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inhae bay

검색결과 230건 처리시간 0.027초

진해만과 진주만에서 새우조망으로 어획된 수산자원의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catch by a coastal beam trawl in Jinhae Bay and Jinju Bay, Korea)

  • 송미영;김주일;김성태;이종희;이재봉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8권4호
    • /
    • pp.428-444
    • /
    • 2012
  • 진해만과 진주만에서 새우조망을 이용하여 2010년 4월부터 11월까지 총 4회의 어업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기간 동안, 진해만에서는 총 116종이 어획되었고, 그 중 어류가 62종, 갑각류가 24종을 차지하였다. 진주만에서는 총 105종이 분류되었고, 그 중 어류가 56종, 갑각류가 31종 조사되었다. 진해만에서는 등가시치, 마루자주새우, 갯가재가 우점하였고, 진주만에서는 마루자주새우, 주둥치, 두점박이민꽃게 순으로 우점하였다. SOM을 이용한 군집유형화 결과, 진해만과 진주만의 군집구성이 계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그룹1에 묶여진 진주만 조사정점들은 민새우, 대하 등 갑각류와 주둥치 쥐노래미 등의 어류가 우점하였다. 4월 조사는 해역에 상관없이 모든 정점이 그룹2에 묶였는데 마루자주새우, 검은띠불가사리, 꼼치 등의 밀도가 높았다. 그룹3에 묶여진 진주만의 6월 조사정점들은 두점박이민꽃게를 포함한 다양한 갑각류와 도다리, 돛양태, 쉬쉬망둑 등의 다양한 어류가 우점하였다. 그룹4에 묶인 진해만의 6월~11월 조사정점에서는 등가시치, 흰베도라치 등의 어류가 우점하였다. 우점종인 마루자주새우는 6월까지 포란개체가 많이 어획되었고, 등가시치와 주둥치는 조사기간 동안 대부분 소형개체가 출현하였다. 이는 본 해역이 수산생물의 산란장 및 성육장으로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생태계모텔에 의한 진해만의 빈산소수괴 저감예측 (Numerical Prediction for Reduction of Oxygen Deficient Water Mass by Ecological Model in Jinhae Bay)

  • 이인철;공화훈;윤석진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75-82
    • /
    • 2008
  • As a basic study for establishing a countermeasure for an oxygen deficient water mass (ODW), we investigated the variation of ODW volume according to the enforced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in Jinhae Bay. This study estimated the inflowing pollutant loads into Jinhae Bay and predicted the reduction in ODW by using a sediment-water ecological model (SWEM). The result obtain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aily average pollutant loads of COD, SS, TN, TP, DIN, and DIP inflowing into Jinhae bay in 2005 were estimated to be about 12,218 kg-COD/day, 91,884 kg-SS/day, 5,292 kg-TN/day, 182 kg-TP/day, 4,236 kg-DIN/day, and 130 kg-DIP/day. 2) The calculated results of the tidal current by the hydrodynamic model showed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currents. Also, an ecological model well reproduc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water quality in the bay. 3) This study defined the ODWDI (ODW decreasing index) in order to estimate the ODW decreasing volume caused by a reduction in the inflowing pollutant loads. As a result, the ODWDI was predicted to be about 0.91 (COD 30% reduction), 0.87 (COD 50% reduction), 0.79 (COD 70% reduction), 0.85 (ALL 30% reduction), 0.66 (ALL 50% reduction), and 0.45 (ALL 70% reduction). The ODW volume was decreased 1.5 $\sim$ 2.6 times with a reduction in the COD, TN, and TP inflowing pollutant loads compared to a reduction in just the COD inflowing pollutant loa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force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not only for COD, but also fm TN and TP.

On the Circulation in the Jinhae Bay using the Princeton Ocean Model -I. Characteristic in Vertical Tidal Motion-

  • Hong Chul-hoo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권2호
    • /
    • pp.168-179
    • /
    • 1998
  • Circulation in the Jinhae Bay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is examined using the Princeton Ocean Model (POM) with a free surface in a sigma coordinate, governed by primitive equations. The model well corresponds to the time series of the observed velocities at several layers obtained from a long-term mooring observation. In the residual velocity field of the model, persistent downward flow fields are formed along the central deep regions in the bay, and they are caused by bottom topographic effect. In addition, a comparison between a depth-averaged (2D) model and the POM is given, and a dependance of the results on bottom drag coefficient is also examined.

  • PDF

진해만 북부해역 저서다모류 군집의 시$\cdot$공간적 분포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in the northern Jinhae Bay)

  • 임경훈;신현출
    • 환경생물
    • /
    • 제23권3호
    • /
    • pp.238-249
    • /
    • 2005
  • 2002년 9월, 12월 그리고 2003년 3월에 걸쳐 진해 국가산업단지 인근의 조사해역에서 총 27개 정점을 선정하고 저서동물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전 조사기간 모두 각각 총 9개 동물군이 확인되었고, 평균 저서동물의 서식밀도는 $2,324ind.m^{-2}$으로, 일반적인 한국 연안의 저서동물 서식밀도보다 다소 높은 값이었다. 이중 전 계절에서 가장 우점하는 동물군은 다모류로서, 3회 평균 $1,713ind.m^{-2}$의 서식밀도를 나타내었으며, 출현 개체수에 있어 전체 출현동물의 $73.7\%$를 차지하여 그 중요도가 가장 높았다. 다모류의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는 전 계절 조사기간동안 $61\~$66종, $1,445\~l,899ind.m^{-2}$으로 계절 변동은 크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진해 국가산업단지 인근의 해역에서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가 낮았고, 비교적 해수 소통이 원활한 초리도 인근 해역에서 높았다. 진해만에서 3계절동안 우점한 다모류는 Lumbrineris longifolia, Tharyx sp., Mesochaetopterus sp., Heteromastus filiformis, Prionospio sp., Glycinde sp. 등이었다. 우점 다모류 역시 진해 국가산업단지 인근의 해역에서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가 낮은 편이었고, 초리도 인근 해역에서 대체적으로 높았다. 이중 Mesochaetopterux sp.만 유독 수하식 홍합양식장이 위치한 일부 정점에서 극우점 하였다. 집괴분석에 의해 본 연구 해역을 구분한 결과, 진해 국가산업단지에서부터 외해쪽으로 나가면서 정점군들의 위치가 단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 뚜렷하였다.

AHP 기법 기반 진해만 태풍 피항지 내 안전대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Measures for Typhoon Shelter in Jinhae Bay Based on AHP Assessment)

  • 김니은;이명기;교칸 참르율트;박도형;김대원;박영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07-514
    • /
    • 2022
  • 진해만 해역은 태풍 내습 시에 우리나라 남동권 해역의 주요 태풍 피항지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태풍 내습 시 진해만 내 선박이 폭주하고 주묘가 다수 발생하는 등 해양사고 발생 가능성이 존재한다. 본 논문은 태풍 내습 시 진해만 피항지에 대해 안전 확보 및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해당 해역의 VTS 관제사로부터 도출하고, 이를 선박 운항자에게 AHP 기법을 통하여 상대적 중요도를 도출하여 관리자와 이용자 의견이 반영된 안전대책을 제시하였다. AHP 설문조사를 위한 안전 대책 요소를 선정하기 위하여 진해만 내 태풍 내습 시 VTS 관제사의 대응 조치 평가 내용에 대해 분석하였다. 선정된 안전대책 요소를 기반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선정된 요소에 대해 선박 운항자는 선박의 안전을 효율적 관리보다 약 2배 이상 중요하게 생각하며, 종합적으로 피항선 관리, 정박구역 관리, 피항정보 관리, 규정 및 지침 마련, 시스템 장비 개선, 교육 및 홍보·알림 활동 순으로 중요하게 고려함을 파악하였다. 본 논문에서 식별된 방안 및 상대적 중요도를 통해서 진해만 태풍 피항지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차원 수치모의 실험을 통한 진해·마산만의 계절별 해수순환과 염하구 특성 (Seasonal Circulation and Estuarine Characteristics in the Jinhae and Masan Bay from Three-Dimensional Numerical Experiments)

  • 김지하;최병주;최재성;하호경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9권2호
    • /
    • pp.77-100
    • /
    • 2024
  • 진해·마산만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해수순환, 조석, 조류, 적조, 수질, 빈산소 환경을 주제로 많이 연구되었으나 주로 단기간 동안 일어나는 해양현상에 대해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만 전체적인 해수순환을 일으키는 물리적 기작을 자세히 살펴본 연구는 부족했다. 오염 물질의 이동과 확산 같은 현상은 주로 계절별로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진해·마산만 해역의 해수순환이 계절적으로 어떻게 변동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3차원 해양 순환 모델을 이용하여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진해·마산만의 해수순환을 수치모의하고, 여름철과 겨울철 해수순환을 표층, 중층, 저층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조석, 바람, 담수 유입에 대한 민감도 실험을 수행하여 각 요인들이 해수 유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진해·마산만의 해수순환은 가덕수도 저층에서 대한해협의 해수가 유입되고, 표층에서 진해·마산만의 해수가 유출되는 대류성 염하구 순환이 일어난다. 가덕수도를 통해 교환되는 해수의 순환은 크게 진해만 동부해역과 진해만 서부해역으로 나누어져 일어난다. 각 해역의 수로 방향을 기준으로 해수 수송량을 계산하였을 때, 진해만 동부해역의 남북방향 해수 교환 수송량은 진해만 서부해역에서 일어나는 동서방향 해수 교환량보다 겨울철에는 2.3배, 여름철에는 1.4배 크다. 진해만 서부해역은 계절별로 작용하는 힘들의 균형이 변화하여 해수순환 특성이 계절에 따라 크게 다르다. 겨울철에는 북서풍이 만드는 전단응력과 해수면 기울기의 영향으로 표층 해류가 남쪽으로, 저층 해류는 북쪽으로 흐르는 남북방향 대류성 순환이 강화된다. 반면, 남서풍이 부는 여름철에는 바람 응력에 의해 표층 해수가 동쪽으로 유출되고, 또한 남동쪽 해수면이 높아 북쪽 방향 순압성 압력경도력이 커져 동쪽 방향 유속이 강화된다. 저층에서는 밀도 구배가 커져 경압성 압력경도력이 남쪽으로 크게 작용하여 지형류 균형에 의해 가덕수도의 해수가 서쪽으로 강하게 유입하는 동서방향 대류성 순환이 겨울철보다 26% 강화된다. 진해만 서부의 대류성 순환은 겨울과 여름 모두 조류와 바람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진해만 동부해역과 마산만에서는 모든 계절에 표층에서는 해수가 외해로 유출되고, 저층에서는 해수가 만 안쪽으로 유입되는 전형적인 염하구 순환을 보였다. 겨울철에는 바람과 담수유입이, 여름철에는 조류의 영향이 남북방향 염하구 순환 규모에 크게 기여하였다. 진해만 동부해역에는 지형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조석 잔차류도 뚜렷하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진해·마산만의 계절별 해수순환 특성은 이 해역의 오염물질 확산, 여름철 빈산소수괴의 형성 기작 파악, 적조 생물의 유입과 유출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진해만 북부 해역에 분포하는 부유성 난 및 자치어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Ichthyoplankton in Northern Jinhae Bay, Korea)

  • 한경호;유태식;이진;이성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72-78
    • /
    • 2018
  • Fish eggs and larvae were collected in July and November of 2013 and January and May of 2014 to determine seasonal variation in the species composition of ichtyoplankton. Samples were classified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Fish eggs were identified as belonging to five taxa; the most dominant species of fish eggs was Engraulis japonicus (62.05%) followed by Sardinops melanostictus (21.02%) and Leiognathus nuchalis (13.71%). These three species accounted for 96.8% of the total number of fish eggs collected. Larvae of 17 species in six families, and six orders were collected. The most dominant species of fish larvae was E. japonicus (51.79%), followed by L. nuchalis (12.59%) and Omobranchus elegans (12.08%). These three species accounted for 76.46% of the total number of larvae collected. Jinhae Bay was identified as a major spawning and nursery ground for fish species inhabiting in the south coast of Korea, such as E. japonicus, L. nuchalis, S. melanostictus, and Omobranchus elegans. Therefore, management of marine fish resources in the South Sea should necessarily include the ecological management of Jinhae Bay.

진해만의 수산생산성지표의 경년변화 (Annual Variations in Fisheries Productivity Index in Jinhae Bay)

  • 강민희;이인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47-550
    • /
    • 2010
  • Jinhae Bay is a typical aquaculture farm with active fisheries. However, it has been contaminated by the development of a major city and industrial area, and has therefore diminished in value as a fishing ground. To preserve the continuing productivity of the ocean, we have to estimate fisheries resources. To analyze the fisheries resources in Jinhae Bay, we evaluated the Fisheries Productivity Index (FPI). The FPI is composed of the Total production ($T_p$), Total amount ($T_a$), and Production of edible protein ($E_p$), nitrogen ($N_p$) and phosphorous ($P_p$). To calculate the FPI, we used Annual statistics on cooperative sales of fishery products data from 1979 to 2004 and the Food composition table. The results of the FPI were as follows. $T_p$ ranged from 70,235 tons to 113,556 tons and $T_a$ ranged from 107,004 million won to 373,776 million won. $E_p$ ranged from 8,124 tons to 13,357 tons, $N_p$ ranged from 1,965 tons to 3,273 tons, and $P_p$ ranged from 168 tons to 276 tons. According to the FPI, maximum fisheries productivity occurred in 1994, when $T_a$, $E_p$, $N_p$ and $P_p$ were at their highest values.

진해만 담치 양식장내 지중해담치의 생산력 평가 (Assessment on the Productivity of Mytilus galloprovincialis on the Mussel Culture Ground in Jinhae Bay)

  • 박흥식;이순길;백상규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5-53
    • /
    • 2004
  • This study have conducted to calibrate the productivities on the mussel (Mytilus galloprovincialis) cultures in Jinhae Bay. Annual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dissolved oxygen have varied to 7.2-$25.9^{\circ}C$, 32.9-34.0 psu, 7.9-8.7 mg/l, respectively. In April, the smallest size of spat, 3.3 mm in shell length, have recruited, and 82.5 mm have recorded to the maximum. In summer, variations of growing up between individuals showed both shell length and weights at same cohort. Annual production at 2 m, 5 m, 8 m depth calculated to 10.91, 10.85 and 9.19 gWWt/ind./yr, respectively. Mussel cultiv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column (two meter depth) were significantly longer and heavier than those in lower part (eight meter depth). After the recruitment, monthly production showed gradual increment at all positions during summer. As results, annual production of mussel cultivated seemed to be controlled by conditions of growing up in summer. Based on the productivities calculated to this study, the total annual production of the mussel cultivated in Jinhae Bay have estimated about 196 ton/ha/yr.

  • PDF

동계 진해만에서의 자어 분포 및 종조성 (Distribu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Larval Fish during Winter Season in Jinhae Bay, Korea)

  • 이정훈;김정년;남기문;김창원;김주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3-138
    • /
    • 2014
  • 진해만에서 동계기간 동안 자어의 분포 및 종조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8과 12종이 출현하였고, 우점종으로는 Pholis crassispina, Clupea pallasii, Liparis tanakae, Hexagrammos otakii였다. 이들 4종은 출현한 총 개체수의 93%를 차지하였다. 잠도와 칠천도 동쪽에서 높은 밀도와 종 다양성을 보여, 이 지역이 진해만에서 자어의 주요 산란장인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