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inhae bay

검색결과 226건 처리시간 0.023초

진해만과 주변해역 저층 영양염의 시·공간적 변동 특성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Nutrients Variation in Bottom Layer of Jinhae Bay)

  • 최태준;권정노;임재현;김슬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27-639
    • /
    • 2014
  • 연안환경의 영양염 순환에서 저층에서의 영양염 재생산(regeneration)은 주요한 영양염 공급원 중 하나이다. 진해만 저층 영양염의 거동을 살펴보기 위해 2004년부터 2012년까지 9년간 진해만 내 14개 정점의 수질자료를 분석하였다. 저층의 용존무기질소, 인산염인, 규산염규소는 계절적 변동성을 나타내었고, 하계에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다. 특히, 빈산소 수괴(hypoxia) 형성 시기의 평균 영양염 농도는 정상산소상태(normoxia) 시기에 비해 약 2배 더 높게 나타났다. 하계 진해만의 저층 용존무기질소, 인산염인, 규산염규소의 농도는 재생산에 의해 모두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공간적 농도 분포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용존무기질소와 인산염인은 마산만에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이는 반면 규산염규소는 마산만 뿐만 아니라 진해만 중심부에서도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다른 영양염에 비해 규산염규소는 전 계절 동안 저층에서의 재생산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계열 분석 결과 9년간 용존무기질소의 농도는 약 $14{\mu}M$에서 $6{\mu}M$로 뚜렷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용존무기질소의 감소로 인해 진해만 저층의 Si/N 비는 약 1에서 3으로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냉배수 방류에 따른 진해만의 해조류 성장 속도 변화 예측 (Prediction of Change in Growth Rate of Algae in Jinhae Bay due to Cooling Water Discharge)

  • 박성식;윤석진;이인철;김병국;김경회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08-323
    • /
    • 2021
  • 통영 LNG 기지에서 방류되는 냉배수가 진해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냉배수의 활용 방안 모색을 위해 총 4개의 냉배수 방류량에 대한 진해만의 환경변화를 1년간(2018년) 모의하였다. 실제 냉배수 방류량인 Case1(10 m3 sec-1)의 모의 결과, 모든 분기에서 냉배수에 의한 진해만의 환경변화는 매우 미미하게 나타났다. 모의 방류량인 Case2(100 m3 sec-1)의 경우 방류구 반경 5 km 범위에서 1 ~ 3℃의 수온 감소를 보였으며, Case3(1000 m3 sec-1)에서는 방류구 반경 8 km 범위에서 최대 4 ~ 5℃의 수온이 감소하였고 진해만 전 해역에 걸쳐 냉배수가 확산하는 결과를 보였다. 플랑크톤의 성장 속도는 최대 15% 감소하였으며(11월), 대형조류의 성장 속도는 행암만 부근에서 최대 6 %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통영 LNG 기지에서 방류되는 냉배수에 의한 진해만의 환경변화는 미미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Case3 결과로부터 국소지역의 '적조 방재', '해조류 성장'을 목적으로 냉배수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생태계 모델링을 이용한 진해만의 자생 COD 평가 (Ecological Modeling for Estimation of Autochthonous COD in Jinhae Bay)

  • 홍석진;이원찬;박종수;오현택;윤상필;김형철;김동명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8호
    • /
    • pp.959-971
    • /
    • 2007
  • The three-dimensional eco-hydrodynamic model was applied to estimate the autochthonous COD caused by production of phytoplankton in Jinhae Bay. A residual current was simulated, using a hydrodynamic model, to have a sightly complicated pattern in the inner part of the bay, ranging from 0.001 to 5 cm/s. In the outer part of the bay, the simulated current flowed out to the south sea with a southward flow at a maximum of 25 cm/s. The results of the ecological model simulation of COD levels showed high concentrations, exceeding 4 mg/L, in the inner bay of Masan, an area of wastewater discharge, and lower levels, approaching less than 1 mg/L, closer to the outer part of the bay. The simulation results of Autochthonous COD by two methods using ecological modeling, showed high ratio over 70% of total COD. Therefore, it is more important to consider nutrients than organic matters in the region for control COD standard.

1983年 7月 鎭海灣의 海洋化學指數의 水質分布에 관하여 (Vertical Distributions of Chemical Oceanographic Parameters in Jinhae Bay in July, 1983)

  • 양동범;김석현;이광우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9-93
    • /
    • 1984
  • 진해만에서 83년 7월의 장마직후에 수직적 및 수평적 해양화학적 환경을 조사 하였다. 마산만-가덕수도의 종축면상에는 염분이 낮은 내만쪽의 표층수에서 높은 농도의 용존성 질산염, 암모니아, 클로로필 a, 입자성질소, 입자성탄소가 측정 되었다. 입자성 C/N비는 내만쪽에서 낮고, 외만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이 해역 에서 무기질소와 인의 양은 적조가 발생하기에 충분한 향으로 나타났다.

  • PDF

진해만 해역의 인산염 분포의 특성에 관하여 (STUDY ON THE CHARACTERISTIC DISTRIBUTION OF PHOSPHATE IN JINHAE BAY)

  • 박청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8-72
    • /
    • 1975
  • 1. 본 조사항목중 비료공장 발수중에 많이 함유된 인산염이 해성에 따른 변동이 가장 심했다. 2. 해역별 년중 표층 인산염의 분포는 사비료공장이 위치한 행암만이 만외해역에 비해 평균 20배 이상의 가장 높은 농도분포를 보였으며 이것이 진해만 전역으로 확산되어 해외해역과 구별될 수 있는 양상을 보였다. 3. 사비공장이 설립되던 1967년도의 인산염의 분포와 비교하면 행암만 입구해역에서 평균 10배정도의 높은 농도를 보였다. 4. 굴 양식장이 많은 거제만은 만외해역보다 오히려 낮은 빈영양염 상태를 보였다. 5. 마산암은 도시하수 등의 오염에 의한 부식수역으로 하수 정화시설이 시급히 필요하다.

  • PDF

진해만에 산란회유한 대구 Gadus macrocephalus의 포란수 (Fecundity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Jinhae Bay During Spawning Period)

  • 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1-125
    • /
    • 2010
  • 진해만에 산란회유한 대구 친어의 체장에 따른 포란수를 조사하기 위하여 거제수협 외포 위판장에서 산란기인 2008년 12월부터 2009년 2월까지 채집한 45개체의 대구 전장과 포란수를 조사하였다. 산란기 동안 최대 포란수는 520만개 (TL 74.0 cm), 최소 포란수 56만개 (TL 64.0 cm), 평균 포란수 212만개였다. 어체 전장범위별 비교에서는 전장 66~70 cm에서 평균 포란수 169만개, 71~75 cm에서 평균 포란수 260만개로 증가하였다. 진해만 대구는 전장 증가에 따라 포란수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란기간 중 전기, 중기, 후기의 평균 포란수는 262만개, 196만개, 165만개로 전기에서 후기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상대포란수도 포란수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한편 상대포란수와 체장과의 상관관계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같은 전장에서 상대포란수가 316~935개로 폭넓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같은 어체 크기라도 진해만으로 산란회유하는 시기에 따라 포란수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EMT-3D 모델을 이용한 진해만 PAHs의 거동 예측 시뮬레이션 (Numerical Simulation for the Prediction of PAHs in Jinhae Bay using EMT-3D Model)

  • 김동명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13
    • /
    • 2011
  • 진해만을 대상으로 3차원 생태계 모델(EMT-3D)을 사용하여 PAHs 거동예측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계산치와 실측치를 비교한 결과, 모델의 재현성은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감도 분석을 시행하여 영향인자를 파악한 결과, 용존 PAHs의 경우 광분해 계수의 영향이, 입자성 유기물질 내 PAHs의 경우는 입자성 유기탄소에 대한 분배계수의 영향이 중요한 요소였다. 식물플랑크톤 체내의 PAHs의 경우, 생물농축계수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천, 대기와 하천 및 대기의 오염부하에 대하여 저감에 따른 응답성 평가를 시행하였다.

진해만에서의 청어(Clupea pallasii) 산란장 분포와 특성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Pacific Herring Clupea pallasii Spawning Beds in Jinhae Bay, Korea)

  • 문성용;최정화;이해원;김정년;허진석;곽우석;이용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534-538
    • /
    • 2019
  •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spawning beds of the Pacific herring Clupea pallasii, were observed by scuba diving in Jinhae Bay, Korea, with a focus on marine vegetation as adhesive substrates and egg density during the spawning season. In 2017, the fertilized eggs of C. pallasii were mainly found attached to the leaves of algae species Carpopeltis cornea, Gracilaria textorii, and Acrosrium polyneurum at the rocky shore in Wonpo-dong and Jeodo. The mean density of fertilized eggs in C. pallasii spawning beds was $153,776eggs/m^2$ off Wonpo-dong and $856,430eggs/m^2$ off Jeodo, giving an estimated total of $5.345{\times}10^9$ eggs in Wonpo-dong and $3.3074{\times}10^{10}$ eggs in Jeodo. We examined spawning beds with an area of $38,619m^2$ off Wonpo-dong and $34,760m^2$ off Jeodo. The choice of spawning bed may be affected by the composition of marine vegetation, such as the algal diversity of rocky shore environments, which could affect adhesive substrates and egg density during the spawning seas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spawning season of C. pallasii in Jinhae Bay is in January to mid-February.

판별함수에 의한 진해만 적조예측 (The Prediction of Red Tides in Jinhae Bay using a Discriminant Function)

  • 이문옥;백상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8-19
    • /
    • 1998
  • The dicriminant function was introduced to understand the cause and establish the prediction method of red tides occurring In Jinhae Bay. Korea. Two sea re91ons of Masan and Haengam Bays and Dang- dong and Wonmun Bays had different types of causes and patterns for red tides. In Masan and Haengam Bays, the red tides concentrically occurred during June and September. For example, in .lune the red tides occurred from physical and meteorological factors, which are related to the stratification and the increase in planktons. However in August the red tides occurred from the water quality environment, based on these conditoins. Futhermore, in September the red tides were caused by the balance between the meteorological and water quality environmental factors. In contrast to those, In Dangdong and Won-mun Bays, the red tides mainly occurred during July and October and the frequency of occurrence was not as much as Masan and Haengam Bays. Especially, in August and September most meteorological and physical factors or water quality environmental factors appeared to contribute to the occurrence of red tides. This indicates that red tides do not easily occur as they are controlled by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particularly in these regions The discriminant functions were applied to predict red tides which they were actually occurred In Masan and Haengam Bays in June. The results showed that they were successful for the prediction of red tide at Haengam Bay but not at Masan Bay. The reason for their discrepancy in Masan Bay could have come from using a slight higher value of pH or COD in May, instead of its value in June.

  • PDF

하계 진해만 광역조사 -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단기변화와 수평적 분포특성 - (The Study of Summer Season in Jinhae Bay - Short-term Changes of Community Structure and Horizont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

  • 백승호;김영옥
    • 환경생물
    • /
    • 제28권3호
    • /
    • pp.115-124
    • /
    • 2010
  • 진해만 광역해역에서 하계 식물플랑크톤의 수평적 군집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서 16개 정점에서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밀도와 환경요인을 조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은 총 66종이 출현하였고, 전체의 80% 이상이 규조류의 점유율을 보였고, 다음으로 와편모조류와 라피도조류순으로 관찰되었다. 규조류의 우점종은 Chaetoceros affinis, C. didymus, C. pseudocurvisetus, Leptocylindrus danicus, Pseudo-nitzchia pungens, Skeletonema costatum으로 나타났고, 와편모조류는 Cochlodinium polykrikoides, Gymnodinium impudicum, Karenia mikimotoi, Prorocentrium minimum, Protoperidium bipes, Scrippsiella trochoidea로 관찰되었다. 각 정점별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를 바탕으로 한 MDS와 Cluster 분석에서 하계 진해만 광역해역은 크게 2그룹으로 나누어졌다. 제1그룹은 마산만 내측 정점으로 담수기원으로 높은 영양염 농도와 낮은 염분농도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곳이다. 제2그룹은 나머지 다른 외측 정점으로 구분되었다. 정준대응을 근거로 한 분석(CCA)에서도 만 내측에 우점 출현한 크기가 작은 와편모조류 K. mikimotoi, P. minimum, P. bipes, S. trochoidea와 중심목 규조류 S. costatum, C. pseudocurvisetus는 DIN (암모니윰, 질산염, 아질산염)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해역에서 만 내측과 외측의 정점으로 식물 플랑크톤의 군집조성이 확연히 구분되고 있고, 특히 만내측에서 높은 Chl.a농도와 더불어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내만의 얇은 수심에서 하계 식물플랑크톤의 대증식을 유발할 수 있었던 것은 높은 질소기원의 영양염과 수온에 의한 영향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