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talian Ryegrass

검색결과 356건 처리시간 0.039초

약(葯)배양 기법 이용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식물체 생산 (Production of New Regenerated Plant by Anther Culture of Italian Ryegrass)

  • 김기용;강경민;최기준;임용우;장요순;성병렬;손대영;이병현;조진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09-212
    • /
    • 2002
  • 이탈리안 라이그라스(Lolium multiflorum Lam.) 계통 A의 약(葯) 배양을 실시하여 약(葯) 유래의 식물체를 생산하였다. MS 기본배지에 sucrose 30 g/$\ell$, NAA 2 30 mg/$\ell$, kinetin 1 30 mg/$\ell$을 첨가한 캘러스 유도배지에서 배양 20일만에 약(葯) 유래의 캘러스를 유도하였다. 캘러스 유도율은 9.2%였으며, 캘러스의 평균 크기는 8.6mg/callus/anther 였다. MS 기본배지에 sucrose 30 g/$\ell$, NAA 1 mg/$\ell$, kinetin 2 mg/$\ell$을 첨가한 재분화 배지에 캘러스를 치상하여 배양 50일에 완전히 재분화된 식물체를 얻었으며, 캘러스로부터 식물체로 재분화되는 비율은 26% 였다.

전작물의 잔주가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장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vious Crop Residues on Growth and Yield of Corn for Silage)

  • 김원호;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99-306
    • /
    • 1996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1991 to 1993 at the forage experimental field,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NU, Suweo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evious crop residues on growth and yield of succeeding corn(2ea mays L.) and also to determine the best double cropping system necessary to maximize the total dry matter yield of winter forage crops plus corn for silage. In this experiment, treatments consisted of no crop as a control, late maturing Kodiak rye(Seca1e cereale L.), Bamapoli forage rape(Brassica napus Subsp. oleifera L.), G-sprinter oats(Avem sativa L.), Chief crimson clover(Trifolium incarnatum L.), Jackson Italian ryegrass(lo1ium rnultiJlorum L.), Vantage vetch(Vicia sativa L.) and early maturing Koolgrazer rye(Seca1e cereale L.). Corn leaf number and silking date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previous crop residues, but the leaf number of corn following Italian ryegrass was reduced by 1.9 relative to no previous crop. The plant height and LA1 were significantly reduced during early development when corn followed Italian ryegrass and late maturing Kodiak rye (p<0.05). The dry matter and estimated TDN yields of corn were significantly reduced when corn followed Italian ryegrass and late maturing Kodiak rye. The yield reductions for corn following Italian ryegrass, late maturing Kodiak rye and early maturing Koolgrazer rye, relative to com when no previous crops were planted, were 34, 17 and 8%, respectively. Therefore, the reduction in corn growth and yield in this experiment could be explained by an allelopathic effect resulting from the Italian ryegrass and rye residues. The highest total dry matter yield of 30,509kg/ha was obtained from an early maturing rye-corn double cropping sequence in combination among the eight cropping systems.

  • PDF

Humic Acid and Synthesized Humic Mimic Promote the Growth of Italian Ryegrass

  • Khaleda, Laila;Kim, Min Gab;Kim, Woe-Yeon;Jeon, Jong-Rok;Cha, Joon-Yung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42-247
    • /
    • 2017
  • Humic acid (HA) is a complex organic matter found in the environments, especially in grassland soils with a high density. The bioactivity of HA to promote plant growth depends largely on its extraction sources. The quality-control of HA and the quality improvements via an artificial synthesis are thus challenging. We recently reported that a polymeric product from fungal laccase-mediated oxidation of catechol and vanillic acid (CAVA) displays a HA-like activity to enhance seed germination and salt stress tolerance in a model plant, Arabidopsis. Here, we examined whether HA or CAVA enhances the growth of Italian ryegrass seedling. Height and fresh weight of the plant with foliar application of HA or CAVA were bigger than those with only water. Interestingly, enhanced root developments were also observed in spite of the foliar treatments of HA or CAVA. Finally, we proved that HA or CAVA promotes the regrowth of Italian ryegrass after cutting. Collectively, CAVA acts as a HA mimic in Italian ryegrass cultivation, and both as a biostimulant enhanced the early growth and regrowth after cutting of Italian ryegrass, which could improve the productivity of forage crops.

버뮤다그라스 초지에 보파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파종시기가 목초생산성과 식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ing Dates of Italian Ryegrass Interseeded into Bermudagrass Sod on the Forage Productivity and Botanical Composition of Italian Ryegrass and Bermudagrass)

  • 박남건;황경준;이종언;김남영;박형수;고문석;임영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83-388
    • /
    • 2011
  • 본 시험은 버뮤다초지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파종시기가 목초생산성 및 식생변화에 대해 조사하기 위하여 2009년 9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해발 200 m에 위치한 제주도 제주시 오등동에 위치한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시험장 방목초지(해발 200 m)에서 수행되었다. 남방형 목초인 버뮤다그라스 초지에서 시험구를 난괴법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파종전 버뮤다그라스 목초를 초장이 2~3 cm 정도 높이로 예취를 한 후 파종을 하였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파종은 9월 15일, 9월 30일 및 10월 15일에 조파하였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건물수량은 9월 15일 파종구가 가장 수량이 높았으며, 10월 15일 및 9월 30일 파종구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보파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버뮤다그라스의 건물수량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버뮤다그라스는 8월에 가장 높은 생산성을 보였다. 식생변화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발아 후 초기 생육기에 경합이 이루어져 초기생육이 부진하게 나타났으나, 이듬해 봄에 기온이 상승하면서 6월까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위주의 식생을 보이다가 고온기에 들어서면서 버뮤다그라스 위주의 식생구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버뮤다그라스 목초지에 동계 사료작물인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파종은 양질의 조사료를 생산하고 목초지의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질소시비수준 및 Ryegrass류혼파가 겉뿌림 초지개량에 미치는 효과 I. 정착률, 식생구성률 및 건물수량에 관한 효과 (Effects of Nitrogen Application Levels and Ryegrasses as a Member of Mixture on Improvement of Oversown Pasture I. Establishment, botanical composition and productivity)

  • 강호준;김문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22-229
    • /
    • 1991
  • 겉뿌림초지 개량효과를 높이기 위해 질소시비수준과 보조초종 라이그라스 조합의 필요성 여부를 구명키 위해 4처리 질소시비수준(0, 100, 200, 300kg/ha)과 3처리 혼파조합(A; orchardgrass+ladino clover, B; orchardgrass+ladino clover+perennial ryegrass, C; orchardgrass+ladino clover+perennial grass+Italian ryegrass)으로 본 시험이 수행되었다. Perennial ryegrass, Italian ryegrass 및 dine clover의 정착률은 질소증시로 증가되었고 ladino clover 의 정착률은 ryegrass조합으로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화본과 목초의 식생구성율을 질소증시에 따라 증가하지만 두과목초와 기존야초류는 감소하였으며 예취회수가 진행됨에 따라 목초율이 증가되고 있다. 목초의 건물수량은 질소시비량에 비례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orchardgrass十ladino clover조합구가 다른 조합구에 비해 수량이 높았으나 유의차는 없었다(P<0.05). 그러나 예취시기별로 볼때 orchardgrass+ladino clover 혼파구의 목초수량이 2회 예취시에만 타 혼파조합구 보다 유의적 증수가 이뤄졌고(P<0.05), orchardgrass十ladino clover조합구에서 기존야초류의 건물수량이 1회와 2회 예취시에만 타 조합구에 비해 유의적 감소를 보였다(P<0. 05). 본 시험의 결론으로는 겉뿌림으로 초지를 개량하기위해서 질소를 적어도 300kg/ha 시용해야 하며 orchardgrass와 ladino clover조합이 이 기본조합에 ryegrass류를 혼파하는 것보다 유리하다고 사료된다.

  • PDF

중북부 지역에서 생육단계에 따른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트리티케일의 건물수량과 사료가치 (Change of Dry Matter Yield and Feed Values According to Different Growth Stages of Italian Ryegrass and Triticale Cultivated in the Central Northern Region)

  • 이홍주;변지은;황선구;류종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0-56
    • /
    • 2020
  • 본 연구는 중북부지역인 원주에서 생육단계별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트리티케일의 사료가치 변화를 조사하여 수확적기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트리티케일은 5월 초순부터 1주일 간격으로 8회에 걸쳐 예취한 후 예취시기에 따른 사료가치를 비교하였다. 수확 시기별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건물수량은 5월 3일(3,430 kg/ha)과 5월 9일(5,150 kg/ha) 수확일보다 5월 16일 수확일에 7,870 kg/ha로 유의적으로 높았다. 트리티케일의 건물수량은 5월 3일에서 5월 16일 수확일보다 6월 7일 수확일에 건물 수량이 12,250 kg/ha로 유의적으로 높았다. 조단백질 수량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트리티케일 공히 5월 3일, 5월 9일 수확일보다 5월 16일 수확일에 각각 890 kg/ha, 1,103 kg/ha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5월 16일 수확일에 조단백질 수량의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TDN 수량은 5월 3일(2,424 kg/ha), 5월 9일(3,449 kg/ha) 수확보다 5월 16일과 5월 21일 수확 시 5,223 kg/ha로 유의적으로 높았다. 트리티케일의 TDN 수량은 6월 7일 수확 시 8,277 kg/ha로 나타났으며 6월 이후 수확 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중북부 지방에서 건물 수량, 조단백질 수량과 TDN 수량을 고려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수확적기는 출수 후기부터 개화기인 5월 16일, 트리티케일은 출수 후 3주인 6월 7일로 판단된다.

추파사료작물이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장 ,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inter Annual Forage Crops on Growth , Yield and Quality of Silage Corn)

  • 김동암;김원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2-131
    • /
    • 1993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1991 and 1992 to determine the effects of winter annual forage corps such as winter rye (Secale cereale L.), rape (Brassica napus subsp. oleifera L.), oats (Auena satiua L.), crimson clover (Trifolium incarnatum L.), vetch (Vicia satiua L.) and Italian ryegrass (Lolim multiflorum Lam.) on subsequent growth, yield and quality of silage corn (Zea mays L.). The winter annual forage crops were seeded at the end of August and harvested in the fall and spring before corn planting. Corn-leaf numbers, plant heights and LA1 were generally reduced during early development when corn followed Italian ryegrass(P<0.05) and winter rye, but the silking date of corn was not affected by the winter annual forage crops. Corn dry matter and TDN yields were significantly reduced when corn followed Italian ryegrass and late maturing Kodiak winter rye. The yield reductions for corn following Italian ryegrass and Kodiak winter rye, relative to corn which did not follow the winter annual forage crops, were 49 and 19% respectively. but the corn yield was slightly improved by 2 and 3%, respectively. when corn followed crimson clover and vetch. No quality differences in corn stover were observed among the treatments except for the lowest ADF and NDF contents and the highest IVDMD where corn followed ltaliabn ryegrass.

  • PDF

단파 또는 혼파초지에서 Italian ryegrass와 Kentucky bluegrass의 잡초억제 효과 (Effect of Italian Ryegrass(Lolium multiflorum) and Kentucky Bluegrass(Poa pratensis) Planted Singly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Forage Species on Suppressing Weeds)

  • 김문철;김종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41-250
    • /
    • 1999
  • 본 연구는 1995년 10월부터 1997년 10월까지 제주대학교 동물사육장 초지시험포장에서 초종혼파조합 차이에 따른 잡초억제 효과를 구명키 위해 수행되었다. 시험은 주구 2 처리(보조초종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켄터키 블루그라스)와 세구 4처리(보조초종 단파; T1, 툴페스큐 + 오차드그라스 + 라디노 클로바; T2,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 오차드그라스 + 라디노 클로바; T3, 오차드그라스 + 라디노 클로바; T4)를 3반복하여 분할구 배치법으로 처리되었다. 목초의 2년간 평균 건물수량은 주구 즉 보조초종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켄터키 블루그라스에서 각각 15,437kg/ha, 14,581kg/ha이었고, 세구 즉 T1, T2, T3 및 T4에서는 각각 14,815kg/ha, 15,407kg/ha, 14,629kg/ha, 15,187kg/ha였으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적 차이를 얻지 못하였다. 그러나 2년차 1차수확시 주구간에는 뚜렷한 차이를 발견치 못했으나 세구간 즉 T1(보조초종 단파)구가 3,376kg/ha로서 가장 낮은 건물수량을 보였고 T3, T4가 각각 4,591kg/ha, 4,816kg/ha로서 T1의 건물수량보다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 2년째 평균 건물수량 역시 세구간에 유의적 차이를 얻었으며 T4가 가장 높은 수량을 보였고 T1 및 T3구에서 낮은 생산성을 보였다. 초년도 봄에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를 보조초종으로 이용하는 것이 켄터키 블루그라스보다 잡초억제에 도움이 되었으나 여름 이후에는 그 효과가 없어져서 서로 비슷한 추세였다. 2년차 말에 보조초종 켄터키 블루그라스 이용으로 다소 잡초를 감소케 하는 경향이었지만 큰 차이는 없었다. 2년 전체적으로 볼 때 오차드 그라스를 조합한 구(T2, T3 및 T4)가 보조초종 단파구(T1) 보다 잡초율을 낮게 했다. 목초의 조단백질은 처리별 효과를 얻지 못했으며 10월 수확시 보조초종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구의 NDF와 ADF 함량이 켄터키 블루그라스 구의 것에서 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P<0.05). 7월 수확시에 켄터키 블루그라스 구의 ADF 함량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구의 것 보다 고도히 유의적 차이로서 높았다(P<0.01). 결론적으로 초년도 봄에 보조초종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를 혼파하므로 잡초 억제에 도움이 되었으나 건물생산에 뚜렷한 효과를 주지 못하였다. 본 시험결과로서 오차드그라스 조합이 잡초 억제에 가장 유리한 초종이었으며 건물수량도 가장 높았다.

  • PDF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재배지에서 제초제 사용에 의한 광대나물 방제 (Weed Control of Henbit Deadnettle Using Herbicide on Cultivating Field of Italian Ryegrass)

  • 김기용;최기준;이상훈;이기원;김원호;정민웅;서성;김맹중;지희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89-394
    • /
    • 2011
  • 본 논문은 국내육성 IRG 신품종 "코윈어리" 재배지에서 광대나물의 방제법을 구명하기 위해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에서 2008년부터 2009년까지 2년간 연구한 결과이다. 잡초 억제율은 원호프 2회 처리구에서 90%로 가장 높았으나, IRG 피해도 커서 사용할 수 없으며, 그 다음으로 MCPP 2회 처리구에서는 잡초 억제율이 82%로 방제효과가 높고 IRG 피해도 적으며 잡초방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대나물 방제를 위해 MCPP를 10일간격으로 2회 살포한 경우, 건물생산량은 ha당 11,427 kg으로서 무처리구의 1,658 kg에 비해 598% 증가하였다. 다시 말해서 MCPP를 처리하지 않으면 조사료 수확이 불가능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재배포장에서 월년생 잡초 광대나물을 방제하려면 3월 중순에 MCPP를 10일 간격으로 2회 살포하면 되며, 조사료 생산량도 ha당 11,427 kg으로서 정상적인 수량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