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Name Details and Meaning of Korean Stone Pagoda

한국석탑의 세부 명칭과 의미 고찰

  • 천득염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
  • 정지윤 (동경대학교 대학원 공학계연구과 건축학전공) ;
  • 오창명 (제주국제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8.04.04
  • Accepted : 2018.05.12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e detailed names and meanings of Korean stone pagodas have not yet been properly studied or clearly defined. Therefore, an aim of this report is to compare the detailed name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stone pagodas by focusing on content used previously by Ko and his students and content that is currently in use (i.e., since the Japanese colonial era). Additional objectives are to assess the significance of these names and propose an appropriate detailed draft regarding names of stone pagodas. The discussion will proceed by dividing the stone pagoda into three parts: the podium, main structure, and finial. First, the content in Luo Zhewen(羅哲文)'s "Ancient pagodas in China(中國古塔)" (1985) is considered; then, "朝鮮の石塔" (1943)-published b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is explored. The thesis written by Yu-Seop Ko regarding Korea's first stone pagoda and the content in "A Study of Korean Pagodas(朝鮮塔婆의 硏究)" (1948), which contains Yu-Seop Ko's posthumous works published in book form by his student Su-Yeong Hwang, Heu-Kyoung Kim are examined. to pagodas that are used today, are compared and reviewed. Since Korea, China, and Japan influence each other, pagoda-related terms are shared to some extent. In this study, these were applied to stone pagodas, and names used thus far that have not drawn criticism were studied and proposed as suitable alternatives.

Keywords

References

  1. 衫山信三, 朝鮮の石塔, 彰國社, 1944
  2. 고유섭, 韓國塔婆의 硏究, 을유문화사, 1948
  3. 고유섭, 又玄 高裕燮 全集1, 朝鮮美術史 上, 열화당, 2010
  4. 고유섭, 又玄 高裕燮 全集 3,4, 朝鮮塔婆의 硏究 上, 下, 열화당, 2010
  5. 고유섭, 韓國塔婆의 硏究, 을유문화사, 1948
  6. 羅哲文, 中國古塔, 中國靑年出版社, 1985
  7. 張馭寰, 中國佛塔史, 科學出版社, 2006
  8. 漢韓大辭典,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2009
  9. 敎學 大漢韓辭典, 敎學社, 2003
  10. 無垢淨光大陀羅尼經 類聚名物考 권 27
  11. 說一切有部毗奈耶雜事 18, 摩訶僧祇律 33
  12. 현장, 대당서역기, 김규현 역, 글로벌콘텐츠, 2013
  13. 김희경, 한국의 탑, 열화당, 1982
  14. 장기인, 國建築大系 VII, 石造, 보성각, 1996
  15. 박경식, 석조미술의 꽃 석가탑과 다보탑, 한길아트, 1998
  16. 박경식, 한국의 석탑, 학연문화사, 2008
  17. 박경식, 한국석탑의 양식 기원, 학연문화사, 2016
  18. 윤창숙, 문화재해설 : 탑파, 백산출판사, 1991
  19. 천득염, 백제계석탑 연구,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0
  20. 강우방, 신용철, 한국미의 재발견 5, 탑, 솔, 2003
  21. 천득염, 인도 불탑의 의미와 형식, 심미안, 2013
  22. 천득염, 백제계석탑의 조형특성과 변천과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0
  23. 윤창숙, 韓國 塔婆 相輪部에 관한 硏究, 단국대학 교 대학원 한국사전공 박사학위논문. 1993
  24. 이강근, 又玄 高裕燮의 '朝鮮建築美術史草稿'에 대한 연구, 미술사학연구 제249호, 2006
  25. 정해두.장석하, 석탑 탑구(塔區)의 역할 및 변천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제19권, 1호, 2010
  26. 이희봉, 용어에 대한 근본 고찰 및 제안, 건축 역사연구 제19권 4호, 2010
  27. 이희봉, 탑 용어에 대한 근본적 재고찰,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2010
  28. 권황수, 불국사 다보탑에 표현된 一承法界圖와 무영탑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제30 권 7호, 2014
  29. 김성우, 극동지역불탑형의 시원,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983
  30. 임영배.천득염.박익수, 한국과 중국의 탑파형식에 관한 연구(1),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vol.8 no5, 1992
  31. http://ejje.weblio.jp/content/持ち送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