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xeris dentata root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1초

열처리에 따른 씀바귀 침출차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ea Thermally Processed from Dried Ixeris dentata Root)

  • 이가순;김관후;김현호;김은수;박혜민;오만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24-531
    • /
    • 2008
  • 씀바귀뿌리를 이용하여 침출차를 제조하고자 건조온도 및 처리조건을 달리하여 유리당, 유기산, cynaroside 및 총폴리페놀성물질 함량, 유리아미노산, 색도 및 관능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총유리당, 유기산, 유리아미노산 및 cynaroside 의 함량은 천일건조한 것이 가장 높았으며 총폴리페놀성 함량은 열풍건조 후 볶음 처리한 것이 가장 높았다. 건조한 씀바귀뿌리의 유리당 중 sucrose, glucose, fructose 및 galactose는 열풍건조에 의하여 감소하였고 천일건조 시 검출되지 않았던 maltose가 열풍건조에 정량되었으며 증숙 후 열풍건조 시 1.67%의 높은 함량을 보여주었다. 씀바귀뿌리 내에 함유되어있는 유리아미노산함량 중 arginine이 669.2 mg%으로 가장 높았고 뒤이어 serine이 379.9 mg%으로 높은 함량을 보여주었다. 씀바귀뿌리 건조분말의 색도는 열풍건조 후 볶음처리를 한 것이 밝기, 적색도 및 황색도 모두 가장 높았으나 열수침출 후의 색도는 적색도와 황색도는 타처리구에 비하여 가장 높았지만 밝기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씀바귀뿌리를 이용한 침출차의 관능검사결과 열풍건조 후 볶음처리한 처리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열처리 가공조건에 따른 씀바귀 침출차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Tea Thermally Processed from Ixeris dentata Root)

  • 이가순;김관후;김현호;김은수;박혜민;오만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96-501
    • /
    • 2009
  • 씀바귀뿌리를 이용하여 침출차를 제조하고자 건조온도 및 처리조건을 달리하여 생리활성을 검토하였다. 각각의 씀바귀뿌리 침출차의 침출액에 대한 생리활성을 측정한 결과, 전자공여능은 증숙처리 후 열풍건조한 것이 98%로 가장 높았고 뒤이어 천일건조>열풍건조 후 볶음처리>열풍건조의 순으로 높았으며, 침출액의 SOD유사활성은 열풍건조 후 볶음 처리한 씀바귀뿌리 추출물에서 $35.61{\pm}0.67%$의 활성을 보였다. ACE저해활성은 천일건조한 것이 44.60%로 가장 저해활성이 가장 높았고, 증숙 처리 후 열풍건조한 처리구가 가장 낮아 28.89%의 저해활성을 보였고, tyrosinase 저해활성은 천일건조한 것이 44.61%로 가장 높았고 열풍건조>열풍건조 후 볶음처리>증숙처리 후 열풍건조의 순으로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아질산염 소거능은 pH가 낮을수록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열풍건조 후 볶음처리를 한 씀바귀뿌리 침출차의 침출액이 모든 pH 구간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을 볼 수 있었다.

Analysis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carotenoids and phenolic compounds contents of Ixeris dentata

  • Jin, Mei Lan;Lee, Sang Hoon;Park, Yun Ji;Yoon, Jeong Su;Lee, Sang Won;Hur, Mok;Koo, Sung Cheol;Lee, Woo Moon;Park, Chun Geun;Park, Sang Un;Kim, Jae Kwang;Chang, Jae Ki;Kim, Yeon Bok
    • 농업과학연구
    • /
    • 제46권1호
    • /
    • pp.163-172
    • /
    • 2019
  • Ixeris dentata is a perennial plant belongs to Compositae family and it has been considered as a potential therapeutic agent in many biological activities like detoxification, elimination of blood stasis,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a. The I. dentata used in this experiment was collected in four areas of Yangpyeong, Dangjin, Chuncheon and Goesan, then transplanted to the farm of Department of Herbal Crop Research i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I. dentata were investigated after harvesting. The aboveground biomass of plants collected from Chuncheon area was exhibited best, and the biomass of root in YangPyeong was showed best as 3.65 g/plant in dry weight. Based on the HPLC analysis, the leaf of I. dentata collected from Dangjin area was highest in carotenoids contents ($1,213{\mu}g/g$ dry weight), and the leaf of Chuncheon area was exhibited maximal phenolic compounds ($1,918{\mu}g/g$ dry weigh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provide fundamental formation for selection of standard varieties of I. dentata and development of functional material by analysis of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the contents of carotenoids and phenolic compounds.

씀바귀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성, 항돌연변이원성 및 항암활성 효과 (Effect of Antioxidant, Antimutagenicity and Anticancer of Root Extract from Ixeris dentata Nakai)

  • 김명조;김주성;정동명;함승시;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22-229
    • /
    • 2002
  • 씀바귀 뿌리 추출물 및 분획물에 대한 DPPH free radical 소거법에 의한 항산화활성을 검색한 결과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RC_{50}=12{\mu}g/ml)$이 대조구인 BHA$(RC_{50}=14{\mu}g/ml)$${\alpha}-tocopherol(RC_{50}=12{\mu}g/ml)$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미생물 활성을 측정한 결과 곰팡이 균주에 대해서는 물 분획물이 대체적으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Hypocrea nigricans에서는 대조구인 Cyclohexamide$(13{\mu}g/ml)$보다 우수한 활성$(8{\mu}g/ml)$을 나타냈으며, Cladosporium herbarum에서는 부탄올 분획물$(8{\mu}g/ml)$과 메탄올 추출물$(16{\mu}g/ml)$에서 대조구$(25{\mu}g/ml)$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세균 균주중 Bacillus subtilis 균주에 대해서는 물층 분획물$(32{\mu}g/ml)$과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125{\mu}g/ml)$이 우수하였으며, Candida lypolytica 균주에 대해서는 핵산 분획물 $(32{\mu}g/ml)$과 물충 분획물$(63{\mu}g/ml)$이 우수하였고, Escherichia coli 균주에 대해서는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125{\mu}g/ml)$과 메탄올 추출물$(250{\mu}g/ml)$이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돌연변이원성 억제작용을 검토하기 위하여 Ames test 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내며, 물질 그 자체로서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직접 변이원물질로 MNNG와 4NQO 그리고 대사활성을 필요로 하는 간접 변이원 물질인 B(a)P을 사용하여 각각의 농도에 따른 돌연변이원성 억제활성 결과 MNNG$(0.4{\mu}g/plate)$의 경우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서 시료농도 $(100{\mu}g/plate)$에서 메탄올 추출물이 79.94%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4NQO$(0.15{\mu}g/plate)$에 대한 S. typhimurium TA98 균주에서 메탄올 추출물이 89.99%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TA100 균주의 경우에서도 메탄올 추출물에서 84.56% 로 가장 높은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B(a)P$(10{\mu}g/plate)$에서는 TA98 균주에서 $(100{\mu}g/plate)$의 시료농도에서는 부탄올 분획물이 89.92%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TA100 균주에서는 메탄올 추출물이 77.47%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암세포주(A549, Hep3B, MCF-7)에 대한 씀바귀 뿌리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 페암세포주인 A549세포에서는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250{\mu}g/ml)$이 91.67%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간암세포주인 Hep3B에서는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 $(500{\mu}g/ml)$이 75.01%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유방암 세포주인 MCF-7에서도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500{\mu}g/ml)$이 84%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다. 정상 간세포주인 293에 대하여 시료농도에 따른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500{\mu}g/ml)$ 시료 첨가시 암세포에 대하여 대부분 50% 전후(물 분획물 제외)의 억제율을 보이는데 반해 293세포에 대해서는 29% 이하의 생육억제율을 보였다. 이는 암세포주에 대한 높은 억제효과에 비해 정상세포에 대해서는 비교적 낮은 독성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Effects of Ixeris dentata Extracts on the Genotoxicity Induced by Gamma Irradiation in Rats

  • Kim, Jin Kyu;Woo, Hyun Jung;Kim, Ji Hyang;Yoon, Yang Dal
    • 환경생물
    • /
    • 제22권4호
    • /
    • pp.543-549
    • /
    • 2004
  • Ixeris dentata is a typical oriental herb. It is a widely distributed perennial in Korea, Japan and China, which belongs to the Compositae Family. The whole plant of I. dentata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pneumonia, contusion, tumor and hepatitis. It has also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allergic diseases as a folk therapy in Korea. I. dentata is known to have aliphatics, triterpenoids and sesquiterpene glycosides in its composition.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protective effect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I. dentata on irradiated rodents. For oral administration (twice per day), the extractive powder of I. dentata and the positive control (ascorbic acid) were dissolved at a concentration of 0.5 and 250mg $ml^{-1}$ in saline, respectively. Thirty days after irradiation, the ratio of the weight of the testis to the body weight was lower than 50% in the radiation groups than the control group. The ALP concentrations in the group treated with the water-extracts of the leaf were $79.68\pm{1.39%}$ (p<0.05) of those of the radiation control. Both of the SGOT and SGPT in the group treated with the ethanol-extract of the root were $72.68\pm{0.95}\;and\;77.87\pm{5.74}$ (p<0.05) of those of the radiation control, respectively. The levels of DNA damage induced by gamma radiation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the extracts of I. dentata were administered before irradiation.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xtracts of I. dentata have an excellent ability to reduce the radicals and they have a protective effect on DNA breakage caused by radiation.

흰씀바귀 (고채(苦菜), Ixeris dentata var. albiflora Nakai)뿌리의 성분 분석과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 및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The Composition of the Root of Ixeris dentata var. albiflora Nakai. and Cell Viability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its Extract)

  • 홍슬기;정동명;김기영;황은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2호
    • /
    • pp.105-113
    • /
    • 2010
  • 천연 생리활성 물질로서의 흰씀바귀 뿌리의 특성을 검색하고자 성분분석, 세포 생존율, DPPH 라디칼 소거능을 검색하였다. 흰씀바귀 뿌리의 수분은 79.14%이었고 냉동건조시료 100g 당 조회분 2.49 g, 조지방 2.56 g, 조단백 8.28 g, 칼륨 216.95 mg, 인 89.15 mg이었고, 유리당은 glucose, sucrose 및 fructose으로 확인되었으며, 총 페놀 함량은 59.82 mg/100 g이었다. 지방산은 linoleic acid가 41.24%로 가장 많았고, 흰씀바귀 뿌리에서 확인된 아미노산은 총 17종으로 28.12 mg/g을 함유하였으며, 주요 아미노산 함량은 glutamic acid, arginine, aspartic acid 순으로 각각 5.54 mg/g, 5.03 mg/g, 2.96 mg/g이었다. 신장세포주인 Vero cell에서 메탄올 추출물과 각 분획별로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흰씀바귀 뿌리 메탄올 추출물과 부탄올 분획물, 물 추출물에서는 높은 세포 생존율로 독성이 거의 없었고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100\;{\mu}g/mL$ 이상의 농도에서 낮은 세포 생존율을 보여 신장 세포의 독성이 관찰되었다. 특히 부탄올 분획물에서는 높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 신장 세포의 성장과 증식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간 세포주인 chang cell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흰씀바귀 뿌리 메탄올 추출물과 극성이 다른 5가지 용매,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로 계통분획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흰씀바귀 뿌리 메탄올 추출물 및 5가지 분획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4,000{\sim}0.12\;{\mu}g/mL$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고, 50% 소거능 (${\mu}g/mL$)에 대해 에틸아세테이트 < 부탄올 < 클로로포름 < 헥산 분획물 < 메탄올 < 물 추출물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흰씀바귀 뿌리의 성분과 추출물 및 분획물의 세포 생존율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이 검토하였고 흰씀바귀에 대한 여러 다른 연구물들을 바탕으로 흰씀바귀가 건강기능성 식품의 신소재로 활용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Cytotoxic and ACAT-inhibitory Sesquiterpene Lactones from the Root of Ixeris dentata forma albiflora

  • Ahn, Eun-Mi;Bang, Myun-Ho;Song, Myoung-Chong;Park, Mi-Hyun;Kim, Hwa-Young;Kwon, Byoung-Mog;Baek, Nam-I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9권11호
    • /
    • pp.937-941
    • /
    • 2006
  • Ixeris dentata forma albiflora was extracted with 80% aqueous MeOH, and the concentrated extract was partitioned with EtOAc, n-BuOH and $H_{2}O$. Eight sesquiterpenes were isolated through repeated silica gel and octadecyl silica gel ($C_{18},\;ODS$) column chromatography of the EtOAc and n-BuOH fractions. Physicochemical analysis using NMR, MS and IR revealed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 sesquiterpenes, which were zaluzanin (1), 9a-hydroxyguaian-4(15), 10(14), 11 (13)-triene-6, 12-olide(2), $3{\beta}-O-{\beta}-D-glucopyranosyl-8{\beta}-hydroxyguaian$-4(15), 10(14)-diene-6, 12-olide (3), $3-O-{\beta}-D-glucopyranosyl-8{\beta}-hydroxyguauan$-10(14)-ene-6, 12-olide (4), ixerin M (5), glucozaluzanin C (6), crepiside I (7), and ixerin D (8). This is the first time that these sesquiterpene lactones have been isolated from this plant. Compounds 1, 2 and 7 revealed relatively high cytotoxicities on human colon carcinoma cell and lung adeno-carcinoma cell, while compounds 5 and 7 showed acyl-CoA: cholesterol acyltransferase (ACAT) inhibitory activity.

식용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IX. 흰씀바귀(Ixeris dentata forma albiflora)뿌리에서 Sesquiterpene Lactone 화합물의 분리 및 구조 동정; ACAT, DGAT 및 FPTase 효소 활성의 저해 (Screening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 from Edible Plant Sources-IX.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esquiterpene Lactons Isolated from the Root of Ixeris dentata forma albiflora; Inhibition Effects on ACAT, DGAT and FPTase Activity)

  • 방면호;장태오;송명종;김동현;권병목;김영국;이현선;정인식;김대근;김성훈;박미현;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2호
    • /
    • pp.251-257
    • /
    • 2004
  • 식용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소재를 찾기 위하여 흰씀바귀 뿌리를 80% MeOH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EtOAc, n-BuOH및 $H_2O$로 용매 분획하였다. EtOAc와 n-BuOH 분획에 대하여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하여 4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각에 대하여 2D-NMR을 포함한 스펙트럼 데이터의 해석과 문헌 자료를 조사하여 zaluzanin C (1), $9{\alpha}-hydroxyguaian-4(l5),10(14),11(13)-triene-6,12-olide$ (2), $3{\beta}-O-{\beta}-D-glucopyranosyl-8{\beta}-hydroxyguaian-4(15),\;10(14 )-diene-6,12-olide$ (3), $3-O-{\beta}- D-glucopyranosyl-8{\beta}hydroxyguaian-10(14)-ene-6,12-olide$ (4)로 구조를 결정하였다. 이들 화합물에 대하여 ACAT(Acyl-CoA: cholesterol acyltransferase), DGAT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및 FPTase(farnesyl-protein transferase)의 활성에 미치는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Compound 1과 Compound 2는 DGAT에 대한 활성억제효과에 있어서 $IC_{50}$ 값이 각각 0.13 mM, 0.10 mM로 나타났고, FPTase에 대하여는 각각 0.15 mM, 0.18 mM로 나타났으며, ACAT에 대하여는 약한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흰씀바귀는 항암 및 항고혈압의 소재 개발에 있어서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