in CFMC should be composed of 'basic foodservice operation duties' on 'bulk preparation', 'procurement, inventory management', 'facility and equipment management', and 'sanitation and safety management', 'personal characteristics' on 'personality management' and 'moral duties', and 'managing of expanded duties-menu, customer and business' on 'menu management', 'customer service management', 'cost management', and 'administrative ability'. Therefore, it will be expected that the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in the contract foodservice industry would be developed by the application of recommended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간호사 국가고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전문가 집단 연구 (Delphi Study on Introduction of Practical Skills Test in National Examination for Nursing Licensure)

  • 임난영;송정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7-165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lan to introduce a practical skills test as part of the national examination for nursing licensure. Method: The delphi method was used. The first set of data was collected by open questionnaire from universities and hospitals nationally. The second and third were collected by structured questionnaire. Results: The biggest problem for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education was reported as the lack of opportunities for direct nursing practice. The biggest performance problem in job duties for novice nurses was reported as the lack of integrated problem solving skills in a clinical situation. The biggest problem with the current national examination was reported as the use memorizing solutions to test questions. It was suggested that the best plan to resolve problems with the national examination would be to develop test questions representative of the clinical setting and increase personnel in clinical education. About the introduction of a practical skills test as part of the national examination, 56.9% were in agreement and 38.5% disagreed. Conclusion: The current national examination has many problems when it comes to testing clinical competency. So, a practical skills test must be deferred to a future time. There are also many difficulties in presenting a real situation, therefo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in preparation for the introduction of a practical skills test.

  • PDF

DACUM법을 이용한 축산분야 국가기술자격의 시험과목과 출제기준 개발 (Test Subject and Test Evaluation Criteria for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in Livestock Field Based on DACUM)

  • 김규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473-482
    • /
    • 2012
  • 이 연구는 축산 분야의 구체적인 직무 분석을 통하여 축산분야 자격의 시험과목 및 출제기준을 설계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계, 학계 전문가들로 구성된 직무분석 위원회에서 데이컴(DACUM : Development A curriculum)법으로 직무분석을 실시하여 직무범위, 응시자격, 검정기준, 출제기준, 검정방법 등의 구성 내용을 추출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축산 분야의 출제기준 개선을 위한 직무분석의 모형을 절차별로 검토 후 정리 제시하였는데, 1단계는 직무분석 준비(자료조사 및 면담, 전문가 선정), 2단계는 직무모형 설정(1차 전문가 협의회 및 1차 현장 검토)하였고, 3단계는 지식, 기능, 도구 추출(2차 전문가 협의회 및 2차 현장검토), 4단계는 코스 및 시험과목 선정(3차 전문가 협의회), 5단계는 출제기준 설정(3차 현장 검토)의 과정을 통하여 축산 분야 자격의 출제기준을 제시하였다.

DACUM법을 이용한 환경영향평가사 자격의 시험과목 및 출제기준 개발 연구 (The Subjects for Examination & Criteria for Preparation of Test Questions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or Qualifications Developed by DACUM)

  • 박종성;김상진;이영란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6호
    • /
    • pp.33-48
    • /
    • 2010
  • 이 연구는 환경영향평가사 자격의 구체적인 직무 분석을 통하여 환경영향평가사 자격의 시험과목 및 출제기준을 설계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계, 학계 전문가 9명으로 구성된 직무분석 위원회에서 데이컴(DACUM: Development A curriculum)법으로 직무분석을 실시하여 직무범위, 응시자격, 검정 기준, 출제 기준, 검정 방법 등의 구성 내용을 추출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환경영향평가사의 출제기준을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의 모형을 절차별로 정리 제시하였는데, 1단계는 직무분석 준비(자료 조사 및 면담, 전문가 선정), 2단계는 직무모형 설정(1차 전문가 협의회 및 1차 현장 검토)하였고, 3단계는 지식, 기능, 도구 추출(2차 전문가 협의회 및 2차 현장검토), 4단계는 코스 및 시험과목 선정(3차 전문가 협의회), 5단계는 출제기준 설정(3차 현장 검토)의 과정을 통하여 환경영향평가사 자격의 출제기준을 제시하였다.

  • PDF

재학 중 현장실습과 취업 후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장·단기현장실습의 비교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n-site Training During the School Year and Job Satisfaction after Employment: A Comparison between Short-term and Long-term on-site Training)

  • 김성희;이상곤
    • 공학교육연구
    • /
    • 제21권1호
    • /
    • pp.44-55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 - employment job satisfaction and both short-term (4-12 weeks) and long-term (12+weeks) on-site training. For this purpose, 405 graduates who had completed on-site training (205 short-term, 200 long term) during the school year were surveyed.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both short-term and long-term on-site training participants are as follows: In both short-term and long-term on-site training, it was found that on-site performance during the school year did not directly affect post-employment job satisfaction. In the case of short-term on-site training participants, job match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found to have no mediating effect on the correlation between on-site training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long-term on-site training participants, the analysis showed that job match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correlation between on-site training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These effects are not solely attributable to differences in duration of training; the differences in operating systems and the degree of preparation derived from these systems also affect the level of on-site training for students, businesses, and schools. This paper summarizes these findings and suggests the following improvement plans for on-site training in the future: First, short-term on-site training is required to establish a systematic basis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preparedness level. Second, both short-term and long-term on-site training should improve the skills and field understanding for students' majors through systematic quality management during the training period. Third, it is necessary for universities to increase expectations and quality of short-term on-site training for all involved while simultaneously reducing the gap between educational goals and practice in this field.

직업기초역량으로서의 수리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보정 학습 프로그램 개발 (A Remedial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Mathematics Applying Abilities as one of Core Competencies)

  • 최승현;류현아;남금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655-674
    • /
    • 2013
  • 현재의 학업성취도 평가가 직업교육이 목적인 특성화고에 적절치 못하다는 현장의 요구를 수용하여 교육과학기술부(2012)는 2013년부터 특성화고 학생의 직업역량 강화를 위해 직업기초능력평가를 도입하기로 하였다. 이 평가의 결과는 인증서로 제공되어 취업 과정에 활용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학생들의 기초학력을 신장시키고 나아가 이후 학생들이 직업 세계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수학학습 지원 자료를 개발하는 데 있다. 특성화고 학생들은 수학 기초학력 부족으로 직업기초능력평가에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보여, 이 학생들의 잠재력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수학학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3학년까지 수학과 교육과정 지도 내용에서 이후 특성화고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수리 활용 능력 학습 요소를 추출하였다. 이를 근거로 내용 영역별 단계 및 하위 레벨을 구성하고, 해당 학습 요소를 구성하여 내용 영역별 학습 요소를 체계화하여 직업기초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리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PDF

Delphi 기법을 활용한 학위연계형 고숙련마이스터 과정의 만족도 평가 문항 개발 (Development of Satisfaction Evaluation Items for Degree-linked High Skills Meister Courses using the Delphi Method)

  • 김승희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63-17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기업현장교사가 학위연계형 고숙련마이스터 과정에 학습근로자로 참여하여 일학습병행제 경력비전에서 제시하고 있는 스스로의 직무 역량을 향상시키고 응용력을 높이며, 고도화된 훈련 지도와 평가자로서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기대 목표에 대한 만족도를 훈련 준비, 훈련 수행, 훈련 효과, 훈련 행정 측면에서 평가할 수 있는 평가문항을 개발하고 문항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연구 결과 4개 영역 6개 부문 총 48개 문항을 개발하였다. 훈련 준비 영역의 훈련과정 개발 만족도에 대하여 7개 평가 문항을, 훈련 수행 영역의 Off-JT와 OJT 과정의 만족도와 관련하여 21개 평가 문항을, 훈련 효과 영역의 기업현장교사로서의 역량 강화 만족도와 직무 적용 및 실무 활용 능력제고 만족도와 관련하여 16개 평가 문항을, 훈련 행정 영역에서는 행정지원만족도 평가를 위한 6개 평가 문항을 개발하고 평가 문항의 안정성, 내용 타당도, 합의도와 수렴도 지표를 통해 최종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일학습병행 시범사업으로 추진 중인 고숙련마이스터 과정의 품질 관리를 위한 실무적 활용은 물론, 일학습병행 고숙련마이스터 과정 전반의 제도 개선 요인 등을 도출하기 위한 다양한 의견 수렴의 기초 조사 도구로서 참조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