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rMn

검색결과 237건 처리시간 0.025초

프러시안 블루 유사체의 합성 및 MnFe2O4의 자성과 흡착 특성 (Synthesis of Prussian Blue Analogue and Magnetic and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MnFe2O4)

  • 이혜인;강국현;이동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7-74
    • /
    • 2016
  • 프러시안 블루 유사체(Prussian Blue Analogue : PBA)는 3차원 구조와 기공을 갖는 금속-유기골격체이며, 유기 리간드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갖는다. PBA는 바이오센서, 광학, 촉매, 수소 저장 장치 등의 분야에서 주목 받고 있으며 화학적 안정성을 가진 환경 친화적인 물질이다. 또한 다양한 크기의 미세기공을 조정할 수 있어 흡착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수열합성법을 이용하여 금속유기골격체인 $Mn_3[Fe(CN)_6]_2$를 합성하였다. 전구체로 $K_4[Fe(CN)_6]$$MnCl_2$를 사용하였고, 합성된 물질은 소성하여 망간철산화물을 생성하였다. 실험 변수로 전구용액의 pH, 전구체의 몰농도, 반응시간을 조절하여 입자의 크기와 형태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였다. 합성된 다공체는 XRD, SEM, FT-IR, UV-Vis, TG/DTA에 의해 분석하였고, 여러 염료에 대한 흡착 특성을 평가하였다.

전이금속 담지 제올라이트 분자체 이용한 CO 흡착특성 (Performance of CO adsorption on Transition metal impregnated zeolite molecular seive)

  • 이주보;정의민;김대경;;장현태;차왕석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33-3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전이금속 Cu, Mn이 함침된 제올라이트를 사용하여 일산화탄소의 흡착능을 연구하였다. 금속 복합 산화물촉매 제조는 Cu, Mn을 서로 다른 비율로 물리 혼합하여 지지체에 담지하였다. 제올라이트 분자체는 상용 13X를 사용하였다. 함침방법은 과잉용액 함침법을 사용하였고, 건조 후 소성 하여 산화물 형태로 담지하였다. 합성된 개질 흡착제의 표면특성 분석은 $N_2$흡착 및 탈착곡선을 통한 질소흡착 특성 분석으로 기공크기, 기공분포, 비표면적을 구하였으며, FT-IR, X-선 회절분석, 전자주사현미경, $NH_3$-TPD/TPR 으로 특성을 분석하였다. 흡착 실험은 고정층 반응기에서 수행하였으며, 내경 4 mm 석영관에 흡착제를 충진하고 흡착파과곡선을 Gas Chromatograph로 측정하여 Cu-Mn 제올라이트 촉매의 일산화탄소 흡착 성능을 연구하였다. Cu-Mn 함량 비율과 흡착조업조건에 따른 흡착능을 측정하여 최적 흡착조건을 구하였다.

  • PDF

$MnO_2$ 첨가량에 따른 $BaTiO_3$계의 PTC효과와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adiation Properties of Far-infrared and PTC Effect in the $BaTiO_3$ system by $MnO_2$ Amounts of Additives)

  • 송민종;박춘배;강도열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
    • /
    • 1993
  • It is very important that a spectrum of reflectance is in accord wi th a spectrum of absorbance for a effective heating.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chieve a technical composite for material plan which PTC thermistor increase a radiation property of far-infrared and keep a characteristic of R-T The Ceramic speciman studies had the composition $BaTiO_3$ with additive of 1.67 $Al_2O_3$, 3.75 $SiO_2$, 1.25 $TiO_2$, 0.15 $Sb_2O_3$ and 0.00-0.182 $MnO_2$. $MnO_2$ amounts of additives was both increase on the anomalous resistivity-temperature characteristics and high efficiency on the radiation properties bodies of far-infrared. This result shows that specimens produced high emissivity(average 0.8) of far-infrared at 4.5-15$[{\mu}m]$ by measuring a characteristic of IR and R-T.

  • PDF

방사선 중합법에 의한 ACF/PP-g-AAc 혼성섬유 흡착제의 합성 및 중금속 분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nthesis of ACF/PP-g-AAc Hybrid Fibrous Adsorbent by Irradiation and Their Separation Properties of Heavy Metals)

  • 황택성;황대성;박정기
    • 폴리머
    • /
    • 제24권1호
    • /
    • pp.1-7
    • /
    • 2000
  • 방사선 전조사법을 이용하여 아크릴산을 ACF/PP 흔성 부직포에 그라프트 반응시켜 ACF/PP-g-AAc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합성한 공황합체의 FT-IR 결과 1720, 3600~3100$cm^{-1}$ / 부근에서 C=O, -OH에 대한 피크가 확인되었고, 금속이온 흡착후에 공중합체의 표면은 좁쌀알 등과 같은 작은 조직이 관찰되었다. ACF/PP-g-AAc 공중합체의 금속이온에 대한 흡착능의 최적시간은 24시간이었으며 동일 조건하에서의 흡착능은 $Mn^{2+}$>Cu$^{2+}$>Co$^{2+}$>Ni$^{2+}$의 순서로 $Mn^{2+}$가 최대흡착능을 나타냄으로써 흔합용액에서 금속이온의 흡착에 대한 선택성은 이온반경의 크기에 비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ACF/PP-g-AAc 공중합체는 10회 이상 흡착능의 변화없이 흡탈착이 가능한 흡착제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Biological Toxicities and Aggregation Effects of ʟ-Glycine and ʟ-Alanine Capped ZnS:Mn Nanocrystals in Aqueous Solution

  • Park, Sanghyun;Song, Byungkwan;Kong, Hoon Young;Byun, Jonghoe;Hwang, Cheong-So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4호
    • /
    • pp.1169-1176
    • /
    • 2014
  • In this study, water-dispersible ZnS:Mn nanocrystals were synthesized by capping the surface with conventional and simple structured amino acid ligands: $\small{L}$-Glycine and $\small{L}$-Alanine. The ZnS:Mn-Gly and ZnS:Mn-Ala nanocrystal powders were characterized by XRD, HR-TEM, EDXS, ICP-AES, and FT-IR spectroscopy. The optical properties were measured by UV-Visible and photoluminescence (PL) spectroscopy. The PL spectra for the ZnS:Mn-Gly and ZnS:Mn-Ala showed broad emission peaks at 599 nm and 607 nm with PL efficiencies of 6.5% and 7.8%, respectively. The measured average particle size from the HR-TEM images were $6.4{\pm}0.8$ nm (ZnS:Mn-Gly) and $4.1{\pm}0.5$ nm (ZnS:Mn-Ala), which were also supported by Debye-Scherrer calculations. In addition, the degree of aggregation of the nanocrystals in aqueous solutions were measured by a hydrodynamic light scattering method, which showed formation of sub-micrometer size aggregates for both ZnS:Mn-Gly ($273{\pm}94$ nm) and ZnS:Mn-Ala ($233{\pm}34$ nm) in water due to the intermolecular attraction between the capping amino acids molecules. Finally, the cytotoxic effects of ZnS:Mn-Gly and ZnS:Mn-Ala nanocrsystals over the growth of wild type E. coli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no toxicity was shown for the ZnS:Mn-Gly nanocrystal in the colloidal concentration region from 1 ${\mu}g/mL$ to 1000 ${\mu}g/mL$, while ZnS:Mn-Ala showed significant toxicity at 100 ${\mu}g/mL$.

Cu, Mn 함침 제올라이트13X 촉매의 CO 산화 전환 반응특성 (Characterization of CO Oxidatation Using the Cu, Mn impregated zeolit 13X catalyst)

  • 정의민;김대경;이주보;팽메이메이;송성화;문미미;전이슬;안선희;장현태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30-3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Cu, Mn을 함침 시킨 상용 제올라이트13X 촉매에 CO 산화 전환 반응에 영향을 연구하였다. 촉매 제조는 담지량별로 Cu, Mn을 서로 다른 비율로 물리 혼합하여 상용 제올라이트에 담지하였다. 함침방법은 과잉용액 함침법을 사용하였고, 건조 후 공기분위기에서 소성하여 산화물 형태로 담지하였다. 기본적인 촉매 특성은 X-선 회절분석, 질소흡탈착 등온곡선을 이용하여 기공크기, 기공부피, 비표면적을 구하였으며, FT-IR, 주사현미경, $NH_3$-TPD/TPR, EDX로 특성을 분석하였다. 촉매 산화반응 실험은 고정층 반응기에서 수행하였으며, 외경1/4 inch(내경 4 mm)석영관에 촉매를 중진하고 Gas Chromatograph로 배출가스를 측정하여 Cu-Mn 제올라이트 촉매의 일산화탄소 산화반응을 연구하였다. 일산화탄소 농도, 온도 및 공간속도, Cu-Mn 함량 비율에 따른 산화반응 실험을 수행하여 최적 산화조건과 촉매를 도출하였다.

  • PDF

Malononitrile로 개질된 DGEBA-MDA계의 경화반응 속도론 및 반응 메카니즘 (Cure Konetics and Mechanism of DGEBA-MDA-Malononitrile System)

  • 임성수;조성우;유희열;심미자;김상욱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15-222
    • /
    • 1993
  • 에폭시 수지를 개질하기 위하여 반응성 첨가제 Malononitrild(MN)을 Diglycidy1 ether fo vispenol A (CGEBA)/Methylene dianiline(MDA)계를 첨가하여 이 계의 경화 반응속도론과 경화반응메카니즘을 시차주사 열분석(DSC)과 적외선 흡수 분광법을 통해 관찰하였다. 경화반응속도론으로부터 MN으로 개질된 DGEBA/MDA는 완전히 경화를 이루기 위하여 $80^{\circ}C$로 부터 $170^{\circ}C$까지 $30^{\circ}C$간격으로 경화시킨 시료로 반응메카니즘을 고찰한 결과 PA(primary amine)-E(epoxide)그리고 E(epoxide)-OH(hydroxy1 group)반응 이외에 PA(primary amine)-CN(nitrile)과 CN(nitrile)-OH(hydroxy1 group)반응이 일어남을 알았다.

  • PDF

광흡수에 의한 $LiNbO_{3}$ 단결정의 결함 구조 연구 (A study of defect structures in $LiNbO_{3}$ single crystals by optical absorptions)

  • 김상수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27-340
    • /
    • 1996
  • 고주파로의 이용한 Czocharalski 법으로 congruent$(R_{m}=R_{c}=0.945)$, stoichiometric$(R_{m}=1,\;R_{c}=0.957)$, Li-rich$(R_{m}=1.202,\;R_{c}=0.989)$, congruent한 조성에 $K_{2}O$를 6 wt% 첨가한 $LiNbO_{3}$ 등의 순수한 단결정들과 congruent한 조성에 Mg와 Mn을 불순물로 첨가한 $LiNbO_{3}:Mn(0.1\;mole%),\;LiNbO_{3}:Mg(4.5,\;6.0,\;10.0\;mole%),\;LiNbO_{3}:(Mg(4.5,\;6.0,\;10.0\;mole%)+Mn(0.1\;mole%))$ 단결정들을 결정의 c.축 방향으로 성장시켰다. 실온데서 UV 스펙트럼과 IR 스펙트럼을 측정한 결과 UV 흡수단과 $OH^{-}$ 흡수 스펙트럼은 [Li]/[Nb] 비에 따라 변화한다. 또 첨가한 Mg, Mn 불순물들의 영향을 받는데 UV 흡수단의 위치와 $OH^{-}$ 흡수 스펙트럼의 위치, 모양이 Mg의 첨가량에 크게 의존하며 이는 Mg의 첨가량에 따라 이 이온의 결정내 위치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순수한 단별정들에 대한 $OH^{-}$ 흡수 스펙트럼을 Gaussian 선모습 함수를 써서 3, 5 개의 성분 스펙트럼으로 분해한다. 이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LiNbO_{3}$ 단결정내의 배내, 배외 결함 구조에 대한 논의로 부터 Li 빈자리 모델이 결함 구조를 설명하는데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렸고 이들 불순물 이온의 결정내의 위치도 정한다. 또한 결함 구조에 대한 본 연구의 결론을 이용하여 최근의 다른 연구자들의 실험 결과도 설명한다.

  • PDF

증기발생기 슬러지 중 구형입자의 특성 조사 (The Characterization of Spherical Perticles in Steam Generator Sludge)

  • 표형열;박양순;박순달;박경균;송병철;박용준;지광용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9-64
    • /
    • 2006
  •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 슬러지 중에서는 이온교환수지가 발견되어서는 안 된다.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 슬러지 시료 중에서 발견되어 이온교환수지 입자로 의심되는 구형 입자들의 특성을 측정하였다. 미세조작기술을 이용하여 광학현미경으로 입자 크기 분포를, EPMA로 구형입자의 성분을, 그리고 IR 분광 스펙트럼 비교에 의하여 이온교환수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슬러지의 입자 크기는 1 내지 $200{\mu}m$이었으나 구형 입자는 $40-500{\mu}m$이었다. 슬러지의 주요 불순원소가 Si, Al, Mn, Cr, Ni, Zn, 그리고 Ti이었으나 구형 입자는 Si, Cu, Zn 이었다. 주성분은 두 경우 모두 철이었다. 구형 입자의 IR 분광스펙트럼은 증기발생기 취출수 정화계통에서 사용하는 이온교환수지의 스펙트럼과 비교했을 때 서로 일치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이 결과들은 증기발생기 슬러지 시료 중에서 발견된 구형 입자가 이온교환수지는 아니며 일반적인 슬러지가 생성되는 과정에서 작은 슬러지 입자들이 크게 뭉쳐서 생성된 것임을 나타내고 있다.

  • PDF

Regional Differences in Mitochondrial Anti-oxidant State during Ischemic Preconditioning in Rat Heart

  • Thu, Vu Thi;Cuong, Dang Van;Kim, Na-Ri;Youm, Jae-Boum;Warda, Mohamad;Park, Won-Sun;Ko, Jae-Hong;Kim, Eui-Yong;Han, Ji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1권2호
    • /
    • pp.57-64
    • /
    • 2007
  • Ischemic preconditioning (IPC) is known to protect the heart against ischemia/reperfusion (IR)-induced injuries, and regional differences in the mitochondrial antioxidant state during IR or IPC may promote the death or survival of viable and infarcted cardiac tissues under oxidative stress. To date, however, the interplay between the mitochondrial antioxidant enzyme system and the level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 the body has not yet been resolved.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IR- and IPC-induced oxidative stresses on mitochondrial function in viable and infarcted cardiac tissues. Our results showed that the mitochondria from viable areas in the IR-induced group were swollen and fused, whereas those in the infarcted area were heavily damaged. IPC protected the mitochondria, thus reducing cardiac injury. We also found that the activity of the mitochondrial antioxidant enzyme system, which includes manganese superoxide dismutase (Mn-SOD), was enhanced in the viable areas compared to the infarcted areas in proportion with decreasing levels of ROS and mitochondrial DNA (mtDNA) damage. These changes were also present between the IPC and IR groups. Regional differences in Mn-SOD expression were shown to be related to a reduction in mtDNA damage as well as to the release of mitochondrial cytochrome c (Cyt c).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might be the first study to explore the regional mitochondrial changes during IPC. The present findings are expected to help elucidate the molecular mechanism involved in IPC and helpful in the development of new clinical strategies against ischemic heart 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