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panese Koreans

검색결과 224건 처리시간 0.079초

아시아 성인 연조직 측모의 비교분석 (SOFT TISSUE PROFILES OF YOUNG ORIENTAL ADULTS)

  • 정규림;박영국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81-889
    • /
    • 1997
  • 이 연구는 정상 교합과 양호한 안모를 가진 169명의 남자와 174명의 여자 아시아 각국 인을 대상으로 연조직 측모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100명의 한국인, 100명의 중국인, 72명의 월남인 및 71명의 일본인으로부터 촬영된 측모두부방사선사진 상에서 9개의 계측점을 설정하고 전산 입력한 뒤 6 개의 연조직 계측 항목에 대한 측정을 시행한 후 통계 처리하였다. 분산 분적에서 중국인의 총 측모(GI'-Pr-Pg')는 한국인이나 월남인에서 보다 적은 돌출도를 보였다(P<0.01). 중국인의 안면평면측모(GI'-Sn'-Pg') 역시 월남인 보다 적은 돌출각을 나타내었다(P<0.01). 홀더웨이의 하순각(Pg'-LS:N-B)은 월남인에서 가장 컸고 다음으로 중국인, 한국인, 일본인의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월남인의 상순은 중국인에서보다 리???츠의 심미적 기준선에 더 많이 근접하였고 한국인과 일본인에서의 상순은 기준선보다 후방에 위치하였다. 한국인과 일본인의 하순은 심미적 기준선에 근접한 반면 중국인과 월남인의 하순은 기준선 보다 2 mm 전방에 위치하였다. 한국인과 월남인의 비순각은 중국인과 일본인에서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간의 성차는 기본적으로 코의 높이에서 상이하였고 이로 인하여 여자에서의 총 측모각과 비순각이 남자보다 크게 나타났다(P<0.001). 이러한 결과는 아시아 각국인 들의 연조직 측모에 대하여 단일 표준치에 의한 분석 평가가 적절하지 않으며 각 인종별 표준치 설정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PDF

친일 청산에 대한 미군정기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보도 태도 (The Coverage on the Settlement of pro-Japanese Koreans by Dongailbo and Chosunilbo during the U.S. Military Government Period)

  • 채백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79권
    • /
    • pp.196-225
    • /
    • 2016
  • 이 연구는 미군정기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친일 청산 문제에 대한 보도 태도를 분석하였다. 친일 관련 6개의 키워드 검색을 통해 총 266건의 기사를 대상으로 전반적 보도 현황을 양적 분석하였다. 키워드로는 친일이 90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민족반역, 간상배, 일제잔재, 부일협력, 반민족의 순이었다. 두 신문은 관련 기사를 대부분 비중있게 다루어 전체의 43.2%가 면톱이나 부톱으로 보도되었다. <동아일보>의 정보원은 우익과 군정 당국에 치우쳤으나 <조선일보>는 중도와 좌익의 정보원도 사용하였다. 이 시기에 친일 문제가 쟁점이 되었던 주요 사건을 중심으로 질적 분석하여 두 신문 논조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두 신문은 친일 청산 문제에 대해 전반적으로 소극적이었다. 과거의 친일도 중요하지만 현재의 반민족이 더 중대하며 친일을 청산하려면 그 대상 설정도 매우 어렵고 인재의 공백이 우려되어 당면 목표인 독립 국가 건설에 장애가 될 터이니 정부 수립 이후로 연기하자는 것이 두 신문의 주된 논지였다. 신탁 통치나 미소 공위 등 주요 사안에서 <동아일보>는 우익의 입장을 전적으로 대변하였으며 반면 <조선일보>는 더 중립적인 태도를 보였다.

  • PDF

한국과 일본 도농복합 지역 거주 노인의 건강관리 및 여가활동 실태 비교 (Comparison of Health Management and Leisure Activiti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Elderly in Urban-Rural Composite Areas)

  • 박경민;강현욱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84-191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health management and leisure activities of the Korean and Japanese elderly. Methods: This study used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research design. A total of 149 Korean and 140 Japanese older adults living in two urban-rural composite area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project. Data were collected using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t-test and $x^2$ 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Eighty eight point two percent of the Japanese perceived that their health status was good whereas 27.3% of the Koreans responded that their health status was poo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ypes of leisure activities in art, intellectual, events, and volunteer activities between the two groups. A majority of the Japanese elderly replied that they spent some time and money for leisure activities; however, 20.2% and 27.2% of the Koreans reported that they did not spend time or money at all for leisure activities. Conclusion: The number of the Korean elderly participating leisure activiti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Japanese participants. Developing nursing strategies using leisure programs woul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older adults and the quality of nursing care.

Korean speech sound development in children from bilingual Japanese-Korean environments

  • Kim, Jeoung-Suk;Lee, Jun-Ho;Choi, Yoon-Mi;Kim, Hyun-Gi;Kim, Sung-Hwan;Lee, Min-Kyung;Kim, Sun-J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9호
    • /
    • pp.834-839
    • /
    • 2010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Korean speech sound development, including articulatory error patterns, among the Japanese-Korean children whose mothers are Japanese immigrants to Korea. Methods: The subjects were 28 Japanese-Korean children with normal development born to Japanese women immigrants who lived in Jeonbuk province, Korea. They were assessed through Computerized Speech Lab 4500.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15 Korean children who lived in the same area. Results: The values of the voice onset time of consonants /$p^h$/, /t/, /$t^h$/, and/$k^*$/ among the children were prolonged. The children replaced the lenis sounds with aspirated or fortis sounds rather than replacing the fortis sounds with lenis or aspirated sounds, which are typical among Japanese immigrants. The children showed numerous articulatory errors for /c/ and /I/ sounds (similar to Koreans) rather than errors on /p/ sounds, which are more frequent among Japanese immigrants. The vowel formants of the children showed a significantly prolonged vowel /o/ as compared to that of Korean children ($P$<0.05). The Japanese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showed a similar substitution /n/ for /ɧ/ [Japanese immigrants (62.5%) vs Japanese-Korean children (14.3%)], which is rarely seen among Koreans.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Korean speech sound development among Japanese-Korean children is influenced not only by the Korean language environment but also by their maternal language. Therefore, appropriate language education programs may be warranted not only or immigrant women but also for their children.

더덕을 이용한 음식의 전통레시피 개발과 내·외국인의 선호도 (Preferences of Koreans and Foreigners for Traditional Recipe Developed containing Deoduk)

  • 장서영;김나영;마옥결;한명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4-53
    • /
    • 2014
  • Various Korean healthy foods containing Deoduk were developed and standardized recipe. Sensory evaluations of Koreans and foreigners for these developed foods were performed by using the 5-point hedonic scale. The results of the sensory test on foods containing Deoduk were as follows: Deoduk bap (2.90~3.91), Deoduk seolgidduk (3.19~4.40), Deoduk gangjeong (3.00~4.60), riasted Deoduk with red pepper paste (2.73~4.20), Deoduk pine nut juice salad (2.40~3.96), and Seopsansam (3.91~3.81). Deoduk seolgidduk, developed by using a recipe for Sansambyeong which in a Chosun dynasty cook-book, was highly preferred by Africans, Japanese, and Koreans. In particular, all foreigners except Southeast Asians liked Deoduk gangjeong, and both Koreans and foreigners liked Seopsansam. Foreigners' experience of eating foods containing Deoduk was high at 'No' (68.9%), whereas Japanese (60.0%) had previous experience. Exactly 91.6% of Koreans responded 'Yes' to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Deoduk food is good for health, whereas the proportion of foreign respondents who said 'Yes' was 43.2%, 'No' was 5.4%, and 'I don't know' was 51.4%. Deoduk seolgidduk was preferred by Japanese, and most foreigners preferred Deoduk gangjeong and Seopsansam. Therefore, Deoduk could be developed as a healthy food for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However, as foreigners' awareness of Deoduk is low, we must positively promote the health function of traditional food ingredients and develop various menus suitable forforeigners' tastes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일본 식민지시대의 경관개념어 연구 -육당의 [조선의 산수]에 나타 난 경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 of the Word "Kyoung" of Choi Nam-Sun)

  • 정하광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8-28
    • /
    • 1992
  •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cept formation and classify the diverse concepts which related to Kyoung(景) of Chio Nam-Sun at Korea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a turning point in the korean history). The cultural policy of th Japanese Government-General was aimed at the destruction of Korean nationalism and racial consciousness and the rapid Japanizatio of the Koreans. In the name of assimilation, Korean language instruction was first simply discouraged while the movement for the use of Japanese was stepped up, the use of the Japanese language was forced upon the Koreans, and textbook revision was carried out in order to develop Shinto nationalism and loyalty to the emperor and the stat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type of landscape concept was 10 types and had the following frequencies in order; Pung-Kuoung(風景)(42), Kyoung-Chi(景致)(21), Koang-Kyoung(光景)(8), Kyoung-Sung(景勝)(7), Kyoung-Gae(景槪)(5), Kyoung-Goan(景觀)(2), Sung-Kyoung(勝景)(2), Kyoung(景)(2), Sil-Kyoung(實景)(1), Pung-Kyoung-Goan(風景觀)(1). Types of landscape concepts in critical periods were classified into 10 according to the many characteristics; personal situations, cultural policy and education policy of Japanese.

  • PDF

해외 어학연수생과 한국 대학생 간의 구강보건행태 평가 (The evaluation of oral health behavior between students studying in Canada and college students in Korea)

  • 김영숙;민희홍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99-406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ral health behaviors between students studying in Vancouver, Canada and college students in Daejeon, Korea. Methods :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239 students in November, 2013.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oral health behavior including tooth brushing methods between two countries. Chi-square test and t-test were analyzed. The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R version 2.14.2(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Results : The number of tooth brushing in Korean students was higher than those in Canada. Fifty nine percent of the Koreans brushed their teeth 3 times a day while 62.3% of students in Canada brushed their teeth 2 times a day(p<0.0001). Those who were taught on oral health education tended to brush the teeth more frequently that those who had not. Koreans and Japanese tended to brush teeth more frequently after breakfast than the Taiwanese(p=0.005). Koreans also brushed teeth after dinner more frequently than Japanese, Taiwanese, and other foreigners(p=0.012). Conclusions : This study indicated that Koreans have better oral health behaviors in comparison to students studying abroad.

한국인 손 치수의 추세 변동 및 외국 자료와의 비교 (Trend of hand dimensions for Koreans and Comparison with foreigners' data)

  • 기도형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46-153
    • /
    • 2010
  • The purposes of this are (1) to present representative five hand dimensions by measurement year, (2) to investigate hand characteristics based on relative ratios of varying hand dimensions and (3) to compare Korean hand dimensions to other countries' data. Comparing to those of 1979, statures of 2004 increased by 3.0~3.5%, while males' hand dimensions of hand length, medius finger length, hand circumference, hand breadth and hand thickness decreased by 2.0~5.0%. Ratios of hand dimensions to those of medius finge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upon age group and gender, bu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upon races of Korean and American. Hand lengths of Koreans were shorter by about 4.0% than those of Japanese irrespective of gender, while the other compared dimensions for Koreans were larger than those of Japanese. Hand dimensions used in this study of Koreans were generally smaller that those of Americans. It is recommended from this study that when designing hand relevant things including glove, computer keyboard, smart phone key pad, etc., the different hand characteristics found in this study be fully reflected to develop competitive products.

삼림법(森林法)(1908)의 지적신고제도(地籍申告制度)가 일제(日帝)의 식민지(植民地) 임지정책(林地政策)에 미친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Effects of the Forest-land Registry System of the Forest Law of 1980 on the Colonial Forest-land Policy used in Korea under the influence of Japanese Imperialism)

  • 배재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3호
    • /
    • pp.398-412
    • /
    • 2001
  • 본 연구는 삼림법(森林法)(1908)에 규정된 지적신고제도(地籍申告制度)가 일제(日帝)의 식민지(植民地) 임지정책(林地政策)에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였는가를 밝혀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였다. 지적신고제도(地籍申告制度)는 국유림처분정책의 하나인 부분림제도(部分林制度)의 부속물로써 시작되었다. 인간의 기본권에 해당하는 소유권을 정립시키고자 하는 지적신고제도가 한국민의 관습을 무시하고 소유권구분기준도 마련되지 않은 채 우리하게 강행되었다. 한국민은 지적신고에 대해 임야세(林野稅)를 부과하기 위한 전조(前兆)로써 인식하거나 일본인이 한국의 토지를 수탈한다고 보았다. 이 제도에 따라 신고를 했던 계층은 중산층 이상의 지식층에 속하는 자, 나면관경(那面官更)(경원(更員)) 또는 이들의 친척(親戚), 연고자(緣故者)와 측량(測量)을 담당하는 대행업자(代行業者)들로 매우 한정되었다. 특히 임지가치에 비해 측량경비가 훨씬 많이 소요되었기 때문에 원소유자조차 신고할 수 없었다. 3년간의 신고기간동안 약 52만건 220만정보가 신고 되었으며 마지막 5개월 동안 신고가 집중되었다. 그러나 총독부는 신고기간을 연장하라는 한국민의 요구를 묵살한 채 소유권 사정이나 경계 확정과 같은 후속 조치도 없이 일방적으로 종료하였다. 결국 삼림법 제19조에 따라 신고되지 않은 약 1,400만정보의 임지는 국유화되었다. 총독부의 식민지 임지정책은 (1) 총독부 초기에 대규모 국유림을 창출하고, (2) 창출된 국유림을 요존국유림과 불요존국유림으로 구분하여, (3) 불요존국유림을 일본인 중심으로 처분한다는 것이었다. 일본인에게 불요존국유림(不要存國有林)을 안정적으로 처분하기 위해서는 대량 창출된 국유림에 대한 소유권 변화를 막아야 했다. 이를 위해 일본인에게 양여(讓與)하거나 조림대부(造林貸付)해 준 산림에 대해 원소유자가 소유권을 주장할 경우 총독부는 정해진 기한내에 신고하지 않은 원소유자의 태만을 들어 붙요존림 처분을 정당화하였다. 결론적으로 총독부는 "신고주의원칙"을 통치 초기 대규모 국유림의 창출과 일본인을 중심으로 한 불요존림 처분이라는 식민지 임지정책을 강행하기 위한 족쇄로써 이용하였다.

  • PDF

해방 후 재일조선 문학운동 -『조선 문예』와 『진달래』의 갈등을 중심으로- (Literature Movement of Koreans in Japan after Liberation -Focus on conflict between 『Joseon Literature』 and 『Jindalrae』)

  • 마경옥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15-223
    • /
    • 2020
  • 패전 이후 1950년대를 전후하여 일본에서는 서클문학운동이 전국에서 일어났고, 재일조선인 민족운동의 주체도 자신들의 정치적 권리와 주장을 문학운동과 연동하여 서클과 기관지를 통하여 생산·확장시켜왔다. 그러나 지금까지 재일조선인 민족운동의 정치적 주체와 문학서클 운동과의 교류, 갈등을 구체적인 사례로 분석 연구한 사례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조련과 민전의 정치적 역학관계로 탄생한 '오사카 시인집단' 기관지『진달래』와 노선전환에 따른 조총련의 '재일조선 문학회' 기관지『조선 문예』의 성립과정과 두 잡지의 교류, 갈등, 해산 과정 등을 비교분석하여 그 실체를 규명했다. 즉, 해방 후 재일조선인 문학자들이 갖고 있었던 탈식민지화로의 끝없는 고민과 대립, 모순과 갈등의 실체를 '공화국공민과 재일', '주제와 창작언어'등으로 분석하여 '조총련과의 갈등'으로 결국 해산에 이르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본고에서 파악된 1950년대 재일조선인들의 시대정신은 향후 재일조선인문학의 출발점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