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incheon Basi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초

옥천분지와 진천분지의 지형특성 (The Geomorphic Characteristics of Okcheon Basin & Jincheon Basin)

  • 윤인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93-104
    • /
    • 2001
  • 한반도에서 하천의 작용으로 형성된 침식분지는 촌락과 도시가 자리잡은 생활공간과 경지 및 산업용지 등의 생산공간을 제공하는 매우 중요한 지형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지역은 달리하나 구성물질과 형성시기, 형성과정이 비슷하다고 볼 수 있는 옥천분지와 진천분지의 특성을 찾는데 그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 방법은 지도작업과 야외조사를 통하여 지질과 지형과의 관계, 하곡의 형성과 전체적인 지형, 분지의 형성과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첫째, 옥천분지와 진천분지는 지형적 단위지역으로 구분이 뚜렷하며, 화강암이 분지 내부를 형성하는 전형적인 침식분지로 볼 수 있다. 둘째, 옥천분지와 진천분지의 경계부(basin rim) 및 분지 내부의 지질 형성시기와 종류로 보아 지각 내부의 작용- 곡동(upwarping)- 후 차별침식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옥천분지와 진천분지의 이용은 국토관리 측면에서 식량자원의 확보를 위한 농업기지로의 활용이나, 주변지역과의 양호한 접근성으로서 전원적인 저밀도 거주공간으로의 활용도 적합하다고 생각이 된다.

  • PDF

진천분지 뢰스-고토양 연속층의 형성과 퇴적 환경 (Formation and sedimentary environment of loess-paleosolsequence in the Jincheon Basin, Chungbuk Province, Korea)

  • 윤순옥;박충선;황상일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14
    • /
    • 2013
  • 진천분지 하안단구면 상부에 퇴적되어 있는 뢰스-고토양 연속층인 진천단면을 대상으로 형성시기 및 입도조성과 기후변화 등 퇴적환경을 밝혔다. 진천단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표층, 뢰스-고토양 연속층, 점이층 I, 점이층 II 그리고 하안단구 자갈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OSL 연대측정 결과 뢰스-고토양 연속층은 MIS 6~4에 퇴적된 것으로 판단된다. 연속층은 대자율 변화에 기초하여 4개의 층준으로 구분된다. 입도분석 결과, 진천단면 뢰스-고토양 연속층은 지금까지 한국에서 보고된 뢰스 퇴적층과 입도조성이 유사하다. 특히 Y값은 중국 뢰스고원의 뢰스 및 고토양 층준보다는 작고, Red Clay 또는 양쯔강 하류의 Xiashu 뢰스와 유사하다. 이는 원거리 기원 또는 퇴적 이후 한반도에서 강한 풍화작용을 경험한데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충북 진천분지 북동부에 발달한 화강암 풍화층의 풍화 특색 (Weathering Characteristics of Granitic Hills Developed in Eastern Jincheon Basin, Korea)

  • 김영래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11
    • /
    • 2020
  • A CIA analysis (A-CN-K and A-CNK-FM ternary diagram) indicates that, unlike the general granitic hills of the Korean Peninsula, the chemical weathering of the granitic grus (sandy regolith) in the eastern Jincheon basin is variable in geomorphic site except the Chuncheon basin. In the study area, there are three types of hills, such as; inner hills, linear isolated hills, and outer hills. The weathered mantles of the outer hills and linear isolated hills are weakly altered, whereas the inner hill, the Bonghyeon profile, shows a stronger chemical loss of the compositions approximating saprolite. There are small differences between the outer hills and linear isolated hills. The Geumwang site is considered fresh rock due to a low lever of alteration, although its sampling profile shows sandy weathering mantles. In the profiles of the Masan and Mugeuks sites, the lower part of weathering mantles has not experienced a significant level of component loss, but the upper regoliths have substantially been modified. The alteration of the hills occurs by chemical loss of CaO and Na2O. K2O exhibited little variation at all sampling suites and it has not changed into saprolite.

화강암 분지를 흐르는 미호천의 지형학적 특색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iho Stream Flowing through a Granitic Plain, South Korea)

  • 김영래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11
    • /
    • 2021
  • The drainage area of the Miho stream is composed of granitic basins, gneissic and sedimentary mountains. 80 percent of the Miho stream flows through the Jincheon basin and the Cheongju inner-plain within the Daebo granite belt. Because the deep weathering of granitic hills provides a large amount of sands to the streams, there are wide floodplains with thick alluvium developed in the basin and plain. The thickness of the alluvium is 5~10m and the width of the floodplains is 2~2.5km. In the basin outlet area where a stream passes through the mountain canyon, wide floodplains and deep alluvium are developed in other riverside. The Miho stream is a sand-gravel channel flowing through the Cheongju inner-plain with wide floodplains and deep alluvium formed by deep weathering of granite.

낙동강 수계에서의 X-선 조영제(Iopromide)의 분포 특성 (Occurrence of X-ray Contrast Media (Iopromide) in the Nakdong River Basin)

  • 염훈식;손희종;류동춘;장성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9호
    • /
    • pp.1131-1138
    • /
    • 2012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and confirm the occurrence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iodinated X-ray contrast media (iopromide) in Nakdong river basin (mainstream and its tributaries). Iopromide was detected in 16 sampling sites. The concentration levels of iopromide on February 2011 and on October 2011 in surface water samples ranged from not detected (ND) to 1481.1 ng/L and ND to 1168.2 ng/L, respectively. The highest concentration level of iopromide in the mainstream and tributaries in Nakdong river were Goryeong and Jincheon-cheon, respectively. The sewage treatment plants (STPs) along the river affect the iopromide levels in river and the iopromide levels decreased with downstream because of dilution effects.

낙동강 수계에서의 고지혈증 치료제 검출 특성 (Detection Characteristics of Blood Lipid Lower Agents (BLLAs) in Nakdong River Basin)

  • 손희종;서창동;염훈식;송미정;김경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12호
    • /
    • pp.1615-1624
    • /
    • 2013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and confirm the occurrence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blood lipid lower agents (BLLAs) in Nakdong river basin (mainstream and its tributaries). 4 (atorvastatin, lovastatin, mevastatin and simvastatin) out of 5 statins and 2 (clofibric acid and zemfibrozil) out of 3 fibrates were detected in 29 sampling sites and simvastatin (>50%) was predominant compound followed by atorvastatin, lovastatin and clofibric acid. The total concentration levels of BLLAs on April, August and November 2009 in surface water samples ranged from ND~25.7 ng/L, ND~18.8 and ND to 38.8 ng/L, respectively. The highest concentration level of BLLAs in the mainstream and tributaries in Nakdong river were Goryeong and Jincheon-cheon, respectively. The sewage treatment plants (STPs) along the river affect the BLLAs levels in river and the BLLAs levels decreased with downstream because of dilution effects.

낙동강 수계에서의 인공 사향물질 검출 특성 (Detection of Synthetic Musk Compounds (SMCs) in Nakdong River Basin)

  • 서창동;손희종;이인석;오정은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615-624
    • /
    • 2010
  • 낙동강 수계에서의 인공 사향물질들의 검출현황을 조사한 결과, 다환 사향물질인 HHCB, AHTN, AHMI 및 ADBI 4종과 염화 사향물질인 MK 1종이 검출었으며, 본류에서는 HHCB, AHTN 및 MK 3종만이 검출되었다. 낙동강 수계에 검출된 인공 사향물질들의 구성비율을 조사한 결과, HHCB가 50% 이상을 차지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MK와 AHTN이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낙동강 본류에서 가장 높은 검출농도를 나타낸 지점은 고령지점 (고령교)으로 2월과 9월에 각각 280.4 ng/L와 195.3 ng/L가 검출되었고, 지류에서는 진천천 지점으로 2월에 2146.6 ng/L와 9월에 1386.4 ng/L의 검출농도를 나타내었다. 인공 사향물질들은 낙동강 상류부근에서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나 중류부근인 구미 지점부터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영향을 받아서 농도가 증가하였고, 금호강과 진천천 (hot spot)의 영향을 많이 받는 고령지점에서 최대농도를 나타낸 후 하류로 갈수록 희석효과에 의해 농도가 점점 감소하였다.

낙동강 수계에서의 과불화 화합물(PFCs) 검출 특성 (Detection of Perfluorinated Compounds (PFCs) in Nakdong River Basin)

  • 손희종;황영도;염훈식;최진택;권기원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84-93
    • /
    • 2013
  • 낙동강 수계에서의 과불화 화합물(PFCs)들의 검출현황을 조사한 결과, PFOS, PFHpA, PFOA, PFNA, PFDA, PFUnDA 및 PFDoDA와 같은 7종의 PFCs가 본류 및 지류에서 검출되었다. 낙동강 수계에서 검출된 PFCs의 구성비율을 조사한 결과, 중류 부근에서는 PFOA와 PFHpA가 50% 이상을 차지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하류로 갈수록 PFUnDA, PFDoDA 및 PFOS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낙동강 본류에서 가장 높은 검출농도를 나타낸 지점은 고령지점(고령교)으로 2월과 8월에 각각 259.5 ng/L와 132.6 ng/L가 검출되었고, 지류에서는 진천천 지점으로 2월에 1168.2 ng/L와 8월에 627.8 ng/L의 검출농도를 나타내었다. PFCs는 낙동강 상류부근에서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나 중류부근인 구미 지점부터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영향을 받아서 농도가 증가하였고, 금호강과 진천천(hot spot)의 영향을 많이 받는 고령지점에서 최대농도를 나타낸 후 하류로 갈수록 희석효과에 의해 농도가 점점 감소하였다.

중원역사문화권 설정의 의미와 활용 방안 (The Significance and Utilization of the Jungwon Historical and Cultural Area)

  • 성정용;양시은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3호
    • /
    • pp.204-227
    • /
    • 2021
  • 본 논문은 중원이라는 명칭이 갖고 있는 역사성과 그 시공간적인 범위를 개관해봄으로써 '역사문화권 정비 등에 관한 특별법'에 중원역사문화권 설정의 타당성과 필요성을 제기하고 중원역사문화권의 활용 방안을 함께 모색해보았다. 국토의 중심이라는 의미를 내포한 중원은 지리적으로는 충주를 중심으로 계립령과 죽령, 그리고 남한강과 북한강을 통해 남북으로 한반도를 이어주는 핵심 지역으로서의 전략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고대 국가가 태동하는 마한 시기부터 서쪽으로는 미호천 유역인 청주와 진천 일대, 동쪽으로는 충주 일원이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으며, 이후 백제와 고구려·신라가 중원 지역을 차지하기 위해 치열한 접전을 벌이는 과정에서 삼국 문화의 교섭과 융합으로 중원 문화가 탄생하게 되었다. 특히 신라는 중원경을 중심으로 청주에는 서원경, 원주에는 북원경을 설치하는 등 중원 지역을 계속 중요시 하였다. 우리는 그간 고구려·백제·신라의 고대 국가 중심의 사관에 매몰되어 있다 보니 중원 지역에 대한 온전한 가치를 간과해왔는데, 앞으로는 중원역사문화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중원의 문화유산 생생 정보 공개 서비스,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역사문화유산 체험 및 교육프로그램, 문화유산을 적극 활용한 중원의 역사·문화·관광 콘텐츠의 개발 및 운영, 중원역사문화권의 정체성 규명을 위한 학술조사 및 연구의 활성화 등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