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Crafting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7초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styl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Job crafting mediation effect

  • Lee, Sang-Young;Yang, Hae-Sool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167-177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role of job craf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voluntarily carrying out each member's assigned tasks. This study surveyed the manufacturing, construction, service industr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dentified the type of leadership they recognized,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leadership.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rasp the types of leadership acknowledged by the industry of manufacturing, construction, and service, and also to empirically analyze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he leadership. The study measures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erms of th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hile classifying the leadership into coaching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ensible leadership. In addition, the strictness of the analysis is imposed by estimating the simple least square model and ranking probit model. The results of the least square model is summarized as the following. Regardless of the different defining term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shown to have the greates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nsible leadership positively effected job satisfaction whereas coaching leadership positively effecte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mpared t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oaching leadership, the impact of the sensible leadership was very much limited. The result of the ranking probit model is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sensible leadership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membe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regarding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oaching leadership showed greater impact tha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is results contradicts the results from the simple least square model. If similar studies were to be conducted in the future, two models and the results must be compared. Third, as the leadership score increases by 1 point, there is greater possibility of having more than 4 points for all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Lastly, the analysis proves that job crafting has the mediation effect between the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사회적 가치 코칭은 누구에게 유익한가? 사회적 가치 코칭이 일의 의미와 직무만족, 잡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조절초점의 조절효과 (To whom is social value coaching useful? The effects of social value coaching on meaning of work, job satisfaction, and job crafting: The moderating role of regulatory focus)

  • 이수란;조지선;정은경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5권2호
    • /
    • pp.83-100
    • /
    • 2021
  • 본 연구는 사회적 가치 코칭이 기업의 재직자들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살펴보고, 사회적 가치 코칭에서 특히 유익을 얻는 개인 특성으로 조절초점을 상정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국내 모 대기업의 재직자들을 대상으로 코칭 모델을 적용한 사회적 가치 코칭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사회적 가치 코칭을 받은 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일의 의미, 헤도니아적 직무만족, 유데모니아적 직무만족, 잡크래프팅이 증가하는지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조절하는 조절초점의 역할이 분석되었다. 향상초점의 조절효과는 전혀 나타나지 않아 예방초점에 대해서만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사회적 가치 코칭 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모든 종속변인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일의 의미, 헤도니아적 직무만족, 유데모니아적 직무만족에 대해서는 예방초점이 낮은 집단보다는 높은 집단에서 코칭이 해당 특성을 증가시키는 데 더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한계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PDF

지각된 과잉자격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감정소진과 잡 크래프팅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Perceived Over-qualification on Employee Creative Behavior: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Exhaustion and Job Crafting)

  • 교하;권혁기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0호
    • /
    • pp.1-11
    • /
    • 2023
  • 본 연구는 주로 지각된 과잉자격의 부정적인 영향에 초점을 둔 기존연구의 관점에서 벗어나 지각된 과잉자격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중국에서 금융업에 종사하는 종업원 2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지각된 과잉자격은 종업원의 창의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과잉자격과 창의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감정소진과 잡 크래프팅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각된 과잉자격이 창의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온다는 것은 지각된 과잉자격의 영향효과에 대한 연구를 어느 정도 풍부하게 하였으며, 창의적 행동, 감정소진, 잡 크래프팅, 조직지원인식의 관계를 실증함으로써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과잉자격 인식에 대한 논의는 주로 종업원 개인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향후연구는 팀 수준 또는 조직 수준으로 확대해서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보육교사의 플로리시와 영유아권리존중보육 간 영향 관계에서 자기주도직무설계의 조절효과 탐색 (Exploring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Craf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Flourish and Care that Respects the Rights of Child)

  • 이재무;조경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42-552
    • /
    • 2022
  • 보육교사 직무의 중요성은 최근 대전환적 사회 환경 변화로 인해 크게 부각되고 있지만 수행 여건이 상당히 열악하여 다양한 직무요인 측면의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그에 본 연구는 보육교사와 관련된 실무적 활용과 제도적 지원을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플로리시,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자기주도직무설계를 선택하여 기능적 영향관계와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이들 변수를 활용하여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국내 연구가 부존하기 때문에 보육교사 223명을 대상으로 위계적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여 시초적 정보를 취득하였다. 분석결과, 연령대에 따른 플로리시, 근무시간에 따른 부정적 직무요구 감소만 집단별 평균 차이가 확인되었고, 플로리시가 영유아권리존중보육에 선행하며 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자기주도직무설계 중 사회적 직무자원 증진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제공한 정보를 토대로 직무 관리 전략을 새롭게 마련하고 실효성 높은 요인별 강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2018년부터 2021년까지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의 주제어에 관한 분석 (An Analysis on Keywords in the Journal of Korean Safety Management Science from 2018 to 2021)

  • 양병학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6
    • /
    • 2023
  •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keywords of the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 Safety Management Science by using the social network analysis. In order to extract the keywords, information on journal articles published from 2018 to 2021 was extracted from the SCIENCE ON. Among the keywords extracted from a total of 129 papers, the keywords with similar meanings were standardized. The keywords used in the same paper were visualized by connecting them through a network. Four centrality indicators of the social network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keyword. Safety, Safety management, Apartment, Fire hose, SMEs, Virtual reality, Machine learning, Waterproof time, R&D capability, and Job crafting were selected as the keywords analyzed with high influence in the four centrality indicators.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직업학 연구동향 분석 (Text Mining-Based Analysis for Research Trends in Vocational Studies)

  • 육동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86-599
    • /
    • 2017
  • 본 논문은 빅데이터 분석방법인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직업학 분야 전반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에서 직업학은 1997년 IMF외환위기를 기점으로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는 등 글로벌 경제위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연구 주제가 정부 정책이나 제도 등 '거시'에서 개인의 진로 설정 등 '미시'로 전환되고 있고, 연구 관점도 장애인 여성 등 사회적 약자에서, 은퇴자 실업자 등 경제적 약자로 변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조사 대상은 초 중 고등학생보다 대학생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그러나 진로상담의 임상적 결과분석이나 직업정보가공, 직업발달사적 논점의 시도는 적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분석대상을 학술지 초록에 한정하여 수행했다는 한계점이 존재하나, 텍스트 마이닝 기법 중 하나인 토픽분석을 통해 검색이 가능한 논문을 전수 조사하는 등 직업학 연구에 있어 정량적 분석 방법론의 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직업학 연구의 발전단계별 논점들을 분석한 최초의 시도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