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H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1초

누에 체액의 유약호르몬 결합단자질(Juvenile hormone hinding protein)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Juvenile Hormone Binding Protein in the Hemolymph of the Silkworm Larva, Bombyx mori.)

  • 손흥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5-32
    • /
    • 1988
  • 누에 유충에 있어서 체액 JH 결합단자질(JHBP)의 생리적 역할을 알기 위하여, 체액 중의 JH 1과 결합하는 단자질을 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으로 분리하고, 또 발육에 따른 JH 결합단자질의 활성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누에 체액중에서 JH 1과 결합하는 단자질은 JH 결합지질단자질(JH-LP)과 Jh 결합단자질(JHBP) 등 JH결합단자질의 Rm은 0.81∼0.33이었고, JH 결합단자질의 Rm은 0.81∼0.84이었다. 두 단자질의 Rm은 성별, 발육시기에 관계없이 일정하였다. 2. 체액단자질의 함량은 발육의 진행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토사기에 가장 높았으며 전용기에 다소 감소하였고 암컷의 함량은 숫컷보다 높았다. 3. 체액 ml 당 JH 결합단자질의 활성은 영의 초기에 낮았고 토사기에 최대로 나타난 후 전용기에 다소 감소하였다. 4. 체액 ml 당 JH 결합단자질의 활성 변화는 체액단자질의 함량의 변화양상과 매우 유사하였다. 5. 체액단자질 mg 당 JH 결합단자질의 활성은 영의 초기에 높았고 5령 6일에서 전용기까지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 PDF

배추흰나비(Pieris rapae L.)의 휴면 유도 및 타파에 대한 호르몬의 조절 (Hormonal Control of Induction and Termination of Diapause in Pieris rapae L.)

  • 박기돈;김학열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8
    • /
    • 1989
  • Pieris rapae의 휴면 유도 및 타파기작을 알아보기 위하여 비휴면기 유충과 휴면중인 번데기에 20-HE과 JH을 처리하여 변화를 관찰하는 한편, 체내의 각 호르몬의 농도도 측정하여 보았다. 비휴면기의 종령유충초기에 20-HE과 JH을 주입한 결과 어느 경우에도 휴면이 유도되지 않았다. Pre-diapausing 종령 유충에서는 20-HE 농도가 매우 낮았으며, 비휴면기용 2일의 20-HE peak가 휴면기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JH-I의 농도는 두 시기에 있어 뚜려한 차이가 없었다. 휴면중인 번데기의 초기와 말기에 20-HE, JH-I, JH-III을 주입한 결과 0.1-0.5 $\mu$g의 20-HE에 의해 휴면이 타파되었으나, JH-I과 JH-III에 의한 휴면 타파는 일어나지 않았다. 위의 결과로 배추흰나비의 휴면은 20-HE 농도가 저하됨으로 인해 유도되며, 휴면이 진행되는 동안 20-HE 농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휴면이 타파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경북 북부지역의 양잠산업에 피해를 주고 있는 누에(Bombyx mori) 미화용 기작에 관한 연구 (A Possible Mechanism Related with Non-spinning Syndrome of Bombyx mori that Intimidates the Sericultural Industry in Northern Kyungbuk)

  • 김용균;배상기;이선영;지동진;김진;홍용표;김길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43-153
    • /
    • 2004
  • 경북 북부지역의 양잠농가에 피해를 주고 있는 누에(Bombyxmnri)의 미화용 유발 문제에 대한 원인과 기작을 밝혀내는 데, 이 연구의 궁극적 목적을 두었다. 일반 사육환경에서 나타날 수 있는 발육온도(20, 25, 3$0^{\circ}C$)와 최종령 초기 유충 체중 변이(412.6-1,616.0 mg)는 누에의 용화 결정에 영향을 주지 많았다 한편 유약호르몬(juvenile hormone:計I)동력제인 피리프록시팬(pyriproxyfen)은 10-s M의 낮은 농도에서도 난포세포 개방화를 유도하여, 이 약제가 누에에서도 동력제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피리프록시펜은 약제 농도 및 처리 시기별로 특이하게 누에 미화용 유발 효과를 보였다. 피리프록시펜은 JH 에스테라제(JH esterase: JHE)를 직접적으로 억제하지 못하고, 오히려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JH 결합단백질(JH binding protein:JHBP)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피리프록시펜은 체내에 JH 동력제로 작용하면서 JHE 유전자 활성을 제고시켰지만, JHE활성 증가에 따른 체내 JH함량이 줄어듬에 따라 JHBP의 유전자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양잠농가 주변으로 살포 가능성이 있는 농약을 대상으로 난포세포 개방화 분석을 실시 한 결과, 제초제 3종(simazine, molinate, alachlor)이 JH 동력제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누에 미화용 원인체 규명을 위해서 이들에 대한 직접 노출 시험이 요구된다.

Gluconacetobacter sp. JH232의 Bacterial Cellulose 생성 특성연구 (Characterization of Bacterial Cellulose Production by Gluconacetobacter sp. JH232.)

  • 안영희;박재효;고상희;전홍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1호
    • /
    • pp.1582-1586
    • /
    • 2007
  • 균주 JH232가 생성한 bacterial cellulose (BC)는 이온교환 막 생산을 위한 환경친화적 재료로서 잠재능이 있다는 것이 전 연구(J. of Chem. Technol. Biotechnol. 2004, 79, 79-84)를 통해 보고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JH232를 동정하였으며 BC 생성 특성을 조사하였다. 16S rRNA 유전자의 비교분석을 통해 JH232는 Gluconacetobacter sp.인 것을 밝혀냈다. 플라스크실험 결과 이 균주는 초기 pH 5.5로 조절된 CSL 배지에서 온도가 $30^{\circ}C$인 조건하에 배양하였을 때 BC 생성량이 최대를 나타내었다. 발효조 실험을 통해서 회분식 배양보다 유가배양에 의해 JH232의 BC 생성량이 1.56배 더 높게 나타났다.

Agarase를 생산하는 Pseudoalteromonas sp. JH-1의 분리·동정 및 agarase의 특성 연구 (Isolation of a Pseudoalteromonas sp. JH-1 Producing Agarase and Characterization of its Agarase)

  • 이동근;김주희;이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96-50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해양 한천 분해 세균인 Pseudoalteromonas sp. JH-1을 분리하여 그 성장과 agarase 특성을 조사하였다. 부산 기장군 용궁사 앞바다에서 해수를 채취하여 Marine agar media로 한천 분해 세균을 분리하여 배양하였다. 순수하게 분리된 박테리아는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Pseudoalteromonas sp. JH-1로 명명하였다. 세포외 분비 효소를 Pseudoalteromonas sp. JH-1의 배양 배지에서 얻었으며 agarase의 특성 파악에 사용하였다. Agarase는 50℃와 pH 6.0의 20 mM Tris-HCl 완충액에서 116.6 U/l의 최대 활성을 보였다. 20, 30, 40, 50, 60, 70℃에서 상대활성은 각각 31, 60, 94, 100, 45 및 31%였다. pH 4, 5, 6, 7, 8, 9에서 상대활성은 각각 49, 85, 100, 87, 81 및 67%였다. Agarase는 20, 30, 40℃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 후 85% 이상의 잔류 활성을 보였고, 50℃에서 2시간 동안 노출 후에도 82% 이상의 잔류 활성을 보였다. Zymogram 분석으로 Pseudoalteromonas sp. JH-1이 55 및 97 kDa의 agarase를 생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Agarase는 두 가지 종류가 있고 한천을 기질로 α-agarase 또는 β-agarase가 작용하여 만들어지는 한천올리고당과 네오한천올리고당은 항산화, 항종양, 피부 미백, 대식세포 활성화 및 prebiotics 효과가 있으므로 Pseudoalteromonas sp. JH-1와 그의 agarase에 대한 연구는 의미가 있을 것이다.

기수산 물벼룩의 유충 호르몬(Juvenile hormone) 신호전달경로 관련 유전자의 특성 분석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juvenile hormone signaling pathway-related genes in the brackish water flea Diaphanosoma celebensis)

  • 조하영;유제원;이영미
    • 환경생물
    • /
    • 제40권3호
    • /
    • pp.255-266
    • /
    • 2022
  • 갑각류에서 탈피는 ecdysteroid와 juvenile hormone (JH) 신호 경로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상호작용에 의해 조절된다. Ecdysteroid와 달리, 탈피 과정에서 JH 신호 경로 유전자의 역할은 부유성 갑각류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기수산 물벼룩(Diaphanosoma celebensis)의 JH 신호경로에서 JH 합성, 수용체, 분해 등에 관여하는 3종의 유전자(JHAMT, Met, JHEH)의 염기서열 분석과 계통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탈피 주기에서 이들 유전자의 mRNA 발현양상을 분석하였다. D. celebensis의 JH 관련 유전자는 잘 보존된 domain을 가지고 있었으며, 아미노산 서열 분석과 계통 분석 결과는 이들 단백질이 곤충 및 다른 갑각류의 해당 단백질과 기능적으로 유사한 특징을 나타낸다. 또한 탈피 주기에 따른 유충 호르몬( JH) 신호전달경로 관련 유전자의 발현변화 결과를 통해 이들 유전자가 JH의 합성 및 분해에 관여함으로써 D. celebensis에서 성공적인 탈피에 기여할 것임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지각류에서 탈피 주기에서 JH 경로 유전자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담수식물 뿌리로부터 세균의 분리 (Isolation of Bacteria from Freshwater Plant Roots)

  • 김영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525-530
    • /
    • 1999
  • Th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teria from freshwater plant root system were performed. Twenty four different strains were identified by microbiological identification system. Gram negative bacteria were isolated three times more than Gram positive ones. The ratio of rod and coccus was 11:1. The similarity above 0.5 was 37.5% from the tested samples in identification. Among these isolated bacteria, three dominant strains Pseudomonas cepacia JH10, Xanthomonas maltophilia JH12, Aeromonas salmonicida JH13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biochemical properties and optimal growth conditions. These strains reached maximum growth after 24-36 hr of incubation in peptone broth, and their optimal temperature was 28$^{\circ}C$ and that of pH was between 7 and 8.

  • PDF

곤충의 호르몬과 작용 (Insect Hormones and Their Actions)

  • 부경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55-196
    • /
    • 2001
  • Basically insect hormones include ecdysteroids (molting hormone), juvenile hormones, and neurohormones comprising neuropeptides and biogenic amines. This article reviewed their chemical structures and biological functions. The active molting hormone is 20-hydroxyecdysone in most insects but makisterone A in some other insects including the honey bee and several phytophagous hemipterans. Most insects use JH III, but lepidopterans JH I and II. Dipterans also use a different JH, so-called JH $B_3$(JH III bisepoxide) and we still do not know the exact chemical structure of JH utilized in hemipterans. Some other insects use methyl farnesoate or hydroxylated JH III analogues as their juvenile hormone. Most diverse pictures can be found in neurohormones (NH), especially in neuropeptides, in terms of their number and structure. There are more than 200 neuropeptides (NP), classified into more than 30 families, which structures have been identified, and more of them are expected to be reported in the near future, partly due to rapid development in molecular biological techniques and in analytical techniques. More than half of them are involved in controlling activity of visceral muscles. But function (s) of many NPs are not clarified yet, even though their amino acid sequences have been identified. It is partly due to the fact that a single NP may have multiple functions. Another interesting point is their gene structure, having many number of independent, active peptides in one gene, apparently working for similar or totally different functions. NH also includes amines, such as octopamine, dopamine, serotonin, etc. From now on, investigation will be concentrated on identifying their function (s) and receptors, and on possibilities of their utilization as control agents against pest insects.

  • PDF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Protease를 생산하는 B. amyloliquefaciens JH-35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otease Producing B. amyloliquefaciens JH-35 from Food Waste)

  • 유재홍;주진호;김성국;장인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94-301
    • /
    • 2016
  • BACKGROUND: Recent studies have described the importance of microbes and enzymes that can compost food wast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mprove production of protease of isolated microbes from food waste. METHODS AND RESULTS: Seven bacteria isolated from various sources were screened for protease production by adding skim milk into the agar medium. About 7 microbes producing protease were tested, and strain JH-35 showed the highest protease activity among them. The strain was identified as Bacillus amyloliquefaciens JH-35 based on morphological, cultural,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16S rRNA. In the fermentation experiment, the assay B. amyloliquefaciens JH-35 showed the highest protease activity in the condition of 1% glucose, 1.5% yeast extract and 0.2%$ K_2HPO_4$. The optimal condition of culture with temperature $35^{\circ}C$, initial pH of 7 and shaking speed of 200 rpm and 24 hr. CONCLUSION: The protease of the B. amyloliquefaciens JH-35 had its activity at pH 7 and the optimal culture time was 24 hr. Also, B. amyloliquefaciens JH-35 was high salt tolerance. Our results suggest that B. amyloliquefaciens JH-35 from food waste may have the potential to degrade protein and carbohydrate in food waste.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ethal Mutation near the unc-29 (LG I) Region of Caenorhabditis elegans

  • 이진숙;안주홍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2권1호
    • /
    • pp.123-131
    • /
    • 1998
  • The unc-29 region on the chromosome I of Caenorhabditis elegans has been mutagenized in order to obtain lethal mutations. In this screen, the uncoordinated phenotype of unc-29 (e193) mutant was used to identify any lethal mutations closely linked to the unc-29 gene, which encodes a subunit of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s. We have isolated six independent mutations (jh1 to jh6) out of approximately 5,200 ethyl methanesulfonate(EMS) treated haploids. Four of the six mutations demonstrated embryonic lethal phenotypes, while the other two showed embryonic and larval lethal phenotypes. Terminal phenotypes observed in two mutations (jh1 and jh2) indicated developmental defects specific to posterior part of embryos which appeared similar to the phenotypes observed in nob (no back end) mutants. Another mutation (jh4) resulted in an interesting phenotype of body-wall muscle degeneration at larval stage. These mutations were mapped by using three-factor crosses and deficiency mutants in this region. Here we report genetic analysis and characterization of these lethal muta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