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ng river region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4초

Climate Change Assessment on Air Temperature over Han River and Imjin River Watersheds in Korea

  • Jang, S.;Hwang, M.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740-741
    • /
    • 2015
  • the downscaled air temperature data over study region for the projected 2001 - 2099 period were then ensemble averaged, and the ensemble averages of 6 realizations were compared against the corresponding historical downscaled data for the 1961 - 2000 period in order to assess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air temperature over study region by graphical, spatial and statistical methods. In order to evaluate the seasonal trends under future climate change conditions, the simulated annual, annual DJF (December-January-February), and annual JJA (June-July-August) mean air temperature for 5 watersheds during historical and future periods were evaluated. From the results, it is clear that there is a rising trend in the projected air temperature and future air temperature would be warmer by about 3 degrees Celsius toward the end of 21st century if the ensemble projections of air temperature become true. Spatial comparison of 30-year average annual mean air temperature between historical period (1970 - 1999) and ensemble average of 6-realization shows that air temperature is warmer toward end of 21st century compared to historical period.

  • PDF

Spatial Estimation for Establishing Fireflies Habitat in Daegu City and Gyeongbuk Province

  • Lee, Do-Hun;Kim, Tae-Su;Kim, Jong-Yong;Park, In-Hwan;Jang, Gab-Su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5권1호
    • /
    • pp.61-6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natural habitat of Hotaria unmunsana Doi, which was first discovered at Mt. Unmun also represents a landscape indicator species for Daegu and Gyeongbuk provinces, and Luciola lateralis Motschulsky, which is the object of experiential activation at festivals in some cities in the region. The spatial range of this study is limited by Daegu City and Gyeongbuk province, and is used to predict the preference of firefly for altitude, slope, direction, shaded relief, riparian buffer zone, river environment, and farmland to analyze the area that best matches the habitat of fireflies. As a result, fireflies are highly influenced by altitude and there may be no large-scale habitats in some areas through the Nakdong and the Baekdu mountain ranges, which occur at high altitude. In most of the cities, we found major habitats around the streams and wetlands. By region, the sites were widely distributed around the cities focused on Nakdong River, and many habitats emerged around the Nakdong River tributary and gentle slopes. In order to preserve and spread the habitat of fireflies, the physical environment as well as their relationship with food chains and symbiotic organisms should be established, and excessive use of pesticides and herbicides in agricultural areas should be avoided.

Molecular profiling of 18S rRNA reveals seasonal variation and diversity of diatoms community in the Han River, South Korea

  • Muhammad, Buhari Lawan;Lee, Yeon-Su;Ki, Jang-Seu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46-56
    • /
    • 2021
  • Diatoms have been used in examining water quality and environmental change in freshwater systems. Here, we analyzed molecular profiling of seasonal diatoms in the Han River, Korea, using the hypervariable region of 18S V1-V3 rRNA and pyrosequencing. Physicochemical data, such as temperature, DO, pH, and nutrients showed the typical seasonal pattern in a temperate region. In addition, cell counts and chlorophyll-a, were recorded at high levels in spring compared to other seasons, due to the diatom bloom. Metagenomic analysis showed a seasonal variation in the phytoplankton community composition, with diatoms as the most frequently detected in spring (83.8%) and winter (69.7%). Overall, diatom genera such as Stephanodiscus, Navicula, Cyclotella, and Discostella were the most frequent in the samples. However, a large number of unknown Thalassiosirales diatoms were found in spring (35.5%) and winter (36.3%). Our molecular profiling revealed a high number of diatom taxa compared to morphological observation. This is the first study of diatoms in the Han River using molecular approaches, providing a valuable reference for future study on diatoms-basis environmental molecular monitoring and ecology.

사회적 영향에 의한 지명 변화의 원인과 과정 -전북 진안군 지명을 사례로- (Cause and Process of Place-Name Change by Social Influence : A Case Study of Jin-An Region)

  • 조성욱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526-54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영향에 의한 지명 변화의 사례로 전라북도 진안군 지역의 유교식 지명과 주줄산의 지명 대체 과정을 살펴봤다. 진안군의 주천면, 정천면, 안천면의 지명(면명)은 유교사회의 이상향에 부합하는 자연 조건과 유교 사회라는 사회적 조건의 결합에 의해서 형성되어, 기존의 지명을 대체한 사례이다. 이 지역의 지명은 유교 사회라는 사회적 상황과 이와 부합하는 자연 조건의 결합에 의한 의도적이고 상징적인 지명 형성으로 보인다. 처음에는 자연지명인 하천명으로 도입되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면명으로 채택되었다. 그리고 좁은 지역의 지형적 특징을 반영하는 일반적인 유연성 지명과는 달리, 유역 전체를 상징적 체계로 일관성 있게 지명을 부여했기 때문에 자연 조건보다는 사회적 영향이 더 큰 역할을 했다. 주줄산에서 운장산으로의 지명(산명) 대체는 자연 조건의 변화 없이 순수한 사회적 영향에 의한 지명 변화이다. 주줄산으로만 사용되었던 산명이, 운장산과 병립하여 사용되고, 운장산으로 완전히 대체되는 과정을 거쳤으며, 교체 시기는 1910년대이다. 주줄산보다는 운장산이 발음이나 한자의 난이도에서 장점이 있으며, 같은 산체인 구봉산이 근원이 되어 운장산이라는 산명이 등장했고, 일반적으로 거론되는 특정 인물(송익필)의 관련설은 운장산이라는 산명 교체를 합리화하는 과정에서 도입된 것으로 보인다.

  • PDF

기수역이 존재하는 섬진강의 어류군집 특성 (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y in the Seomjin River and Brackish Area)

  • 백승호;윤주덕;김정희;이혜진;최기룡;장민호
    • 환경생물
    • /
    • 제31권4호
    • /
    • pp.402-410
    • /
    • 2013
  • 본 연구는 하구둑이 설치되지 않은 섬진강의 어류군집 특성을 파악하고자 섬진강 본류 구간을 16지점으로 구분하여 2010년부터 2012년까지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7과 54종의 어류가 채집되었고 잉어과에 속하는 어류가 우점적으로 분포하였으며 피라미(Zacco platypus; Relative abundance, RA: 47.8%)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총 17종의 한국고유종(31.5%)이 채집되었으며 이는 한반도 담수어의 고유화 빈도인 22.5~25.9%와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다. 외래종의 상대풍부도(1.1%)는 낮게 나타났으나 문헌연구를 통한 비교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2002, 0.0%; 2009, 0.4%). 군집 분석 결과 해수의 영향을 받는 하류의 세 지점(St.1~St.3)은 다양도 및 균등도가 높게 나타났고, 반면 순수 담수역에 위치한 St.4~St.16에서는 피라미가 우점적으로 출현하여 전반적으로 우점도가 높게 나타났다. 섬진강에서 해수어, 주연어, 경제성 어종 및 다양도 지수가 낙동강, 영산강, 금강과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섬진강의 풍부한 어족자원과 안정된 어류 군집을 유지하기 위해 보존될 가치가 있으며, 이를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남한강수계 저수기 수질변동 특성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on Water Quality Variation Characteristics during Dry Season in Namhan River Drainage Basin)

  • 이형진;공동수;김상훈;신기식;박지형;김병익;김성미;장승현;천세억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89-896
    • /
    • 2007
  • From the direct outflow of Chungju Dam to the junction of water body and watershed in Paldang lake is the scope of this research. This study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ain cause of water quality deterioration and the influenced region in the middle field range of the Namhan river Basin with the onsite measurement of water quality and flow rate simultaneously during spring dry s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time-spatial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flow rate. Following the flow direction $BOD_5$ and $COD_{Mn}$ concentration increased to the highest value of 3.7 mg/L, 5.9 mg/L at Wolgesa respectively. Chl.a concentration increased to $50mg/m^3$ or so at Kangsang, after that it decreased to $37mg/m^3$ at the junction of Paldang lake. Organic matter concentration variation trend showed similar than that of Chl.a. Also $BOD_5$ concentration tendency was similar to Chl.a in every measuring sites except Paldang lake mixing zone. The major factors of water quality deterioration in Namhan river and Paldang lake during dry season were algal bloom and followed internal production. High phosphorus load from Dalcheon and Seom river caused dry season algal bloom and internal production in transitional zone which was stagnant area in downstream of Namhan river.

중국의 항만 물류집중화에 관한 연구 - 상하이항과 장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Harbor Logistics in China)

  • 이종원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87-195
    • /
    • 2007
  • 중국은 '중국의 아시아 비즈니스 중심화'라는 전략을 수립하고 항만 및 물류분야 인프라 구축 및 집중 개발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그 중점적인 개발 대상은 상하이항과 장강유역이다. 이러한 중국정부의 상하이항과 장강유역의 개발이 동북아시아의 물류집중화를 더욱 촉진시키고 있고, 또한 중화권의 해운항만이 더욱 활성화되는 기폭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대응전략으로 크게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중화물류권의 성장에 따른 우리선사들의 차별화된 서비스와 네트워크, 둘째, 장강 유역에서 화물 운송 서비스사업에 나서기 위해서는 중국 기업과 합작 투자, 셋째, 상하이항과 장강 개발에 따른 환황해권 해상교통망을 구축하는 것이다.

GIS을 활용한 낙동강 하구 해안의 일회용라이터 모니터링을 통한 발생지 추정 (Estimation of te origin through Disposable Lighters Monitoring of the nakdong River Esturary Using GIS)

  • 김영민;장선웅;윤홍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729-736
    • /
    • 2015
  • 본 연구는 표면에 사업자명과 전화번호가 인쇄되어 있는 일회용라이터를 수집하여 기원지를 추정하였다. 낙동강 하구 사주 해안 2곳(진우도, 신자도)과 거제도 해안 3곳(두모몽돌해수욕장, 흥남해수욕장, 여차몽돌해해수욕장)을 2012년 2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격월로 모니터링을 시행한 결과, 총 166개의 라이터를 수집하였다. 시기적으로 6월, 8월에 가장 많은 발생률을 보였으며, 연구지역에 유입된 일회용라이터의 기원지는 대부분 인구밀도가 높은 낙동강 유역 지역 및 연안지역이었다.

가덕수도 근해에서 물리적 현상과 해류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s of Physical Conditions and Currents in the Sea Near Gadeok-Sudo)

  • 장성태;전동철;신창웅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0권1호
    • /
    • pp.33-46
    • /
    • 2008
  • In order to investigate seasonal variations of the physical environments in the region of Jinhae Bay-Nakdongpo, we carried out hydrographic surveys from November 2000 to November 2001. Horizontal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salinity and temperature shows large seasonal variations. Water column is well mixed in winter and stratified in summer. Low-salinity water is distributed in the form of patches because of the drainage control at the Nakdong River. Seasonal variations in the sea near Gadeok-Sudo are affected by topography, river discharge and tidal current. Currents have been measured using a bottom mounted ADCP and DCM12 between November 2000 and August 2001 in the Gadeok-Sudo. The current in the Gadeok-Sudo shows a distinct two-layer structure with reversed current. Low-pass filtered time series of wind, sea elevation and current are coherent for the period of 1-2 days and are attributed to Ekman-like dynamics. Spatial and temporal circulation pattern shows a slight different. The subtidal current in Jinhae Bay goes northward, however is reversed in the Gadeok-Sudo mouth.

섬진강 중.상류 수계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in the Mid-Upper Region of the Seomjin River)

  • 장성현;류희성;이정호
    • 생태와환경
    • /
    • 제42권3호
    • /
    • pp.394-403
    • /
    • 2009
  • 본 연구는 섬진강 중 상류 수계의 어류상과 어류군집을 밝히기 위하여 2008년 8월부터 2009년 4월까지 총 15개 정점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1과 42종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이 중 잉어과(Cyprinidae) 어류가 28종이 채집되어 66.7%의 상대풍부도로 우점하였다. 총 42종의 어종 중 일차담수어는 40종, 주연성 담수어는 2종으로 일차담수어의 구성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우점종은 피라미 (Zacco platypus: 22.3%), 아우점종은 꺽지 (Coreoperca herzi: 10.8%)이었으며, 모래무지 (Pseudogobio esocinus: 9.0%)와 붕어 (Carassius auratus: 5.8%) 등도 높은 서식을 보였다. 한국고유종은 각시붕어(Rhodeus ocellatus)와 칼납자루(Acheilgnathus koreensis) 등 17종(40.5%)으로 고유종의 빈도가 매우 높았으며, 이 중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야생동물 II급 종인 임실납자루(Acheilgnathus somjinensis)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섬진강 중 상류 수계는 어류가 서식하기에 매우 적합한 수 환경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