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panese colonial era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8초

근대적 도시 공원으로서 창경원 (Changgyeongwon as a Modern Urban Park)

  • 우연주;배정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14-21
    • /
    • 2016
  • 이 논문은 창경원을 근대적 도시 공원으로 보고, 창경원의 공간적 성격과 그곳에서 창출된 공원 문화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했다. 먼저 창경원 성립의 배경을 파악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세 가지 측면에서 근대 도시 공원으로서 창경원의 성격을 제시했다. 첫째, 대외적 선전과 과시의 장으로서 창경원의 성격, 특히 개원 초기 해외 사절과 고위 인사들의 방문에 주목했다. 특히 애초에 이곳을 근대적 공원으로 만들고자 계획했던 내용에 바탕을 두고, 근대 도시 공원으로서의 성격을 살펴보았다. 둘째, 계몽과 교화의 장으로서 1920년대 창경원 이용이 보다 대중화 경향을 띠기 시작했다는 점을 파악하고, 여성과 아동을 위한 행사와 새로운 시설의 등장에 주목했다. 셋째, 창경원을 공원으로 인식하고 이용했던 당대의 기록을 조사하여 그 문화적 특징을 파악했다.

일제강점기의 한국철도와 만주철도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Korean and Manchurian Railway Systems during the Japan Colonial Period)

  • 이용상;정병현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151-162
    • /
    • 2013
  •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의 우리나라 철도와 만주철도를 비교하였다. 양국철도는 공히 제국주의 철도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지만 서로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 만주철도는 정부주도하의 민간철도라는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우리나라 철도는 철도수입위주였지만 만주철도는 철도이외에도 지역개발, 광산, 항만 운영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였다. 두 번째 만주철도는 우리나라 철도에 비해 수익성이 좋았고, 화물위주의 수송이었다. 세 번째로 철도관료의 경우도 우리나라는 주로 정부 관료들이 임명되었지만 만주철도의 경우는 정당정치에 의한 정치가, 외교관 등 다양한 계층에서 임명되었다. 관동군으로 편입된 이후에는 군의 영향력이 컸다. 공통점으로는 제국주의 철도였기 때문에 정부정책 특히 시기적으로 철도는 군사적 목적에 활용되었다. 특히 만주철도의 경우 대륙에서의 전쟁수행이라는 면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향후 같은 시기의 일본 본토 그리고 대만과의 비교연구를 통해 동아시아 철도의 공통점과 차이점의 부각을 통해 우리나라 철도의 성격이 새롭게 조명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부여(扶餘) 능산리고분군(陵山里古墳群) 성격(性格)에 대한 재고(再考) (Revisiting of ancient tombs in Neungsan-ri, Buyeo)

  • 김규운;양숙자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2호
    • /
    • pp.104-121
    • /
    • 2016
  • 능산리고분군은 일제강점기에 몇 차례 조사되었으나 아직까지 그 전체적인 양상을 이해하기에는 자료가 턱없이 부족하다. 또한 기왕의 조사자료에 대한 분석 자체도 부족하다. 따라서 능산리고분군이 어떻게 조사되었고, 보존되어 왔는지에 대한 검토를 통해 능산리고분군을 새롭게 이해하고 접근할 필요성이 있음을 강조하였다. 능산리고분군의 일련번호는 일제강점기부터 지금까지 확실한 기준이 제시되지 않은 채 자의적으로 부여해 왔다. 이는 당시 조사과정에서 일련번호가 어떻게 변하였는지에 대한 검토가 없었기 때문으로 보았다. 그리고 능산리고분군은 현재 정비되어 있는 7기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이미 일제강점기에 서쪽부터 3+4+7+5기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현 (現)8호분의 성과를 더하면 적어도 20기로 구성된 고분군임을 제시하였다. 또한 동고분군의 경우, 현실의 규모, 고우야마키로 제작한 목관에 옻칠을 한 공정까지 중앙의 6기와 비교해도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면서 6기만을 왕릉군으로 설정해 온 기왕의 인식에 변화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궁극적으로 현재 정비되어 있는 능산리고분군은 일제강점기에 이미 정비가 완료되면서 원래 가지고 있던 정보를 하나도 표현하고 있지 못함을 지적하였다. 현실로 진입하는 입구시설, 호석을 덮어버리고 고대하게 과장된 봉분이 그러하고, 심지어 주위에 다른 고분들이 분명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제대로 된 지표조사 한번 없었던 문제점을 부각시키면서 능산리고분군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

사암침법의 전통과 독자성에 관한 연구 (A Research for Tradition and Identity of Saam Acupuncture Method)

  • 정유옹;이덕호;안상우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9권4호
    • /
    • pp.537-553
    • /
    • 2012
  • Objectives : Ever Since it was made in the middle of 17th century by Saamdoin, Saam acupuncture method has been handed down to acupuncturists as a written form, playing a huge role in using for treating diseases of people in Korea. Saam acupuncture method development of any process, and have been propagated in a foreign country to study. Methods : Analysis of ancient medical books, we studied the evolution of Saam acupuncture method. And we looked abroad Saam acupuncture method have been propagated abroad by examining how. Results : At the end of Joseon Dynasty, lots of clinical cases were added to Saam acupuncture method and as a result, it helped acupuncturists understand how it really work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it was introduced to more people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a printing technique.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 many scholars have studied Saam's acupuncture method, and they also have applied it to clinical cases in various ways. Conclusions : With its superiority and creativeness, Saam acupuncture method spread to Japanese acupuncturists in the name of Meridian Therap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It had a great impact on medicine in China and many other countries, as well.

한국석탑의 세부 명칭과 의미 고찰 (A Study on the Name Details and Meaning of Korean Stone Pagoda)

  • 천득염;정지윤;오창명
    • 건축역사연구
    • /
    • 제27권3호
    • /
    • pp.59-72
    • /
    • 2018
  • The detailed names and meanings of Korean stone pagodas have not yet been properly studied or clearly defined. Therefore, an aim of this report is to compare the detailed name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stone pagodas by focusing on content used previously by Ko and his students and content that is currently in use (i.e., since the Japanese colonial era). Additional objectives are to assess the significance of these names and propose an appropriate detailed draft regarding names of stone pagodas. The discussion will proceed by dividing the stone pagoda into three parts: the podium, main structure, and finial. First, the content in Luo Zhewen(羅哲文)'s "Ancient pagodas in China(中國古塔)" (1985) is considered; then, "朝鮮の石塔" (1943)-published b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is explored. The thesis written by Yu-Seop Ko regarding Korea's first stone pagoda and the content in "A Study of Korean Pagodas(朝鮮塔婆의 硏究)" (1948), which contains Yu-Seop Ko's posthumous works published in book form by his student Su-Yeong Hwang, Heu-Kyoung Kim are examined. to pagodas that are used today, are compared and reviewed. Since Korea, China, and Japan influence each other, pagoda-related terms are shared to some extent. In this study, these were applied to stone pagodas, and names used thus far that have not drawn criticism were studied and proposed as suitable alternatives.

화엄사 각황전 수리공사를 통해 본 「보존령」 제정 이후 일제강점기 보물 건조물 수리공사의 현장운영과 수리방침 (The Field Operation and Policies of Repair Works for Architectural Treasures in Late Japanese Colonial era based on Repair Works of Hwaumsa Kakhwangjeon)

  • 서효원;전봉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1호
    • /
    • pp.41-5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ircumstances of repair works after enacting "Low for Conservation of Joseon Treasure, Historic Site, Scenic Beauty & Natural Monument (朝鮮寶物古跡名勝天然記念物保存令)". For this purpose, the official documents produced by the Government-general Museum of Joseon were analyzed. They included the contents of repair works of Hwaumsa Kakhwangjeon(華嚴寺 覺皇 殿). As a result, this study reveals that the repair work of Hwaumsa Kakhwangjeon had become a momentum of introducing specific guidelines such as "Guidelines for Architectural Treasure's Repair 寶物建造物修理施行準則", "Regulations for administration of Hwaumsa Kakhwangjeon's repair work 華嚴寺覺皇殿修理工事取扱手續)". The guidelines and regulations systematized the planning phase of the repair works and provided to organize the field office formed by experts. In spite of these positive changes, the repair works were controlled by the central government to the certain extent, and the Japanese repair techniques were mingled with traditional techniques recklessly.

일제강점기의 우리나라 철도성격규명에 관한 정성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the Properties of the Korean Railway during the Japan Colonial Period)

  • 이용상;정병현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306-314
    • /
    • 2012
  • 한반도에서 철도가 처음으로 개통된 후 철도는 주로 군사적 목적으로 이용되었다. 즉, 경인선, 경부선, 경의선이 건설되었으며, 한일합방이후에는 한반도에서 철도는 일본의 식민화에 따른 지배의 수단이 되었지만, 한편으로는 우리나라의 새로운 운송수단으로서 근대화를 촉진시키고, 조선의 경제, 문화, 사회의 발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현재, 한국 철도사 연구 중에서 연구가 미진한 부문의 하나가 일제강점기에 있어서의 철도의 성격규명에 관한 연구이다. 특히 구체적인 철도의 영향력과 사회변화 등에 대한 미시적인 연구와 관료를 중심으로 한 철도정책과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철도의 성격에 대한 다양한 측면이 간과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의 철도에 대한 성격규명을 정성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즉, 일제강점기 조선총독의 지휘를 받았던 철도국장 등 철도정책결정에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철도관료의 분석을 통해 철도의 성격을 규명해보고자 하였으며, 대륙철도와의 연결과 국내산업개발 측면에서의 조선철도의 성격 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그 동안 일제강점기의 철도에 대한 성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소설 "토지"를 통한 구한말에서 일제강점기의 음식문화 연구 (Study on Food Culture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Novel "Toji")

  • 김미혜;정혜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39-553
    • /
    • 2011
  •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continuance and transformation of food culture during the enlightenment and Japanese ruling era by analyzing the novel of "Toji". In the novel "Toji", the chaotic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 is reflected, along with the peoples' hard lives in the latter era of the Choson Dynasty. After the full-fledged invasion of China by the Japanese, the shift to a wartime posture was accompanied by an increased need for food. This led to a rationing and delivery system for rice in the late 1930s. While it was hard for people to obtain even brewer's grains and bean-curd dregs, food distribution officers were well off. Another distinctive feature of the food culture during the enlightenment and Japanese ruling era was that foreign food and recipes were introduced naturally to Korea through the influx of various foreigners. The industry of Choson was held by Japanese monopolistic capital, as a result, Choson had equal to the role as a spending site and was only gradually left destitute. In the Japanese ruling era, there were new type of business including such as patisserie of the types of civilization in the town, and those tempted Korean people. However, the Japanese and pro-Japan collaborators dominated commercial business. Being urbanization through the modernization, it was became patronized fast food in the populous downtown, and the change of industry structure and life style greatly influenced into our food culture. Acceptance the convenient Japanese style fast food such as Udong, pickled radish made was actively accepted with a longing for the advancement civilization. After the enlightenment, many Japanese exchange students went to Tokyo to get advanced civilization and provided urban mood according to their consumption of bread, coffee, Western food, which were considered a part of the elite culture.

일제강점기 옻칠 증산(增産) 사업의 전개와 영향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Project to Increase Lacquer Produc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 강연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3호
    • /
    • pp.22-44
    • /
    • 2022
  • 일제강점기 옻칠은 나전칠기와 같은 고급 공예품 외에 산업, 건축, 군수물자의 외부 도료 등 다방면으로 활용되는 중요한 전략물자였다. 특히 전시 체제에 돌입하는 1940년대 이후 군수물자에 사용되는 옻칠 수요가 급증하면서 유통을 제한하는 전표제까지 시행하였다. 한편 일본에서는 옻칠 수요의 급증에 따라 고질적인 물량 부족을 겪고 있었고, 대안으로 19세기 후반 이후 중국산 옻칠을 수입하였다. 1910년대 이후에는 중국산 옻칠의 시장 점유율이 90%에 이르러 중국 현지 상황에 따라 일본 내 옻칠 수급이 영향을 받자 일제는 조선에서 옻칠 생산을 늘려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조선에서의 옻칠 증산 사업은 1910~1920년대에 각종 시험을 통해 객관적 지표가 마련되었고, 이를 기준으로 1930년대 본격적으로 사업에 착수하였다. 전국 각지에 옻나무를 식재하고 개량 채취법 강습회를 개최하였다. 일제는 조선인들에게 경제적 수익을 들어 옻칠 생산업을 장래 유망한 농가의 부업으로 홍보하였다. 각 도에서 수립한 옻칠 증산 사업은 효과를 거두었으며, 현재 국내 주요 옻칠 생산지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일제강점기 한반도 남부에서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한 곳은 강원도 원주, 충청북도 옥천, 경상남도 함양으로 현재의 생산지와 일치하였다. 일제가 조선인 농가를 대상으로 교육한 개량 채취법은 현재 한국 옻칠 채취의 주된 방식으로 자리 잡았다.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각종 기록을 통해 옻칠 증산 사업의 현황을 파악하여 근대 옻칠 공예사 연구의 공백을 메우고자 시도하였다.

일제강점기 근대 문화공간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 of the Modern Culture Space during Japanese Ruling Era of Korea)

  • 이근혜;오인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3-12
    • /
    • 2008
  • Most of these cultural spaces are Western architecture which is completely unrelated to our traditional style. In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these Western formation flowed in and passed on by them. Therefore before the understanding of modem cultural space built in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it's essential to study about the background of the western period in that time, architecture and trend of interior. Due to Great Depression and other reasons the economical modernism of architecture raised in this period. In this thesis, based on such background of period, cultural space has been divided into assembly, theatre and exhibition spaces. Those spaces were studied according to its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and brought to following conclusion from the analysis. The cultural spaces were created around 1930 due to an increase of demand when the modernism started to establish. Like other buildings cultural space expressed modernized elevation and space formation with ferroconcrete building. However until Japan's colonial period the cultural areas were not used for public but for Japanese authority class's social gatherings only. Consequently, unlike other buildings the classical elements that could express these characters were more used in cultural spaces especially in theater and exhibition areas. This distinctiveness didn't appear separately but according to type of rooms in one space. Once more, place like assembly space was expressed with modernism, special or recreation rooms where people pursue a comfort were expressed with decorative style. Also a special theater which was used for only one person was generally expressed with western style to represent the stem character such as po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