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msil Weir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226초

한강 잠실수중보 계단식 어도의 어류소상기능 평가 (An Assessment of Ascending Functions of the Pool-and-Weir Fishway at Jamsil Weir in the Han River)

  • 박상덕;신승숙;안효윤;마수봉;황종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7호
    • /
    • pp.541-55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설치어도조사법을 적용하여 한강 하류부 잠실수중보의 회유성 어류 이동을 위해 설치된 계단식 어도에 대해 어류소상기능을 조사하고 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에 어도 출구에서 채집된 어도이용 소상어류는 체장이 29cm 이상인 강준치가 361개체로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그 강준치에 대한 소상능력은 최대 2.53${\times}$10^{-3}$ 개체/hr/g으로 나타났다. 잠실수중보의 계단식 어도는 한강에 서식하는 어류의 다양성을 만족시키기 어려운 형태일 뿐만 아니라 어도 출구의 월류격벽 낙차가 너무 크고 과도한 유량이 유입되기 때문에 유영력이 약한 어류가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어도는 유영력이 큰 강준치와 누치 이외의 다른 어류에 대해서는 소상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어도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어류가 이용할 수 있는 형식으로 어도 구조를 변경하고, 어도 시설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동보를 운영하여야 한다. 또한 고정보 전체의 상시 월류로 인해서 생기는 어도의 설치효과 저하에 대해서는 저수로 양안 측에 어도를 추가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강 본류에의 적용을 위한 FLDWAV 모형의 개선 (Enhancement of FLDWAV Model for Its Application to the Main Reach of the Han River)

  • 전경수;김진수;이상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2호
    • /
    • pp.135-146
    • /
    • 2007
  • 한강 본류의 잠실 및 신곡 수중보가 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적절히 모의할 수 있도록 FLDWAV 모형을 수정, 개선하였다. 고정보 측에서 발생하는 월류형 흐름에 대해서는 월류 유량 관계식을, 가동보 측에서의 하도형 흐름에 대해서는 Manning 형의 유량관계식을 각각 적용함으로써 복합적인 형태의 수중보 흐름을 모의하도록 하였다. 월류 유량식으로는 수중 위어형 및 자유 월류형 흐름에 대한 식들이 적용 가능하며, 가동보 개방시 또는 미개방시의 흐름을 모두 모의할 수 있다.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중보 지점에서의 다양한 조건에 대하여 계산을 수행한 결과, 각 경우에 대한 배수효과가 잘 모의되었다. $M_2$$S_2$, 2개 분조에 대한 합성 조위를 생성, 대조 및 소조시의 조위 조건을 하류단 경계조건으로 하여 과거 홍수사상에 대한 모의계산을 수행하였다. 홍수규모가 작을수록 대조 및 소조 시 계산유량의 차이가 커지고, 감조구간도 상류쪽으로 확장되는 경향이 명확히 나타났다. 평수시 흐름에 대한 모의기능을 검사한 결과, 수중보의 존재로 인한 수위의 불연속성이 잘 모의되었다.

한강하류부 신곡수중보의 수리학적 영향분석 (Analysis of Hydraulic Effects of Singok Submerged Weir in the Lower Han River)

  • 김상호;김원;이을래;최규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5호
    • /
    • pp.401-41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한강 하류부에 위치한 신곡수중보의 수리학적인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차원 수리학적 홍수추적모형을 이용하였으며, 과거 8개 홍수기 및 비홍수기 사상에 대해 모형의 보정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팔당댐에서의 다양한 방류조건과 서해안의 조위조건을 이용하여 흐름특성을 분석하였다. 신곡수중보의 설치로 인한 수위상승 효과는 최대 만조위가 2.4m일 때 잠실수중보 직하류부에서 최고 수위는 약 0.65m, 최저 수위는 약 1.25m 정도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차의 감소는 한강대교에서 최대 만조위가 2.4m일 때 조차가 0.07m로 나타나 약 $90\%$ 의 조차감소율을 나타내었으며, 최대 만조위가 5.5m일 때 조차는 1.6m로 약 $35\%$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한강대교 지점의 경우 팔당댐 방류량이 20,000cms 이상이 되면 약 0.06m 이하의 조차가 나타나 조석의 영향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등류해석을 이용한 QUAL2E 모형의 개선 (Improvement of QUAL2E Model using Nonuniform Flow Analysis)

  • 김상호;최현상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1144-1150
    • /
    • 2006
  • Recently, as water pollution accidents in rivers have increased, there is an increased interest in water quality forecast with accurate simulation. QUAL2E model, widely used for water quality analysis, uses the same hydraulic characteristics, such as depth and velocity, in a reach. The flow of the river is changed by various hydraulic constructions or by topography in a real river channel. In this study, a hydraulic connection module is developed to consider flow variations of river channels in QUAL2E model. The module uses the simulations results of non-uniform flow of a 1-D hydraulic model such as DWOPER or HEC-RAS. The improved QUAL2E model with this module was applied to a downstream section of Paldang Dam on the Han River. The results show the variation of water quality very well in a reach where flowing vary abruptly, like the Jamsil submerged weir.

Determination of Design Flood Levels for the Tidal Reach of the Han River

  • Jun, Kyungsoo;Li, Li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173-173
    • /
    • 2015
  • The flood water level in tidal river is determined by the joint effects of flood discharge and tidal water levels at downstream boundary. Due to the variable tidal boundary conditions, the evaluated design water levels associated with a certain flood event can be significantly different. To avoid determining of design water levels just by a certain tidal boundary condition and remove the influence of variability in boundary condition from the evaluation of design water levels, a probabilistic approach is considered in this study.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a method to evaluate the realistic design water levels in tidal river with taking into account the combined effects of river discharge and tidal level. The flood water levels are described by the joint probability of two driving forces, river discharge and tidal water levels. The developed method is applied to determine design water levels for the tidal reach of the Han River. An unsteady flow model is used to simulate the flow in the reach. To determine design water levels associated with a certain flood event, first, possible boundary conditions are obtained by sampling starting times of tidal level time series; then for each tidal boundary condition, corresponding peak water levels along the channel are computed; and finally, design water levels are determined by computing the expectations of the peak water levels. Two types of tides which are composed by different constituents are assumed (one is composed by $M_2$, and the other one is composed by $M_2$ and $M_2$) at downstream boundary, and two flood events with different maximum flood discharges are considered in this study. It is found that (a) the computed design water levels with two assumed tides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a certain flood event, though variability of peak water levels due to the tidal effect is considerably different; (b) tidal effect can reach to the Jamsil submerged weir and the effect is obvious in the downstream reach of the Singok submerged weir; (c) in the tidally affected reach, the variability of peak water levels due to the tidal effect is greater if the maximum flood discharge is smaller.

  • PDF

한강 하류부 흐름해석을 위한 수리학적 모형의 구축 (Establishment of Hydraulic Model for flow Analysis of the Lower Han River)

  • 김상호;김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5권5호
    • /
    • pp.485-500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한강 하류부 및 임진강에서 하천구조물, 조위, 주요 지류 등으로 인해 복잡하게 형성되는 흐름을 해석하기 위한 수리학적 홍수추적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를 위해 하천측량 자료를 모형에서 자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DWOPER-2K 모형을 개발하였다. 감조지역에서 이루어진 실측 조위자료와 최근의 하천측량성과를 이용하여 모형을 구축하였고 잠실수중보와 신곡수중보에서 발생하는 흐름을 효과적 모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하천구간별 유량규모별로 조도계수를 최적화시켰다. 개발된 모형의 검증결과 한강 및 임진강 하류부에서 복잡하게 발생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홍수예경보 정확도 향상, 하천관리 등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열오염 혼합 거동 해석을 위한 수평 2차원 유한요소모형 (Horizontal 2-D Finite Element Model for Analysis of Mixing Transport of Heat Pollutant)

  • 서일원;최황정;송창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6B호
    • /
    • pp.507-51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하천에 유입되는 열 오염물질의 혼합거동을 분석하기 위해 2차원 수심 평균된 이송-분산방정식에 유한요소법을 적용하여 수치 모형을 개발하였다. 유한요소법의 여러 수치기법 중 SUPG법을 적용하였으며, 복잡한 하천경계를 보다 정확히 재현할 수 있도록 삼각 및 사각 요소망의 혼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열 오염물질의 거동을 표현하기 위해서 열 교환을 묘사하는 반응항을 평형온도와 수온과의 차이에 비례하는 식으로 나타내고, 열교환 계수 및 평형온도에 따라 수온의 변화가 적용되도록 방정식을 구성하였다. 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직사각형 수로에 선원으로 연속주입하여 얻은 수치해와 1차원 정상상태의 해석해를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수치해와 해석해의 결과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모형의 현장적용을 위해 상수원 보호구역인 팔당댐 하류부터 잠실수중보까지 22.5 km 구간을 대상영역으로 하였다. 구리하수처리장 방류수에 의한 수온 변화를 모의한 결과 수질측정망 측정자료와 비교적 비슷한 경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치모형이 열 오염원 유입으로 인한 수온 변화를 잘 표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천에 순간적으로 유입된 오염물질의 플러싱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Flushing Effects for Instantaneous Contaminants Input into River)

  • 정재욱;김수열;김진영;윤세의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43-5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갈수시 하천에 순간적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에 대해 댐방류량 변화에 따른 플러싱 효과를 분석하였다. 한강하류부(잠실수중보${\sim}$신곡수중보)에 RMA-2 및 RMA-4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유로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종확산계수는 $50m^2/s$을 사용하였다. 댐방류량은 1시간동안 $500m^3/s,\;1000m^3/s,\;1500m^3/s,\;2000m^3/s$로 변화시켰으며, 갈수시 유량은 $200m^3/s$로 고정하였다. 정체되어 있는 경우와 순간적으로 유입되는 경우, 성산대교 부근에서 농도가 1ppm 이하로 떨어지는 시간을 각 유량별로 분석하였다. 댐방류량이 증가할수록 희석시간이 단축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댐방류량과 희석시간이 선형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순간적으로 유입된 오염물질이 정체된 오염물질의 경우보다 댐방류량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으며, 댐방류량에 의한 플러싱을 시도할 경우에는 본류의 오염물질이 지류로 역류하는 범위를 파악할 수 있었다.

3차원 수리모델을 이용한 한강 상수원구간 지류영향 분석 및 수질오염사고 시나리오 모의 (Impact Analysis of Tributaries and Simulation of Water Pollution Accident Scenarios in the Water Source Section of Han River Using 3-D Hydrodynamic Model)

  • 김은정;박창민;나미정;박현;김복순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63-374
    • /
    • 2018
  • The Han River serves as an important water resource for the city of Seoul, Korea and in the neighboring metropolitan areas. From the Paldang dam to the Jamsil submerged weir, the 4 water intake stations that are located for the Seoul metropolitan population were under review in this study. Therefore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in this section is very important to monitor, analyze and review to rule out any safety concerns. In this study, a 3-D hydrodynamic model, EFDC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was applied to the downstream of the Paldang Dam in the Han River, which is about 23 km in length, to determine issues related to water resource management. The 3-D grid was composed of 2,168 horizontal grids and three vertical layers. In this case, the hydrodynamic model was calibrated and verified with an observed average daily water surface elevation, water temperature and flow rate data for 3 years (2013~2015). The developed EFDC model proved to reproduce the hydrodynamics of the Han River well. The composition ratios of the noted incoming flows at the monitored intake stations for 3 years and their flow patterns in the river were analyzed using the validated model. It was found that the flow of the Wangsuk Stream depended on the Paldnag dam discharge, and it was noted that the composition ratios of the stream at the intake stations changed accordingly. In a word, the Wangsuk Stream moved mainly along the right bank of the Han River under the condition of a normal dam flow. As can be seen, when the dam discharge rate was low, the incidence of lateral mixing was often seen. The scenario analyses were also conducted to predict the transport of conservative pollutants as in the case of a chemical spill accident. Generally speaking, when scenarios were applied, the arrival time and concentration of pollutants at each intake station was thus predi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