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Jeonju Hanok Village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182초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살펴본 청소년의 한복 인식 (Recognizing hanbok in youth through text mining)

  • 심준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27권3호
    • /
    • pp.239-250
    • /
    • 2019
  • Recently, young people wearing hanbok are highly visible in the palace and in Hanok Village. However, there is much controversy regarding whether the hanbok the young people are wearing is traditional. Young people in Korea are exposed to hanbok through a variety of ways such as school education, games, webtoons, television shows, and movies. In this study, we presented teenagers with illustrations of hanbok to see which they preferred and which if any they recognized as traditional. The study respondents most preferred the hanbok from the 18th century, but they considered the hanbok from the 20th century to be the traditional style. We next used text mining to analyze the students' freely written, open-ended responses regarding the hanbok they preferred and the one they considered traditional. The hanbok from the 18th century, the one the teenagers preferred, was a sexy, cool style related to gisaeng that emphasized the waist, whereas the hanbok they believed was traditional, the $20^{th}$-century hanbok, was simple, neat, comfortable, and plain. Among the young people's responses regarding which hanbok was traditional, the text mining extracted the following repeated words related to both the 18th- and 20th-century hanbok: "dramas," "mass media," "historical dramas," and "movies." For the 18th-century hanbok only, we extracted "webtoons" and "Hanok Village," and for only the 20th-century hanbok, we extracted "textbooks."

단면분석을 통한 조선시대 상류주택 안마당의 시지각 특성에 관한 연구 - 경북지방 'ㅁ'자형 주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erceptual Characteristics of Upper-class Houses in the Joseon Dynasty through Sectional Analysis - Focused on the Kyeong Buk Region 'ㅁ' Shape of House -)

  • 성재중;이승용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9-16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ross-sectional ratio of the courtyard, an external space that not only was used as a workplace, shelter, and playground in our lives, but also gave symbolic meaning to Koreans. Since the beginning of 2000, Hanok began to receive rapid attention from people, and Hanok construction and remodeling were actively carried out in urban and rural areas. In particular, Bukchon and Seochon in Seoul, around Cheonmachong in Gyeongju, and Hanok Village in Jeonju became popular places related to hanok, and Gyeongju, Buyeo, Gongju, and Iksan were designated as ancient districts to encourage the construction of hanok. However, although hanok is being built with national trends, support, and interest, attention is focused only on the external form, materials, and convenience of use, and the composition and system of the external space have not been properly review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functions and meanings of the yard in traditional housing, and to analyze the proportion of the height of the building surrounding the yard and the depth of the yard in terms of closure and opening. In addition, the system and characteristics of the external space of traditional architecture felt by this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designing traditional architecture.

한국 전통가옥에서 느껴지는 감성 측정을 위한 대표 감성 분류 (Classification of Representative Emotions to Measure Emotions Expressed by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 박은정;서종환;정상훈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7권3호
    • /
    • pp.43-50
    • /
    • 2018
  • 한옥에 대한 대중의 관심은 최근 들어 가히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전주 한옥마을은 2년 연속 1천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했을 만큼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지자체에서 한옥의 장점을 살려 관광 기반을 확대할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관광객들의 요구사항을 충분히 반영한 한옥 체험으로까지 확산하려면 한옥을 체험하는 사용자에게 좀 더 감성적으로 풍성한 경험을 제공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한옥을 경험하면서 사용자가 느껴지는 감성을 측정할 방안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선행 연구를 통해 182개의 감성어휘를 수집하였으며 델파이 기법을 통해 33개로 그룹화하였다. 앞서 그룹화한 33개의 그룹마다 포함된 감성어휘 중에서 한옥의 특성을 중심으로 중복되는 개념의 감성어휘들을 다시 그룹화하고 가장 적합한 감성어휘를 추출하여 68개로 축약하였다. 또한 한옥을 체험한 경험이 있는 사용자 3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한옥에서 느껴지는 감성 측정을 위한 대표 감성 30개를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30개의 대표 감성들을 토대로 요인분석을 한 결과, 각각의 요인에 포함된 감성어휘들의 공통적 특성을 반영하여 '심미감', '행복감', '신선감', '소유감', '균형감', '여유감' 등 총 6개의 요인으로 대표 감성을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한 30개의 대표 감성과 6개의 감성 카테고리는 한옥을 체험하면서 사용자들이 느껴지는 감성 정도를 측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한옥 지붕의 재료와 형태, 몸체 형태 등 다양한 용도를 대상으로 사용자가 느껴지는 감성 정도를 측정해보고자 한다.

모바일 관광을 위한 위치 기반 서비스 기술 (Technology of Location-Based Service for Mobile Tourism)

  • 이근상;김기정;김형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1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여행자에게 효과적인 관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 기반 서비스 알고리듬을 개발하여 전주시 한옥마을에 적용하였다. 먼저, 단일노선에서는 GPS 오차범위와 보행속도, 그리고 다중노선에서는 GPS 위치와 노선에 대한 최근린 기법을 조합한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위치 서비스를 개선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노선의 Node와 Link의 위상관계를 자동으로 구축하기 위해 DuraMap-Xr 공간엔진을 이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Blackpoint-Xr 모바일 앱 엔진을 기반으로 단일과 다중 노선상에서의 위치 서비스 기술을 구현함으로서 여행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떡 카페 메뉴의 푸드스타일링 시각적 요소가 소비자 구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od Styling Visual Elements in Tteok Café Menus on Consumer Buying Habits)

  • 김수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4-72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consumer's buying habits and food styling visual elements. Differentiated and original techniques were us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visual elements in tteok menus reflect the aesthetic needs of consumers without altering the nutrition of tteok. The targeted tteok cafes were in Jeonju Hanok Village, which is a tourist attraction in Korea. First, sub-factors of food styling visual elements applied to tteok $caf{\acute{e}}$ menus such as shape, size/volume, color, and texture all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proving that food styling visual effects applied to tteok $caf{\acute{e}}$ menu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sub-factors of food styling visual elements applied to tteok $caf{\acute{e}}$ menus all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buying habits. Third, customer satisfaction of menu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uying habits, as proven by previous studies. Fourth, the effects of customer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styling visual factors applied to tteok $caf{\acute{e}}$ menus and buying habits were investigated.

전주 한옥마을의 실감 3D View를 위한 Light ID 및 HMD-AR 기반 인터렉티브 전시 설계 (Light ID and HMD-AR Based Interactive Exhibition Design for Jeonju Hanok Village Immersive 3D View)

  • 민병준;비나야감 마리아판;차재상;김대영;조주필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414-420
    • /
    • 2018
  • 최근 디지털 컨버전스는 현실세계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미디어 콘텐츠에 가상 콘텐츠를 투영시켜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 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HMD AR 기술을 이용한 Light ID 및 HMD-AR 기반 인터렉티브 전시를 제안하였다. 이 접근법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시물에 추가적인 인프라를 설치할 필요 없이 기존 사용되고 있는 조명 또는 디스플레이를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Light ID는 웹 콘텐츠로의 접근을 위해서만 사용되는 QR 태그와 달리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 및 통신 매체로도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카메라를 기반으로 한 광 무선 통신 (OWC)의 장점을 활용하여 스마트 장치에서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ID를 수신하고 AR형태로 실감 3D 콘텐츠를 시각화하여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제안한 설계 기법에 대해 전주 한옥 마을을 타겟으로 Light ID 기반 광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한 실감 3D View 제공 기술을 구현하고 테스트를 수행하였으며, 실험 결과 제안한 기법을 통해 전시물에 관한 실시간 몰입형 3D 뷰를 제공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종가의 음식관광자원 가능성 연구 - 인제종가 팸투어 참가자 대상으로 - (A Study on Feasibility as Food Tourism Resources of Head Families (Jong Ga) - With a Inje Jong Ga Familiarization Tour Participants -)

  • 최지아;이은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078-108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reveal how Jong Ga and its cuisine is perceived by Koreans and foreign tourists and to develop Jong Ga culinary culture for culinary tourism. The Inje Jong Ga was chosen since it is located in Jeonju, Hanok Village, which is a destination for tourists and gourmet enthusiasts. In-depth personal interviews were performed with Koreans and with foreign tourists who were visiting Korea. Interviews were done to provide deeper insight into the comments and subject matters. Most tourists selected "having one table setting for each (Doksang)" as the most distinctive part of Jong Ga and its cuisine. To develop the experience at a Jong Ga as a culinary destination, questionnaires were created to study six areas: preferences on length of stay, price range, food serving style, things to be improved, expectations by as a tourist at a Jong Ga, and the role of the food guide. Perceptions toward Jong Ga and its cuisine were generally positive, but the quality of service and lack of organization in establishments were perceived to be the negative factors.

남녀대학생의 한복대여행태 및 한복대여의도 영향요인 (College Students' Hanbok Rental Behaviors and Factors Affecting Their Hanbok Rental Intention)

  • 박상희;이미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23권1호
    • /
    • pp.74-8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university students' Hanbok rental behavior and to examin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intention to rent Hanbok.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in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final 202 respon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t-tests, and multiple regressions analysis were used. Sixty-one percent of those who have experienced Hanbok rental said they rented Hanboks to experience tourism and 22 percent said they rented Hanboks to take pictures, and the main rental places are tourist attractions such as Jeonju Hanok Village.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 design and color of Hanbok were important product attributes when they consider renting a Hanbok. They also indicated that the opinions of other users posted on the Internet/Social Network were their main source of information for Hanbok rental.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two groups of Hanbok rental consumers based on clothing consumption values: novelty-seeking group and practicality-seeking group. The two groups were different in terms of few factors of the benefit sought of Hanbok rental, product attributes, and information sources.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raditional culture perception, purpose-built Hanbok pursuit benefit, pragmatic pursuit benefit, attitude toward Hanbok, and the previous Hanbok rental experience significantly affected respondents' intention to rent Hanbok.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mmarizes the key features of each group and provides suggestion for developing strategic marketing activities.

전주천 생태하천복원사업 후 이용자 평가 - 환경특성 및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중심으로 - (User assessment about ecological stream restoration of Jeonjucheon - Focused o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

  • 임현정;이명우;정문선
    • 환경영향평가
    • /
    • 제24권3호
    • /
    • pp.217-23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전주천의 환경특성과 이용자 모니터링을 통한 구간별 하천관리방안 모색에 있다. 전주천 생태하천 복원구간의 환경특성으로 상류는 전주한옥마을과 인접하고 매우 좋은 수질과 자연하천경관을 갖고 있으며, 중 하류는 수질상태가 양호하고 시설물이 집중되어 하천의 이용이 높은 구간이다. 설문을 통해 이용자특성, 이용행태, 시민참여, 중요도 우선순위, 중요도-만족도를 조사하였고, 설문응답 총 454부 중 무응답 완전제거 후 383부에 대한 인구 통계적 분석과 중요도-만족도 분석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ISA)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상 중류는 60대 이상, 하류는 30~50대의 이용률이 높고, 10분 이내, 도보권 이용자들이 운동을 목적으로 '혼자', '계절과 관계없이', '매일' 혹은 '주 2~3회'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체험 활동'과 '하천지킴이 참여'는 '경우에 따라 참여'가 세구간 평균 78%로 나타났다. 중요도 우선순위에서 상 하류는 '수질' > '녹지연결' > '산책로', 중류는 '수질 > '식물관리' > '산책로'로 나타나 '수질'이 가장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ISA 결과, 전 구간 10개 항목의 만족도(3.00)가 중요도(4.02)보다 낮아 개선이 필요하며, '우선시정' 관리로 상류는 '식물 및 시설물관리', 중 하류는 '식물관리', 전체 구간은 '식물관리'(I-S: 4.13, 2.89)로 나타났다.

토포필리아의 학습동기 역할 사례와 교육자원 분석 (The case study of Topophilia's Role as a Motivator to Learn and an Analysis of Educational Resources)

  • 윤마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67-479
    • /
    • 2014
  • 토포필리아는 어린 시절에 경험한 아름답고 행복한 낙원으로서의 고향에 대한 애착이나 그리움의 정서적 유대감을 말한다. 고향에서 경험한 기억들은 짧지만 강렬하여 학습과 의미 부여의 과정을 통해 긍정적인 정서를 갖는 토포필리아로 작용하여 학습동기가 될 수 있다. 정주영의 성공 스토리와 드보르작에 관한 기록 연구 결과, 정주영에게 소와 고향은 토포필리아의 주된 구체물이며 장소로서 성공의 원동력이 되었다. 드보르작도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기차 소리의 공감각으로 승화시켜 음악으로 완성했다. 자연에서도 일출과 일몰, 계절의 변화, 심장박동 등과 같이 다양한 리듬의 존재를 찾을 수 있는데 이러한 리듬 위에 멜로디가 들어가면 예술이 되고, 조화와 원리를 찾다보면 과학이 된다. 토포필리아를 함양할 수 있는 교육자원으로서 전북지역의 자연과 장소, 음식, 예술 분야를 분석했다. 전주 한옥마을 에서 장소의 리추얼을 체험하게 하고, 고추장의 가치를 찾으며 고향의 구체물로서 마이산과 화가 최북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