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panese larch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29초

소나무, 낙엽송, 북양가문비나무 변재부에서 CCA와 CCFZ의 정착특성 (Fixation characteristics of CCA and CCFZ in Japanese Red Pine, Japanese Larch, and Ezo Spruce Sapwood)

  • 김규혁;김형준;김재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9권1호
    • /
    • pp.52-59
    • /
    • 2001
  • 본 연구는 양생방법과 양생온도에 따른 소나무, 낙엽송, 북양가문비나무 변재부에서 CCA와 CCFZ의 정착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부제 유효성분의 정착 정도는 6가크롬의 3가크롬으로 환원율에 의해 결정하였으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수종, 방부제, 양생방법, 양생온도의 조합별 적정 양생기간을 예측하였다. 양생방법에 관계없이 양생온도가 높을수록 방부제 유효성분들의 정착이 크게 가속되었으며, 건조양생에 비하여 비건조양생시 정착이 빨리 진행되었다. 수종간의 양생속도는 양생방법과 방부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소나무>낙엽송>북양가문비나무 순으로 빨랐고, 소나무를 대상으로 비교한 방부제간의 정착속도는 CCA 2호>CCA 3호>CCFZ의 순이었다. 양생방법에 관계없이 양생온도와 양생 소요기간간의 상관이 매우 우수하여 처리재 양생장소의 대기온도에 의해 수종과 방부제의 조합별 적정 양생기간을 거의 완벽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화학가공에 의한 침엽수재의 품질귀화 및 고부가 Biopolymer 개발 (I) - 타닌접착제를 위한 침엽수 수피의 수용성 추출물의 양적 변이 - (Development of New Products and High Value Added Biopolymer from Softwoods by Chemical Modification - Quantitative Variation of Water-soluble Extracts from Coniferous Barks for Tannin-based Adhesives -)

  • 조남석;한규성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4권4호
    • /
    • pp.1-6
    • /
    • 1996
  • Extracts from bark have been studied with a view to producing water-proof wood adhesives. Lately many softwoods, such as radiata pine from New Zealand and larch from Siberia, Russia, have been imported and utilized, and their residual barks would be expecting as potential raw materials for something useful chemicals. The great effort toward utilization of bark extractives as a chemical feedstock has been made on a worldwide level. However few report has been done for the utilization of tree bark extractives in Korea. Hot-water extracts were prepared from barks of Japanese larch(Larix leptolepis). Siberian larch(Larix gmelinii) and Radiata pine(Pinus radiata). The effect of various factors, such as particle size, liquor ratio, extraction temperature, and reaction time, on the extractive yields was discussed. Particle sizes affected the hot-water extractives: the finer the particle size, the higher extractives and extract efficiency. Higher temperature and higher liquor ratio were more effective. Extractives from Japanese larch were relatively less than those from Siberian larch and Radiata pine barks. Formaldehyde precipitates was the highest in extractives of Radiata pine barks. It could be concluded that Siberian larch bark was the best raw material for tannin adhesives, because its extractive yield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barks.

  • PDF

일본잎갈나무와 현사시나무를 이용한 브리켓의 제조 (Briquetting from Japanese larch and Hyunsasi poplar)

  • 한규성;김연일;문경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1호
    • /
    • pp.1-9
    • /
    • 2012
  • 바이오매스로부터의 고밀화연료는 북미와 유럽에서 신재생에너지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잎갈나무와 현사시나무를 피스톤 프레스를 이용하여 브리켓을 제조하였으며, 연료적 특성 및 고밀화 특성을 밝히고자 압력, 가압시간, 수종 및 목분 크기가 브리켓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상온에서 110~170 MPa의 압력을 가해 제조된 일본잎갈나무와 현사시나무 브리켓의 4주간 경과 후의 밀도는 0.66~0.94 g/$cm^3$이고, 적정 가압시간은 12초이며, 제조 압력이 증가하면 브리켓의 밀도는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일본잎갈나무 브리켓이 현사시나무 브리켓보다 밀도가 컸으며, 목분의 크기가 클수록 브리켓의 밀도가 컸다.

Effect of film liner packaging with chlorine dioxide on the storage quality of containergrown or bare-root seedlings at cold or frozen temperatures in sawtooth oak and Japanese larch

  • Yu-Rim, Kim;Min-Seok, Cho;Byung-Bae, Park;Jong-Pil, Chun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4호
    • /
    • pp.753-760
    • /
    • 202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iscover suitable packaging methods during the cold or frozen storage of sawtooth oak and Japanese larch seedlings, which are major afforestation tree species in Korea. The weight loss rate of sawtooth oak was lower under frozen storage at -2℃ (maximum, 33.7%) than under cold storage at 2℃ (maximum, 61.0%). A film liner treatment inside the packaging box effectively suppressed the increase in the weight loss rate. For the sawtooth oak containerized seedlings, when stored at -2℃, the rate of weight loss was 17.9 to 25.4% in the untreated group and less than 1% in the film liner treatment group. Similar results were observed with Japanese larch. After two months of freezing at -2℃, both species maintained a low index of 1.0 - 1.1 with regard to the degree of shoot desiccation of containerized seedling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reatments. On the other hand, the chlorine dioxide treatment could more effectively reduce the occurrence of mold and shoot desiccation than a PE single treatment in bare-root seedlings.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frozen storage is generally suitable as a means of long-term storage compared to cold storage of sawtooth oak and Japanese larch. A chlorine dioxide treatment at 20 ppm was effective for maintaining seedling quality levels during storage, demonstrating the good effect of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shoot desiccation and the occurrence of mold.

국내산 낙엽송 소경각재의 허용응력 산출 (Allowable Stress Calculation of Domestic Japanese Larch Small Diameter Lumbers)

  • 김윤희;신일중;양정모;장상식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14-221
    • /
    • 2012
  • Sustainable energy consumption and increasing $CO_2$ emissions stimulate Eco-friendly industry. Wood has positive various properties as alternative energy such as solar, wind and water. Wood provide lumber, pallet, paper, pulp and fuel through production process. Even Korea republic has 63.7% of forest rates, weather condition makes low forestry production capacity. For utilization of domestic small diameter log needs study mechanical properties. In this study, various properties tested on domestic Japanese Larch small diameter lumbers and make mechanical properties table for allowable stress calculation. Result of compressive test, allowable compressive stress is 13 MPa. Allowable bending stress is 12 MPa.

  • PDF

Estimation of Depth Effect on the Bending Strength of Domestic Japanese Larch Structural Lumber using Weibull Weakest Link Theory

  • Oh, Sei Cha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2호
    • /
    • pp.112-118
    • /
    • 2014
  • The depth effect on bending strength of Japanese larch structural lumber was investigated by using the published data of two different depth lumbers with the same length. Depth effect parameters were derived from Weibull's weakest link theory and compared to the results from other researches. Depth effect on bending strength was significant for No.1 and No.3 lumber, but not insignificant for No.2 lumber. Calculated value of the depth effect adjustment factors was 0.21, 0.11 and 0.22 by lumber grade, respectively. These results were similar to those results from previous researches and supported depth effect on bending strength of lumber. An apparent depth adjustment factor has been proposed to 0.2 in the literatures. Based on this study, depth adjustment factor was considered to 0.2 as a conservative optimum design value that should be incorporated in domestic building code (KBC) for structural lumber.

소나무, 낙엽송, 북양가문비나무 원주가공재의 CCA 가압처리 (Pressure Treatment of Japanese Red Pine, Japanese Larch, and Ezo Spruce Round Posts with CCA)

  • 김규혁;김재진;김형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1호
    • /
    • pp.42-47
    • /
    • 2000
  • 본 연구는 CCA 2호를 이용한 소나무, 낙엽송, 북양가문비나무 원추가공재의 가압 방부처리시 처리변수가 처리도(방부제의 침투깊이와 보유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처리변수로는 전배기 시간(30, 45, 또는 60분)과 최대 가압력 (8.5, 10.5, 또는 14.0 kg/$cm^2$)이 조사되었으며, 가압은 목재 내로 방부제가 더 이상 주입되지 않는 refusal point까지 지속되었다. 수종에 관계없이 전배기 시간의 30분 이상 연장은 처리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가압력의 증가는 방부제 침투깊이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보유량에는 영향을 미쳤다. 전반적으로 볼 때, 방부제의 침투깊이는 소나무>북양가문비나무${\geq}$낙엽송의 순이었는데 변재폭이 넓은 소나무는 적용된 압력에 관계없이 사용환경구분 H5 지역에 사용할 수 있는 CCA 처리재의 최소 방부제 침투깊이를 만족하였다. 그러나 변재폭이 좁은 낙엽송과 북양가문비나무는 방부제 침투깊이가 깊지 않아 자상처리 등 처리도 개선을 위한 전처리가 필요하였다. 소나무의 보유량은 가압력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난주입수종인 낙엽송과 북양가문비나무의 경우 가압력 14.0 kg/$cm^2$ 에서는 유의성이 인정되는 보유량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방부제의 목재내 침투가 종료되는 시점인 refusal point에 대한 처리조건의 영향은 불분명하였으나, 가압 소요시간은 북양가문비나무>낙엽송>소나무 순으로 변재율이 높을수록 전반적으로 가압 소요시간이 단축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타닌접착제를 위한 침엽수 수피의 알칼리성 추출물의 양적 변이 (Quantitative Variation of Alkali-soluble Extracts from Coniferous Barks for Tannin-based Adhesives)

  • 조남석;김영신;한규성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5권1호
    • /
    • pp.23-27
    • /
    • 1997
  • Alkali-soluble extracts were prepared from barks of Japanese larch(Larix leptolepis). Siberian larch(Larix gmelineii) and Radiata pine(Pinus radiata) The effect of various factors, such as particle size, liquor ratio, extraction temperature, and reaction time, on the extracts yield was investigated. Particle sizes affected the alkali-soluble extracts; the finer the particle size, the higher extracts and extract efficiency. High temperature and high liquor ratio were more effective. In the range of 0.25% to 1% NaOH concentration, alkali extracts were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alkali concentration. However, extract yields were leveled off above 0.5% alkali concentration. Extractions with NaHCO3 were almost equivalent to those of NaOH extraction. 1% NaOH and 1% NaHCO3 resulted in the highest yields of alkaline extracts. Extracts from Japanese larch were lower than those from Siberian larch and Radiata pine barks. Siberian larch bark was the best raw material for tannin adhesives, because its extractive yield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barks. Concerning pH of alkaline media during extraction, small increases of the extract yields were resulted at range of pH 7 to pH 9, while a large increases from pH 9.0 to pH 12. This phenomenon is attributed to higher alkalinity.

  • PDF

소나무와 낙엽송 스킨팀버의 ACQ, CUAZ, CuHDO 가압처리를 위한 처리용 목재의 적정 함수율 및 처리목재의 정착 특성 평가 (Evaluation of Pretreatment Moisture Content and Fixation Characteristics of Treated Wood for Pressure Treatment of Japanese Red Pine and Japanese Larch Skin Timber with ACQ, CUAZ and CuHDO)

  • 최용석;오세민;김규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6호
    • /
    • pp.481-48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와 낙엽송 스킨팀버의 ACQ-2, CUAZ-2, CuHDO-1 가압처리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소나무 변재부와 낙엽송 심재부 시험편을 대상으로 처리용 목재의 함수율이 방부제 처리도에 미치는 영향과 방부제 유효성분인 구리의 처리목재 내 정착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소나무 변재부는 방부제 종류에 관계없이 함수율 30%부터 사용환경 범주 H3용 처리목재의 침윤도와 흡수량 기준을 모두 만족하였다. 완벽한 방부제 침투가 가능한 소나무 변재부에서 깊이에 따른 방부제 흡수량 경사를 조사한 결과, 방부제 종류에 따른 차이가 관찰되었다. CuHDO-1 처리 시험편에서 발생한 경사가 ACQ-2와 CUAZ-2 처리 시험편에서의 경사보다 심했는데, 특히 고함수율(25, 30%) 시험편에서 경사가 저함수율(15, 20%) 시험편에서보다 심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난주입성인 낙엽송 심재부는 처리용 목재의 함수율 조건 및 방부제 종류에 관계없이 처리도 가 매우 불량하였다. 낙엽송 심재부의 처리도 개선을 위해 증기 전처리($121^{\circ}C$의 포화수증기 조건에서 12시간 처리)를 실시한 결과, 낙엽송 심재부의 침윤도와 흡수량 모두 사용환경 범주 H3용 처리목재 기준에 부합하게 처리도가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나무 변재부와 낙엽송 심재부 시험편에서 공히 방부제 유효성분인 구리의 정착이 비건조 양생에 비하여 건조 양생에서 빨리 진행되었다. 소나무 변재부는 양생 초기 3~6일, 낙엽송 심재부는 양생 1일 이내에 3주간 정착된 구리 양의 95% 이상이 정착되었다. 양생 3주 후 처리목재 내에 미정착 상태로 남아있는 구리의 양은 ACQ-2, CuHDO-1, CUAZ-2 순으로 많았는데, 이는 처리용 작업액에 존재하는 구리의 양과 비례하였다.

일본잎갈나무조림지의 생태적 변화와 그 결과를 통해 확인된 복원 효과 (Ecological Changes of the Larix kaempferi Plantations and the Restoration Effects Confirmed from the Results)

  • 김세미;안지홍;임윤경;피정훈;김경순;이호영;조용찬;배관호;이창석
    • 생태와환경
    • /
    • 제46권2호
    • /
    • pp.241-250
    • /
    • 2013
  • 조성연도가 다른 일본잎갈나무조림지를 대상으로 조림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식생의 발달과정을 분석하였다. 일본잎갈나무의 높이와 직경은 조림 후 24년까지 빠르게 생장하였고, 그 이후 양 생장이 모두 둔화되는 경향이었다. 일본잎갈나무의 밀도는 8년생 식분과 17년생 식분에서는 유사한 밀도를 유지하였으나 24년생 식분에서 크게 감소하였고 그 이후에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서열법을 적용하여 비교된 일본잎갈나무조림지의 종 조성은 조성연도에 따라 뚜렷한 변화경향을 나타내지 않았고, 조성연도가 다른 조림지 간의 차이가 대조구와의 차이보다 컸다. 주요 종의 직경급 별 빈도분포를 통해 분석한 결과 일본잎갈나무조림지는 신갈나무가 우점하는 자생식생으로의 천이경향을 보였다. 종 다양성은 모든 연령의 식분들이 대조구의 것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여지듯이 일본잎갈나무조림지에서 나타난 대조지소와 유사한 종 조성, 자생식생으로의 천이 경향 그리고 높은 종 다양성은 생태적 복원의 성공을 의미하는 조건으로서 기능적 복원으로 출발한 일본잎갈나무조림지가 성공적인 복원을 이루어낸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