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panese restaurants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34초

일본의 가금산업 -역사와 현실- (Introduction of the Poultry Industry in Japan -History and Present-)

  • Okumura, J.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81-84
    • /
    • 1999
  • Chicken has been one of the most useful animals for life. They have been not only one of the most economical and adundant sources of valuable nutrients, but also the very good experimental animal to develop modern sciences. In Japan, eggs laid by the chickens have long been good sources of cash income for farmers and in many cases even for Samurais. Although nearly 50 millions of chickens were raised and they were of considerable importance in Japanese agricultre before the World War II, the industrialization or specializatin started after the War, Substantiallysince the 1960s. Among other spcies of poultry then chickens, ducks and Japanese quails are of some importane in Japan. Duck meat is often used in various cuisines at higher class restaurants and Japanese quail eggs are widely used. Hower those those species of commpared with chickens.

  • PDF

대구·경북지역 대형음식점 업종별 현장실사를 통한 위생관리실태 분석 (Analysis of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s through Field Assessment of Large Restaurants by Restaurant Style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 박유화;이연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944-95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대형 음식점의 위생관리 현황을 현장실사하고 업종별 가장 시급하게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어떤 것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대구${\cdot}$경북지역의 100평 이상인 한식, 양식, 중식, 일식, 뷔페 총 200개소를 직접 방문하여 위생관리실태를 실사하였다. 일반사항에 따른 위생관리 연구 결과, 조리종사원 수가 증가할수록 '창고 및 후생시설위생', '조리용기기${\cdot}$기구위생', '식품취급 및 작업위생', '조리종사원 개인위생'의 영역에 있어서 위생관리가 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리장 면적이 넓을수록 '조리장 위생', '조리용기기${\cdot}$기구위생', '식품취급 및 작업위생', '조리종사원 개인위생'의 영역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주방 공개형 업소가 비공개형 업소에 비해 '조리장 위생' 영역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업종별 위생관리실태 조사결과 거의 모든 음식점이 '식당위생관리'와 '조리용수${\cdot}$음용수위생관리'는 우수한 반면, '작업위생관리'에 있어서는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식${\cdot}$중식${\cdot}$일식 음식점의 경우 창고 및 후생시설위생 관리가 특히 미흡하였고, 양식${\cdot}$뷔페업소의 경우 조리용기기${\cdot}$기구위생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작업위생관리 중에서는 특히 식재료의 소독과 온도측정이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으며, 소독과 온도측정의 작업을 확인하기 위한 기록작업 역시 행해지지 않았다. 이상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음식점의 위생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가능한 조리장을 개방하며, 면적을 넓게 하고, 조리용기기나 기구의 위생관리를 보다 철저히 하며, 음식의 내부 온도측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업종별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업주대상교육과 위생교육 책자나 매체를 개발하여 조리종사자 대상으로 지속적으로 교육과 훈련을 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활용한 일식 레스토랑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odservice Quality of Japanese Restaurants us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 손정민;김학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99-213
    • /
    • 2014
  • 일식 레스토랑 경영자는 급변하고 경쟁적인 환경속에서 전략적 경쟁우위를 선점하기 위해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위협속에서 브랜드 마케팅, 확장, 그리고 파트너쉽 등이 경영전략으로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일식레스토랑 고객들의 관점에서 서비스 품질 속성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파악하여 차별화된 경쟁우위를 지속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자기기입식 설문지 230부를 배포하여 205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전체 20 항목에 대한 Cronbarch's 알파값은 0.911으로 나왔으며 중요도 항목에서 0.887(음식), 0.796(메뉴), 0.851(종사원), 0.815(서비스), and 0.730(물리적 환경)으로 내적일관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만족도 항목에서도 Cronbarch's 알파값은 0.876(음식), 0.860(메뉴), 0.880(종사원), 0.851(서비스), 0.730(물리적 환경)으로 내적 일관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탐색적 요인분석은 20항목과 5개의 요인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해 주었다. 전반적으로 일식레스토랑에 대한 중요도는 만족도보다 높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특히 IPA 분석 결과 음식과 서비스 요인은 1사분면에 위치하여 중요도에 비해 고객 만족도 역시 좋음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서비스 요인은 2사분면에 위치함으로서 고객이 중요하게 여기지만 그 만족도가 높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는 일식레스토랑은 2사분면에 위치한 서비스항목에 더욱 집중하여 고객만족도를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메뉴와 물리적 환경요인은 3사분면에 위치해 중요도와 만족도 모두 낮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IPA 분석은 일식레스토랑 경영자에게 그들의 강점과 약점을 보여주고 있으며 전략적으로 자신의 서비스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좋은 도구임을 입증해주었다.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일본소비자 한식 소비행동 및 시장세분화 연구 - 방한 일본관광객을 대상으로 - (Study on Japanese Consumers' Korean Food Consumption Behaviors and Market Segmentation Based on Food-related Lifestyle - Focusing on Inbound Japanese Tourists -)

  • 김경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14-620
    • /
    • 2011
  •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Korean food consumption behaviors between groups of Japanese consumers segmented in accordance to their food-related lifestyl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Korean food service companies basic information to implement a strategy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food-related lifestyles of Japanese consumers were deduced to the following four factors: "health and safetyoriented lifestyle", "palate and safety-oriented lifestyle", "economic efficiency-oriented lifestyle", and "simplicity-oriented lifestyle". Further, as a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food-related lifestyle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hree groups: "a group highly interested in food-related life", "an economic efficiency-oriented group", and "a simplicity-oriented group".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ood consumption behaviors between the groups. Third, also in a comparison of satisfaction with and loyalty to Korean restaurants with crucial attributes during the selection of Korean foo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Korean food products that will cater to Japanese consumers in accordance with each segmented group.

서울지역 음식점 주방 및 식당의 청결도 평가 (Evaluation for Cleanness of Kitchen and Hall of Restaurants in Seoul)

  • 이애랑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97-405
    • /
    • 2003
  • 서울특별시 25개 자치구에서 추천한 모범음식점 546개소 중 업태별로 한식(292개소), 중식(46개소), 일식(114개소), 양식(94개소) 음식점의 식당 및 주방의 청결도를 영양사 실무 경력 5년 이상인 현직 영양사가 직접 방문 평가하였다. 평가 항목 및 지표는 주방 영역이 6개 (주방의 공개 여부, 주방내부설비, 살균$.$소독, 종업원의 작업환경, 급 배수설비, 식기 및 조리기기 보관상태), 식품 취급영역 이 3개(식재료 보관상태, 식자재 창고 유지상태, 불량부정식품 사용 여부), 조리원 위생영역이 1개, 음식폐기물 처리영역이 2개(남은 음식 폐기 또는 재사용 여부, 음식폐기물 위생적 폐기정도)와 식당의 청결상태 영역 2개(식당 내부청결, 식당 집기 청결 등)로 총 14지표를 조사하였다. 1. 음식점 유형별 청결도의 결과를 보면 한식당의 청결도 14개 지표 총점은 20.65점(지표 평균 1.48 점), 중식당은 20.67점(지표평균 1.48점), 일식당은 20.75점(지표평균 1.48점), 양식당은 21.84점 (지표평균1.56점)이었다. 한식당. 중식당과 일식당의 청결도는 지표평균으로 환산하면 ‘보통’수준이었고 양식당이 이들 보다 약간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양식당이 모든 평가지표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중식당은 식기 및 조리기구의 보관 상태를 제외한 모든 지표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한식당은 급수 및 배수설비 상태에서, 일식당은 급수 및 배수설비 상태와 식기 및 조리기구의 보관 상태에서 낮은 점수이었다. 2. 식품 취급은 냉장$.$냉동보관온도 유지(지표7)는 음식점별로 유의성은 없었으나, 식재료 창고의 유지상태(지표 8)와 불량부정식품 사용여부는 양식당과 중식당이 한식당이나 일식당보다 유의적으로 우수하였다. 3. 조리원의 위생상태는 한식당, 중식당, 일식당은 서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음식점 유형별 남은 반찬의 폐기 여부는 우수하였으며, 음식폐기물 처리상태에 대한 결과는 양식당과 중식당이 높았고, 한식당과 일식당은 1.56으로 유의적으로 낮았다. 5. 음식점 식당내부 청결상태 평가는 한식당이 중식당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일식당이나 양식당보다는 유의적으로 낮았다. 6. 음식점 유형별 청결도에 대한 종합평가에 미치는 지표별 영향은 한식당의 경우지표 2, 12, 14, 7로, 중식당은 지표 4, 12, 2로, 일식당은 지표 4,10, 2, 7로 나타났다. 음식점 전체로 보면, 주된 지표는 4(72.6%), 11(11.4%), 6(5.3%), 13(3.4%)으로서 이들 4개 지표로서 전체의 927%를 설명할 수 있다. 7. 자치구별 평가는 모든 음식점에서 식재료 보관시설(냉장, 냉동), 불량부정식품 사용여부, 남은 반찬의 폐기, 식당상태 등에서는 비교적 양호하였으나, 주방의 청결상태, 식재료 창고의 관리 및 주방 근무직원의 위생상태는 열악하였다. 평가 지표 14개의 총 평가결과가 가장 우수한 자치구는 동작구였으며, 다음으로 서대문구, 금천구, 성동구, 마포구의 순서이었다. 나머지 20개 자치구는 모두 보통이상으로 평가되었다. 8. 음식점 업태 별로 주방과 식당의 청결도 평가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주방의 내부설비(바닥, 벽면, 천장, 환풍기, 기구 등) 또는 주방종업원의 근무 환경(주방의 환기설비, 설치 및 쾌적한 환경상태유지)이었다. 그러나 음식점 유형에 관계없이 주방과 식당의 청결도 평가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인자는 주방종업원의 근무환경이었다. 우리나라의 2002년도 섭취장소별 식중독 발생현황)을 보면 총 발생건수 78건 중 29건(37.2%)이 음식점에서, 16건(20.5%)이 집단급식소에서 발생되어 음식점의 개인위생을 포함하여 청결도에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한식당, 일식당 및 중식당의 경우 주방의 환기시설과 근무환경 개선이 시급히 요구된다. 또한 음식점을 대상으로 시설 위생, 개인 위생 및 식자재 위생관리를 위해서는 정기적인 위생교육과 체계적인 음식점 관리가 제도적으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창원시 식품접객업소의 위생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Sanitary Status at Various Types of Restaurants in Changwon City)

  • 이경혜;류은순;이경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47-759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창원시에 소재하고 있는 264개 식품접객업소의 위생실태를 조사하였으며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조리책임자)들은 40대가 가장 많았고, 여성이 70.1%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학력을 보면 63.7%가 고졸이었으며, 업종에 있어 경양식 업종이 다른 업종에 비해 연령층이 낮고 학력이 높았다. 위생교육은 전체 업소의 66.5%가 종업원에 대한 위생교육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인 업종은 한식 업종(83.1%)이며 가장 낮은 비율을 보이는 업종은 경양식 업종(55.6%)이었다. 종업원의 96.6%가 더러운 것을 만진 후에 손을 씻었으며 돈을 만진 후에는 77.5%가, 전화 사용 후에는 51.7%가 손을 씻고 있었다. 또한 58.5%는 주방 내에서 전용신발을 착용하며, 55.4%는 위생복을 착용하지만 모자를 착용하는 비율은 10.6%밖에 되지 않았고, 악세사리의 착용에서 반지는 13.6%, 팔찌는 8.5%, 시계는 14.3%가 착용하고 있었다. 위생점검표는 24.2%만이 보유하고 있었다. 도마는 전체적으로 일주일에 1회 소독이 74.8%로 조사되었다. 경양식 업종은 55.4%로 다른 업종보다 낮게 나타났다(p<0.01). 칼은 조사대상 업소의 71.6%가 매일 소독하고 있었으나 경양식 업종은 59.4%로 낮게 나타났다(p<0.01). 행주는 조사대상 업소의 92.7%가 매일 소독을 수행하고 있으나 경양식 업종이 81.5%로 다른 업소보다 낮게 나타났다(p<0.01). 조사대상 업소의 81.8%는 정기적인 방충 방서 작업을 시행하였고 쓰레기통의 조리실과 옥외용의 분리는 조사업소의 83.1%가 분리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작업종료 후 작업장 바닥의 청소에서 97.3%는 세제를 이용하여 세척하고 있으나 소독은 68.2%만이 실시하고 있어 소독 수행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식품접객업소의 93.3%는 조리된 음식과 조리되지 않은 음식을 분리해서 보관하고 있었다. 한번 해동시킨 식품을 다시 냉동하여 사용하는 업소의 비율도 49.8%로 조사되었다. 19.4%는 배식 후 남은 음식을 다시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냉동식품을 해동시킬 때는 식중독의 위험이 높은 실온에서 9.4%가 해동시켰으며, 특히 갈비 업종의 경우 66.7%가 실온에서 해동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식품접객업소의 종업원에 대한 위생교육 실시가 낮으므로 정부에서는 이들이 종업원에게 위생교육을 전체적으로,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방안에 대한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하여야 하겠다. 위생교육 내용에서도 식당시설, 기기 등 취급시의 손세척 실시와 도마소독, 작업장 바닥 소독이 미비하므로 소독의 중요성과 소독방법에 대해서도 강조하여야 하겠다. 식품 취급시 조리된 음식에 대한 온도관리가 미비하고 해동시의 온도관리가 제대로 시행되지 않았고 특히, 위생에서 온도-시간관리의 개념이 매우 부족하므로 식품 접객업소의 경영주와 종업원을 대상으로 이러한 측면에 대한 정기적인 위생 교육이 실시되어야 하겠다.

  • PDF

래더링 기법을 통한 한식당 이용 외국인의 추구 가치 분석 (Hierarchical Value Map of the Korean Restaurant Experience of Foreigners - An Application of the Laddering Technique -)

  • 양일선;차성미;신서영;백승희;이해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87-695
    • /
    • 2009
  •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offer more insights into the foreign consumers' consumption decision structure of Korean restaurants located in foreign countries. A survey was designed based on the means-end chain theory, using the laddering interview technique. The qualitative data obtained from 10 Americans, 10 Japanese, and 10 Chinese were content analyzed and resulted in categories such as 'new experience', 'interest in Korea', 'recommendation', 'good food', 'easy to access', 'service', 'dining environment', and 'price' as perceived attributes of choice. The hierarchical value maps linking attributes, psychological consequences, and terminal values were presented. The most frequent consequences were 'experience new culture', 'be exposed to new experience', and 'learn more about Korea' which were related to 'happiness', 'pleasure', 'good relationship', 'desire fulfillment', and 'self-satisfaction' as personal values. Laddering interviews, which required laborious analysis, provided important inform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ttributes and the reasons for choosing Korean restaurants.

외국음식에 대한 대학생들의 태도 및 관심도 분석 (University students' attitudes and interests for ethnic food)

  • 김혜영;이해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63-47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university students' attitudes and interests for ethnic food. The questionnaire developed was distributed to 60 students majoring in food & nutrition and 260 students taking a liberal course related with food culture in world. A total of 271 questionnaires were usable ; resulting in 84.7% response rate. Among 12 kinds of ethnic food, a large number of students had an experience in Japanese, Chinese, American and Italian food. Also Chinese, American, Japanese and Italian food were familiar with them, but the hope to eat for French, Spanish, Mexican and German food was too strong. Students knew kinds, characteristics, table manners and etc. for Japanese, Chinese, and American food very well and wanted to know the information about French food. as result of positioning for ethnic food by correspondence analysis, Spanish, English, French, Germany and Mexican food had a strong image in want to eat, wanted to know information about food and got a good feeling. Students perceived Vietnamese, Thai and Indian food as having an experience, Japanese, American and Italian food as well-know about food or restaurants, and Chinese food as being familiar. The findings would indicate trends for ethnic foods and their cultures in Korea and forecast the possibility of change in foodservice market.

일식메뉴 해설에 관한 연구 I (A study on Interpretating Japanese Menus)

  • 송청락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4권
    • /
    • pp.211-224
    • /
    • 1998
  • This study is research about coinage and interpretation of Japanese Menus in luxury hotels in Seoul. Japanese Menus consist of three categories. These can be expressed A+B+C groupings. A represents Ingredients, C represents the cooking method, while B shows the name of a region(B1), the seasoning(B2), and a word that expresses the shape of the food(B3), etc. B can be flexible in meaning. However, the setting, A+B+C, is not always used strictly for these category meanings. Ingredients, A, is sometimes used independently(ex, ぃくとろろ), and at other times B1 + C, B2 + C or B3 + C are used. Sometimes A+C is used without B. The most general expression is Ingredients + the method for cooking(A+C Type). By knowing the menu description the food type and cooking method can be discovered. Most concrete method is Ingredients + procedure for seasoning + cooking method(A+B2+C Type) show how something is made and what kind of seasoning. This method is frequently used for roasted dishes with seasoning. Food which is expressed by A, Ingredients, does not require a complicated cooking process and is fixed by a conventional cooking process without any explanation ; delicacies(珍味), an hors d'oeuvres(前菜), sushi(Japanese vinegared rice delicacies) and sliced raw fish. There are two obstacles in interpreting Japanese Menus. First, we cannot look up the menu words easily in a dictionary because the mixing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 pronunciation of them differs from Korean chinese characters. Secondly, the names of Japanese food are inserted with a name of a place or another symbolic word, so they sometimes cannot be translated. We should offer various and accurate information for foreign customers because various Non-Japanese people use these restaurants frequently. This will enable them to enjoy themselves more comfortably. Therefore, you should decide the words carefully and provide an explanation about the complicated parts of the Menu when you work with Menu copywriter.

  • PDF

건강 관련 식행동과 아시아의 건강음식에 대한 인식 연구 (Study on Healthy Food Behavior and Recognition of Healthy Asian Food)

  • 민계홍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21-529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healthy food behavior and food recognition for each Asian country after subjects had visited Asian restaura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university students from Griffith university and Queensland university, Australia.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1 to 28, 2010. The summary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ly, for dietary behavior related to healthy food, 'average' was the most common answer at 41.0% (102 respondents). Regarding the standard of selecting healthy food, 'if it is good for health' was the most common answer, regarding the reasons to like healthy food, 'because it is good for health', was the most common, and for information about healthy food, 'obtain from TV or media' was the most common. Regarding eating healthy food at home or dining out, most respondents answered 'once or twice a week', whereas regarding thinking of eating healthy food while dining out, 'average' was the most common answer. Secondly, the recognition of six Asian cuisines were ranked in the order of Chinese, Japanese, Korean, Thai, Indian, and Vietnamese. Representative well-being food by country, Bibimbap of Korea, Sushi of Japan, Shark's Fin of China, Tom Yum Kung of Thailand, Curry of India and Goi Cuon of Vietnam were selected. Thirdly, regarding recognition of well-being food, disease effect factor, health-oriented factor, nutrition factor and vegetarian diet factor were extracted. We found that disease effect factor and nutrition factor had positive (+) effects on visiting Asian restaurants due to recognition of well-being food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more local people will eat at Asian restaurants if the public relations for Asian restaurants emphasizes harmony between well-being food and Asian f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