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panese values

검색결과 387건 처리시간 0.032초

일제강점기 조선통감부 건축재료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평가 (Evalu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y for Building Materials from the Japanese Ministry of General Affairs in Joseon Dynasty)

  • 박석태;이정은;이찬희
    • 자원환경지질
    • /
    • 제55권4호
    • /
    • pp.317-338
    • /
    • 2022
  • 근대건축으로 알려진 조선통감부 자리의 콘크리트와 토관 및 벽돌을 대상으로 3시기로 세분하여 물리화학적 특성과 평가를 검토하였다. 콘크리트는 모두 비슷한 가비중과 흡수율을 보였으며 다량의 골재와 석영, 장석, 방해석 및 포틀란다이트가 검출되었다. 벽돌의 공극률은 1907년의 것이 1910년 및 1950년 벽돌보다 높았다. 토관도 유사하나 초기의 것이 보다 치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벽돌과 토관은 암적색에서 암갈색을 띠며 많은 균열과 기공이 관찰되나, 상대적으로 토관의 기질이 균질하다. 벽돌에서는 석영, 장석 및 적철석이 검출되었으며, 토관에서는 석영 및 장석과 뮬라이트가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모두 1,000~1,100℃의 소성온도를 거친 것으로 해석된다. 콘크리트는 유사한 CaO 함량을 보이나, 벽돌과 토관은 1907년 시료에서 SiO2는 낮고 Al2O3가 높다. 그러나 이들은 유사한 지구화학적 거동특성을 갖는 등 성인적 동질성이 높다. 콘크리트 기초의 초음파속도와 반발경도는 잔존상태에 따라 다르나 물성은 다소 낮았다. 이를 일축압축강도로 환산하면 1차 증축구역이 평균 45.30 및 46.33 kgf/cm2로 가장 높고, 2차 증축구역이 가장 낮은 평균치(20.05 및 24.76 kgf/cm2)를 보였다. 특히 CaO 함량과 흡수율이 작을수록 초음파속도와 반발경도가 높았다. 조선통감부 건축에 활용한 콘크리트는 시기별로 비슷한 배합특성과 비교적 일정한 규격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벽돌과 토관은 거의 동일한 점토질 원료를 사용하여 유사한 제작과정을 거친 것으로 해석된다.

한국인(韓國人)의 각장기조직중(各臟器組織中)의 미량중금속(微量重金屬) 원소분포(元素分布) : 연(鉛) 카드뮴 및 동(銅)의 함량(含量) (A Study on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in Normal Korean Tissues: Lead, Cadmium and Copper Contents)

  • 장성길;문병열;정규철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5권1호
    • /
    • pp.95-110
    • /
    • 1982
  •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on to identify the quantities of heavy metals contained in the tissues of the Korean people, a series of analyses was conducted with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to measure the amount of lead, cadmium and copper distributed in various tissues, such as brain, liver, kidney, heart, lung, spleen, large intestine, hair, muscle, fat, stomach, costal cartilage, blood and urine, obtained from 30 cadaverous bodies who were believed not exposed to the said heavy metals during their life time either occupationally or therapeutically. 1. Lead content: Inter-individual difference was noted in lead contents in each tissue, vis., the average content of lead in hair was the highest with $14.90{\pm}9.74ppm$. The next was in costal cartilage that contained $5.56{\pm}3.86ppm$. The average contents of lead in liver, kidney and muscle were the lowest in value, showing $1.11{\pm}0.92ppm,\;0.73{\pm}0.48ppm\;and\;0.06{\pm}0.06ppm$, respectively, The lead contents in tissues of children under the age of 10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adults, and the higher values were shown in males than in females in general. The lead contents in most of the tissues such as hair, costal cartilage, kidney, lung, fat, stomach, large intestine, heart, muscle and urine were well correlated with age. 2. Cadmium content: The average content of cadmium in kidney appeared to be the highest of other tissues showing $20.72{\pm}9.82ppm$, and liver came next with the value of $1.17{\pm}0.99ppm$. It was estimated that 83.9% of the total cadmium absorbed into the body was stored in kidney, 4.796 in liver, and the remaining 11.4% was distributed in the rest of the tissues. Cadmium contents in tissues showed difference between both sexes showing higher values in the females than in the males, which was quite contrary to the lead content. Cadmium contents in tissues steadily increased in amount with age, showing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ge in all tissues. 3. Copper content: The average content of copper in hair was the highest with $10.36{\pm}2.21ppm$, and liver came next with $6.31{\pm}1.24ppm$. The copper that was absorbed into the body was distributed in each tissue: 29.9% in hair, 18.2% in liver, $5{\sim}11.0%$ in brain, heart and kidney, and $3.0{\sim}3.5%$ in stomach, blood, and lung. The copper contents in tissues of children under the age of 10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in liver, kidney, heart and large intestine than those of the adults. The copper contents in brain, costal cartilage and fat were well correlated with age showing the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 of 0.870 (p<0.01) in brain tissue.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pper contents in tissues between both sexes, and the values were, in general, lower than those for Japanese.

  • PDF

동아시아 4개국 학생들의 핵에너지에 대한 인식 비교: 과학캠프에 참가한 한국, 일본, 대만, 싱가포르 10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Comparison of Perception Differences About Nuclear Energy in 4 East Asian Country Students: Aiming at $10^{th}$ Grad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cientific Camps, from Four East Asian Countries: Korea, Japan, Taiwan, and Singapore)

  • 이형재;박상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75-788
    • /
    • 2012
  • 이 연구는 일본 Nara Woman's University Secondary School에서 이루어졌던 과학캠프에 참가한 동아시아 4개국(한국, 일본, 대만, 싱가포르) 10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것이다. 한국 학생 12명, 일본 학생 46명, 대만 학생 9명, 싱가포르학생 10명으로 전체 77명에 대하여 핵에너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핵에너지에 대한 인식의 전체 평균 비교 결과 한국, 대만, 싱가포르, 일본 학생들 순으로 나타났다. 일본과 동아시아 3개국(한국, 대만, 싱가포르) 학생들 간 핵에너지에 대한 인식의 t 검증 비교 결과 동아시아 3개국 학생들이 일본 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다(p<.05). 핵에너지에 대한 인식의 하위 영역별로 평균 비교 결과 기술성 영역에서는 한국, 일본, 대만, 싱가포르 학생들 순으로 나타났고, 동아시아 3개국 학생들과 일본 학생들과의 기술성 영역의 t 검증 비교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p>.05). 관리성 영역의 평균 비교에서는 한국, 대만, 싱가포르, 일본 학생들 순으로 나타났으며, 동아시아 3개국 학생들과 일본 학생들 간 t 검증 비교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유용성 영역의 평균 비교 결과 한국, 대만, 싱가포르, 일본 학생들 순으로 나타났으며, 동아시아 3개국 학생들과 일본 학생들 간 t 검증 비교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안전성 영역의 평균 비교 결과 한국, 대만, 일본, 싱가포르 학생들 순으로 나타났으며, 동아시아 3개국 학생들과 일본 학생들 간 비교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과학 캠프에 참가한 동아시아 4개국 가운데 한국 학생들의 핵에너지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하위 모든 영역에서도 높게 나타났다. 이는 그동안 정부에서 원자력사업자와는 별도로 원자력홍보전문기관을 설립하여 원자력 발전에 대해 과학적, 객관적 정보를 가지고 활발하게 계몽 및 홍보활동(원자력문화 활동)을 펼쳤고, 학생들이 이에 대한 홍보를 많이 접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우리나라보다 12년 앞서 원자력발전을 시작한 일본의 경우 원자력홍보전문기관인 일본원자력문화진흥재단의 원자력문화 활동을 학생들과 성인 등을 대상으로 계몽 및 홍보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과학캠프에 참가한 동아시아 4개국 중 가장 많은 원자력 발전소를 보유하고 운영을 하고 있으나 지진해일(쓰나미)로 인한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방사능 누출에 따른 피해와 우려로 인하여 일본 학생들의 핵에너지에 대한 인식이 낮게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원자력 관련 기술이나 시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관리된다는 정보보다는 체르노빌 원전 사고와 같은 대재난이나 중대한 사고들에 대한 정보가 대중의 위험인식에 더 큰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대형 사고들은 그 빈도가 매우 낮지만 한 번의 사고만으로도 해당 기술에는 비정상적인 위험이 존재한다는 강한 신호(signal)를 만들어내고, 이러한 신호는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이미지와 인식을 고착시켜 최종적으로는 원자력 관련 기술에 대한 낙인화(stigmatize)를 초래하기도 한다는 연구결과를 지지하였다. 이를 통해 원전의 안전관리를 최우선으로 하는 국가의 정책전환이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으며, 한번 형성된 인식이나 결정은 계속 보강, 유지되어 교정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Microsatellite을 이용한 서해, 남해 및 동해 멸치 계군 분석 (The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of the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us Temminck & Schlegel) in the West, South and East Seas of Korea Based on Microsatellite DNA Analysis)

  • 오택윤;김주일;서영일;조은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4-178
    • /
    • 2009
  • 본 연구는 2006년 8월경에 어획된 서해, 남해 및 동해 멸치집단을 분석하기 위하여 6종류의 microsatellite로 하였다. 서해멸치의 경우, 샘플수 72마리에 대한 allele 범위가 19-41로 평균 28.5를 보였다. 특히 EJ9 locus에서 평균보다 약 1.4배 많은 41를 나타내었다. 남해멸치의 평균 allele는 24.5로 서해보다는 적었고, EJ2, EJ9, EJ27.1 loci는 평균보다 높은 29-37의 범위를 보였다. 동해멸치는 평균 allele가 25.0으로 EJ35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loci에서 평균 이상을 보였다. 그러나 서해, 남해 및 동해멸치의 allele 빈도율은 대부분 0.24 이하로 나타났다. 또한 Hobs보다 Hexp에서 0.5 정도 높은 값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p>0.05). 유전적 다양성도 0.9 이상으로 매우 높은 값을 보였다. 6종류의 microsatellite에 대한 지역간의 유전적 차이 및 거리는 0.258과 0.019로 유의적으로 차이는 없었다 (p>0.05). 따라서 서해, 남해 및 동해 멸치계군은 유전적으로 동일한 집단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동네예보와 생물계절모형을 이용한 봄꽃개화일 예측 (Prediction of Blooming Dates of Spring Flowers by Using Digital Temperature Forecasts and Phenology Models)

  • 김진희;이은정;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0-49
    • /
    • 2013
  • 기상청에서 시민들에게 제공하는 봄꽃 개화일 예보서비스는 한 지점에서 장기간 수집된 기후자료와 개화일 관측자료로부터 얻은 회귀식에 의존하므로 매일의 기온변화에 따른 수정작업이 어렵고, 과거에 관측되지 않았던 기후변이에 대한 반응을 반영하지 못하며, 기상관서 이외의 지역에 대한 개화일 예보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일별 기온자료만으로 구동되는 생물계절모형을 현업서비스용으로 전환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남한지역 29개 기상대로부터 1951-1980 기간의 개나리, 진달래, 벚꽃 관측 표준목의 발아일과 개화일 관측자료 및 기온자료를 수집하여 생물계절모형의 최적모수(기준온도, 저온요구도, 고온요구도)를 추정하고 이를 반영한 개화예측모형을 작성하였다. 생물계절관측의 불확실성을 지역별 오차보정 분포도로 표현하여 생물계절모형과 결합함으로써 봄꽃 3종의 개화일 예측방법을 확립하였다. 이 방법에 의해 1971-2012 기간의 29개 지점 봄꽃 개화일을 예측한 다음 실측 개화자료와 비교한 결과 벚꽃의 경우 RMSE가 2~3일로서 실용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음식물쓰레기의 자원화를 위한 배출업종별 성상 및 특성의 비교분석 (Comparison and Analysis on Characteristics for recycling of Multifarious Food Waste)

  • 주흥수;류재영;배재근
    • 유기물자원화
    • /
    • 제9권4호
    • /
    • pp.117-124
    • /
    • 2001
  • 본 연구는 각 업종별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다양한 성상 및 그 특성을 분석하여 검토함으로서 그 특성에 맞는 적절한 처리방안과 설계단계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전체적으로 업종별로 성상이 차이가 있었고, 일식업소가 다른 업소에 비교하여 많은 차이를 보였다. 조성면에서는 채소류가 가장 많이 차지하였고 또한 계절에 따라 채소류의 함량은 차이가 많았다 이물질은 조개껍질류가 가장 많았으며, 요식업소에서 배출되는 이물질 비율이 공동주택에서 보다 높아 사전분리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염분은 일식업소에서 가장 높았고, 대부분의 업소에서는 1% 전후로 자원화에 바람직하지 않지만, 전단계에서 세척공정을 둔다면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사료성분은 조섬유가 28%, 조단백질이 25%, 조지방이 11%로 나타났다. 유해균 및 중금속에 대한 분석도 동시에 실시하였으나, 병원성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고, 각종 유해물질은 규제농도이하 값을 보였다. 각종 성상의 분석결과, 자원화에 있어서 계절요인과 요식업소와 공동주택의 수거비율을 설계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며, 공동주택은 부패 등의 문제로 인하여 사료화보다는 퇴비화가 적합하고, 요식업소중 중식, 분식, 집단급식업소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는 사료화가 유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벌꿀 발효주의 청징과 숙성 (Clarification and Aging of Fermented Honey Wine)

  • 김동한;임종환;정순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330-1336
    • /
    • 1999
  • 맑고 풍미 있는 벌꿀주 생산을 위하여 벌꿀주의 청징조건과 숙성조건을 조사하였다. 벌꿀주의 청징은 kaki shibu와 sake light를 $0.05{\sim}0.1%$ 첨가하여 실온에서 2일 간 처리하여 광투과도 90% 이상인 맑은 벌꿀주를 얻어졌으나, 벌꿀 과실주는 감귤주의 경우 sake light 0.5%, 매실주는 kaki shibu $0.05{\sim}0.1%$를 첨가하여 4일간 처리할 때 양호하였다. 벌꿀 과실주를 미세여과하여 광투과도 98% 이상의 맑은 제품을 얻을 수 있었으나. 청징제 처리에 의하여 벌꿀주의 Hunter-L값은 저하 하였다. 발효시 가용성 고형분 함량이 높을수록 벌꿀주의 acetaldehyde와 n-propyl alcohol, n-butyl alcohol, iso-amyl alcohol함량은 증가하였으나 iso-propyl alcohol함량은 감소 하였다. 벌꿀주는 숙성으로 acetaldehyde와 fusel oil함량이 감소하여 관능적으로 부드러워졌다. 벌꿀주는 20여개의 휘발성 향기성분 중 l-phenyl ethyl alcohol, benzyl alcohol, 2-phenyl ethylalcohol, octacosane, triacotane이 주성분을 이루었다. 벌꿀 매실주는 관능적으로 맛, 색, 항기,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모두 벌꿀 감귤주에 비하여 양호 하였으며, 벌꿀 감귤주는 벌꿀주 보다도 기호도가 낮았다.

  • PDF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팽나무(Celtis sinensis Persoon)의 최적 변색제거조건 결정 (Optimization of Bleaching Conditions for Stain Removal in Japanese Hackberry (Celtis sinensis Persoon)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성환;나종범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3호
    • /
    • pp.191-198
    • /
    • 2010
  • 본 연구는 과산화수소를 사용하여 팽나무에 발생된 변색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최적표백조건(반응온도, 반응시간, 과산화수소 농도)을 구하기 위하여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 중의 하나인 $2^3$ 요인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총 15가지 실험조건들이 선정되었다. 표백처리는 침지법에 의해서 수행되었으며 표백효과는 표백 전후의 명도차에 의해 평가되었다. 반응조건들이 명도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반응표면 분석모델을 구축할 수 있었으며, 반응표면분석모델의 $R^2$ 값은 0.93으로 반응조건이 표백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표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과산화수소 농도였으며, 그 다음으로 반응시간과 반응온도의 순이었다. 과산화수소 농도가 3% 이상의 경우 표백효과가 다소 감소하며 $20^{\circ}C$에서는 원하는 표백효과를 획득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축된 반응표면분석모델을 통하여 원하는 재색을 획득하 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반응조건의 조합이 제시될 수 있었다.

삼나무 인공조림(人工造林) 임분(林分)의 식생(植生)에 관한 연구(研究) (The Study of Forest Vegetation in Cryptomeria japonica D. Don Plantations)

  • 이정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9권1호
    • /
    • pp.42-50
    • /
    • 1985
  • 한국남부지역(韓國南部地域)에서 조림(造林)되고 있는 삼나무의 조림적지(造林適地)의 판정(判定) 및 시업방법(施業方法)의 개선(改善)에 필요(必要)한 기초(基礎)를 얻고자 삼나무 임분(林分)의 식생(植生)을 조사분석(調査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조사지역(調査地域) 및 임분(林分)의 환경조건(環境條件)은 일본추전현지역(日本秋田縣地域)에 비교(比較)하면 21~25년생(年生) 임분(林分)은 동등(同等)하였으나 51~58년생(年生) 임분(林分)은 불량(不良)한 생육상태(生育狀態)이었다. 2) 총출현종수(總出現種數)는 256종(種)이었고, 조성종수(組成種數)는 42~99종(種)으로 일본(日本)에서 보다 많은 편(便)이나 상한수(上限數)는 같았다. 3) 온대남부(温帶南部) 및 난대북부림대(暖帶北部林帶)에 속(屬)하며 표(表) 4 와 같이 I~IV 급(級)의 임상형(林床型)으로 구분(區分)하였다. 4) 최대종다양도(最大種多樣度)(H' max)와 우점도(優占度)(1-J')는 높았고 Simpson 종다양도(種多樣度)(${\lambda}$)와 균재도(均在度)(J')는 낮은 비교적(比較的) 균일(均一)한 식생(植生)이었다. 5) 유사율(類似率)(PS)은 평균(平均) 3.904 이하(以下)로 낮은 유사성(類似性) 즉 지구간(地區間)에는 특이성(特異性)이 있다. 6) Morista's 지표(指標)($I_M$)에 의(依)하면 8번 구(區)는 일반화(一般化)되어 있고 12번 구(區)는 특성화(特性化)되어 있다. 7) Sneath-Sokal의 근원계수(近遠係數)(I)에 의(依)하면 0.15 이하(以下)의 낮은 비유사계수(非類似係數) 즉 각구간(各區間)의 유사성(類似性)이 매우 높았다.

  • PDF

우리나라의 유해물질 분류체계 및 관리방안 (Research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Hazardous Substances in Korea)

  • 김광종;최재욱;김현욱;이은영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25-155
    • /
    • 1999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an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hazardous substances, (2) a comparative analysis of classification system of hazardous substances between Korea and other countries, (3) a development of the new classification system in Korea, finally a review of prerequisites for effective enforcement of the new syste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backbone of classification system of hazardous substances in Korea is based on Japanese classification system and EC(European Committee) guideline of hazardous substance. There are many problems in managing and handling of hazardous substances due to discordant of Japanese and EC system. It is desirable to revise the classification system to be harmonized with international guideline for example, guideline of IFCS(The Inter-governmental Forum on Chemical Safety) and EC guideline. 2) There are several problems in definitions of corrosive, sensitizing and irritation in MSDS Code of Ministry of Labour. It is desirable to reform those definitions. 3) Among the hazardous substances under the current system, there are several substances such as, beta-propiolactone, methyl bromide, ethyleneimine, etc that are not used and produced in Korea. It is desirable to exclude the substances from the list of controlled substances. 4) The section 39, about 'substance that designated to attach warning label' in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OSHAct) should be eliminated, because above section is unnecessary under the MSDS system. 5) The researchers recommend to establish a new list of hazardous substance which are controlled by OSHAct. It is desirable that the new list is consist of two types. The first type is 'a list of the specially controlled substances' and the other is 'the generally controlled substances'. 6) It is recommended that the specially controlled substances should include hazardous substances that are highly toxic and widely used in Korea. And the generally controlled substances should include hazardous substances that can be analysed by instrument and carry threshold. limit values(TLV'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