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w diseases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9초

교근 근전도 비교를 통한 턱관절 기능장애 평가 (Temporo-Mandibular Disorder Syndrome Evaluation by Masseter EMG)

  • 어승준;전진우;염호준;한휘종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349-354
    • /
    • 2018
  • 인류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의학기술도 눈부신 발전을 거듭해왔다. 그러나 과거에도 난치성 질환은 여전히 존재하였듯이 지금도 난치성 질환이 존재하는데, 그 중 턱관절장애가 있다. 현재 의료선진국이라 불리는 대한민국 의료진들의 진단은 환자의 발언, 의사의 청음진단과 자를 이용한 진단, X-ray 촬영 진단 방식을 고수하며 시대에 뒤떨어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환자의 정확한 증상 여부, 의사 본인의 진단 실력과 경력이 중요하고, 증상의 경중에 따른 진단 횟수의 증가와 이로 인해 발생하는 의료비용은 막대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저작운동(최대폐구)시 교근에서 발생되는 근전도 신호를 %MVC를 통해 정량화하였다. 정량화된 근전도는 Cortex로 비교, 평가하여 턱관절 상태 평가 기준 지표를 확립할 것이다.

Effect of deep transfer learning with a different kind of lesion on classification performance of pre-trained model: Verification with radiolucent lesions on panoramic radiographs

  • Yoshitaka Kise;Yoshiko Ariji;Chiaki Kuwada;Motoki Fukuda;Eiichiro Ariji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3권1호
    • /
    • pp.27-34
    • /
    • 2023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influence of training with a different kind of lesion on the performance of a target model.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310 patients(211 men, 99 women; average age, 47.9±16.1 years) were selected and their panoramic images were used in this study. We created a source model using panoramic radiographs including mandibular radiolucent cyst-like lesions (radicular cyst, dentigerous cyst, odontogenic keratocyst, and ameloblastoma). The model was simulatively transferred and trained on images of Stafne's bone cavity. A learning model was created using a customized DetectNet built in the Digits version 5.0 (NVIDIA, Santa Clara, CA). Two machines(Machines A and B) with identical specifications were used to simulate transfer learning. A source model was created from the data consisting of ameloblastoma, odontogenic keratocyst, dentigerous cyst, and radicular cyst in Machine A. Thereafter, it was transferred to Machine B and trained on additional data of Stafne's bone cavity to create target model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number of cases, we created several target models with different numbers of Stafne's bone cavity cases. Results: When the Stafne's bone cavity data were added to the training, both the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performances for this pathology improved. Even for lesions other than Stafne's bone cavity, the detection sensitivities tended to increase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tafne's bone cavities.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using different lesions for transfer learning improves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Deep learning system for distinguishing between nasopalatine duct cysts and radicular cysts arising in the midline region of the anterior maxilla on panoramic radiographs

  • Yoshitaka Kise;Chiaki Kuwada;Mizuho Mori;Motoki Fukuda;Yoshiko Ariji;Eiichiro Ariji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4권1호
    • /
    • pp.33-41
    • /
    • 2024
  •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create a deep learning model to distinguish between nasopalatine duct cysts (NDCs), radicular cysts, and no-lesions (normal) in the midline region of the anterior maxilla on panoramic radiographs and to compare its performance with that of dental residents.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patients with a confirmed diagnosis of NDC (53 men, 47 women; average age, 44.6±16.5 years), 100 with radicular cysts (49 men, 51 women; average age, 47.5±16.4 years), and 100 with normal groups (56 men, 44 women; average age, 34.4±14.6 year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Case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training datasets (80%) and the test dataset (20%). Then, 20% of the training data were randomly assigned as validation data. A learning model was created using a customized DetectNet built in Digits version 5.0 (NVIDIA, Santa Clara, USA). The performance of the deep learning system was assessed and compared with that of two dental residents. Results: The performance of the deep learning system was superior to that of the dental residents except for the recall of radicular cysts. The areas under the curve (AUCs) for NDCs and radicular cysts in the deep learning system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dental residents. The results for the dental residents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UC between NDCs and normal groups.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superior performance in detecting NDCs and radicular cysts and in distinguishing between these lesions and normal groups.

구강안면 운동장애의 임상적 증상 발현 (Clinical Manifestations in Orofacial Movement Disorders)

  • 유지원;윤창륙;조영곤;안종모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3권4호
    • /
    • pp.375-382
    • /
    • 2008
  • 구강안면 운동장애에 관한 진단 및 치료에 관한 기초를 수립하기 위하여 2007년 9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조선대학교 치과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33명의 구강안면 운동장애 환자의 연령, 성별, 전신병력 및 주소에 관한 진단명, 자각여부, 구강안면 운동의 유형 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여자가(81.82%)가 남자(18.18%)보다 구강안면 운동장애에 많이 이환되었으며, 평균 연령은 72.78($56{\sim}87$)세였다. 2. 대부분 전신질환에 이환되어 있었고(81.82%),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전신질환은 고혈압(22.41%)이었으며, 당뇨(17,24%), 우울증(8.62%), 위염(8.62%)순이었다. 3. 임상증상을 분석한 결과, 측두하악장애가 17명(33.33%)으로 가장 많았으며, 연조직질환(11명, 21.57%), 구강작열감증후군(9명, 17.65%), 구강운동(8명, 15.69%), 광범위한 안면통증(6명, 11.76%) 순이었다. 4. 특정한 원인 없이 증상이 발현한 경우가 72.73%로 가장 많았으며, 보철치료 후 증상이 발현된 경우가 24.24%, 우울증약 복용과 관련이 있는 경우가 3.03%이었다. 5. 구강안면운동의 유형을 평가한 결과, 폐구형(close)이 가장 많았으며(9명, 50%), 측방형(6명, 33.33%), 개구형(3명, 16.67%) 순이었다. 6. 구강안면운동를 자각하고 있지 못하는 경우가(54.55%) 자각하고 있는 경우(45.45%)보다 더 많았다. 따라서 치과의사는 구강안면통증 환자를 치료하는데 있어 구강안면 운동장애의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또한 정확한 진단 및 처치를 통해 불필요하고 비가역적인 치료를 최소한으로 줄이고자 항상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폐렴간균 폐렴에 의해 유발된 상대정맥 증후군 1예 (A Case of Superior Vena Cava Syndrome Caused by Klebsiella Pneumonia)

  • 김주영;임채만;김선희;추윤호;고윤석;김우성;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1호
    • /
    • pp.58-62
    • /
    • 1994
  • 저자들은 폐렴간균 폐렴에 의한 우상엽의 용적 증가로 인하여 유발된 상대정맥 증후군 1예를 임상 경험한후 medline검색상 SVCS의 유발 원인으로서 폐렴간균 폐렴은 최초의 증례로 사료되므로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하순 및 하악골 정중열의 치험례 (MEDIAN CLEFT OF THE LOWER LIP AND MANDIBLE;A CASE REPORT)

  • 차두원;김현수;백상흠;김진수;변기정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3권3호
    • /
    • pp.263-269
    • /
    • 2001
  • 하순 및 하악골 정중열은 매우 드문 선천성 기형으로 , 하순절흔에서부터 하악은 물론 경부, 흉부까지 연장되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원인은 확실하지 않으나 정중부로의 중배엽의 침투 실패, 하악돌기의 유합부전 그리고 외부 요인들이 논의되고 있다. 치료방법 및 시기에 관해서는 임상소견이 다양하고 증례가 드물기 때문에 많은 논란이 있어왔다. 그러나 현재의 경향은 연조직 기형은 연하 및 발음의 기능적 장애를 예방하기 위하여 가능한 조기에 치료하며, 악골고정을 위한 강선 결찰 혹은 골이식술은 사춘기 후로 미루는 추세이다. 본 교실에서는 저작 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8세 여자 환자의 임상소견에서 하악골 정중열과 하순의 수술로 인한 반흔조직 및 하순에서부터 치조골을 가로지르는 섬유성 소대 등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하악의 정중열을 장골 이식을 이용 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추후 하순과 순. 설측 전정의 연조직 기형은 심미성과 기능 향상을 위해 부가적인 술식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비스포스포네이트 관련 악골괴사환자의 혈청 C-terminal cross linking telopeptide 수치에 따른 위험도 평가와 질환의 심도 및 조기 수술 후 치유 사이의 상관관계 (Clinical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C-terminal cross-linking telopeptide of type I collagen and risk assessment, severity of disease, healing after early surgical intervention in patients with bisphophonate-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s)

  • 송진우;김기현;송재민;전병도;김용덕;김욱규;신상훈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7권1호
    • /
    • pp.1-8
    • /
    • 2011
  • Introduction: The utility of the C-terminal cross-linking telopeptide test (CTX) as a method for staging Bisphosphonate-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s (BRONJ) and its healing process was examined.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19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BRONJ underwent a fasted morning CTX test,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serum CTX values ranged from 50 to 630 pg/mL (mean 60). The risk assessment was rated according to the CTX values of the individual patient (minimal risk, ${\geq}$ 150 pg/mL, moderate, 100 to 150 pg/mL, high, ${\leq}$100 pg/mL). The BRONJ scores were then calcul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BRONJ lesions and their stage. The operation was done as soon as possible, regardless of BORNJ stage. Results: The mean duration of bisphosphonate therapy was 4.1 years. Of the 19 patients, 15, 2 ans 2 received alendronate, risedronate and zoledronate, respecively. Of the 19 patients who underwent a sequestrectomy, saucerization and smoothing, 15 healed after the initial surgery, 1 patient healed after one more surgical procedure, 3 patients did not heal completely but showed improvement in symptoms. Therefore, 17 out of the 19 patients healed completely with complete mucosal coverage and the elimination of pain. The risk assessment using the CTX value and disease severity were not correlated (r=-0.264, P=0.275). In addition, the risk assessment using CTX value and healing after surgery were not correlated (r=-0.147, P=0.547). Conclusion: The serum CTX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by clinicians as part of overall management. Early surgical intervention is of benefit in the treatment of stage II BRONJ.

일부지역 노인복지관 노인들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사회적 효능감 및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cial Efficacy of Senior Citizens in Welfare Centers in Some Areas according to Their Subjective Oral Health and Their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 박홍련;구인영;문선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000-1009
    • /
    • 2014
  • 본 연구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인 구강건강상태와 주관적인 구강건강상태인식에 따른 사회적 효능감과 삶의 질,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을 알아보고자, 2013년 1월 9일부터 2013년 6월 5일까지 대구광역시 7개의 구에 있는 6개의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582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성별은 치통과 구강건조증, 연령층별은 구강건강상태, 음식저작 장애, 치주문제, 구강건조증, 최종학력에서는 구강건강상태, 음식저작 장애, 치통, 치주문제, 동거가족 수에서는 음식저작 장애, 치통, 치주문제, 구강건조증, 구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사회적 효능감 항목에서 '나의 구강은 건강하지 않다'가 3.11점이었고, '나는 턱에서 소리가 나거나 아프다'가 1.99점이었다. 구강건강상태 인식에 따른 사회적 효능감에서 건강은 2.05점, 삶의 질에서 건강은 3.41점이었다.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점수에서 건강의 경우 기능적 제한은 2.13점, 신체적 동통은 2.53점, 심리적 불편은 2.17점, 신체적 제한은 2.31점, 심리적 능력저하는 2.06점, 사회적 능력저하는 1.81점, 사회적 불리는 1.99점이었다. 노인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지속적인 구강보건교육의 기회제공과 예방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하여 구강건강이 진행되지 않도록 적극적인 방안모색이 충분히 고려될 때 노인의 구강건강 뿐만 아니라 삶의 질까지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