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oT Web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35초

웹 기반 개방형 IoT 환경에서 실시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스템 설계 (System Design for Real-Time Data Transmission in Web-based Open IoT System)

  • 표경수;박진태;문일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562-567
    • /
    • 2016
  • 전 세계적으로 인터넷의 발전과 스마트 디바이스의 보급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IoT (internet of things)가 주목받고 있다. IoT가 일상생활에 접목되면서 IoT 시장은 방대해지고 있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앞으로 IoT 디바이스가 10년 내에 약 1조대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IoT와 관련된 기술도 꾸준히 발전되고 있으며, 여러 분야에서 IoT 발전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IoT 서비스를 출시하는 업체에서는 다른 플랫폼과 데이터를 상호작용하지 않아 사일로 현상이라는 장애물에 봉착해 큰 시장으로 성장하는데 제한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웹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웹 기술을 이용하면 플랫폼에 상관없이 데이터를 상호 작용할 수 있고, 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발자 입장에서도 불필요한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oT 플랫폼에 독립적으로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할 수 있는 웹 기반의 개방형 IoT 시스템을 연구하였으며, 각 IoT 플랫폼 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사용자 정의 웹 서비스를 위한 IoT 정보 자동생성 도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oT information Generation Tool for User Defined Web Services)

  • 심성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329-334
    • /
    • 2018
  • 웹 서비스는 네트워크 및 관련 표준을 통하여 운영체제 및 프로그램 언어에 제한을 받지 않고 상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표준화된 소프트웨어 기술로써 서비스를 제공, 발견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분산 컴퓨팅 서비스이다. 웹 서비스의 검색 방법은 기능적 측면만을 고려해 서비스 선정 시 사용자 위주의 검색에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IoT 정보 자동생성 도구를 제안하여 웹 서비스 검색 시 IoT 확장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선정할 수 있도록 문제점을 개선한다. 제안하는 IoT 확장 정보 자동생성 도구는 사용자, 사물, 서비스로 구성된 세 가지 요소가 분산된 환경에서 상호 자율적으로 협업하여 Sensing, networking, 정보처리 등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수집 저장한다.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웹 서비스 검색 시 확장정보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 적합한 서비스 검색을 지원한다. 제안방법은 4차 산업 분야 전반에 걸쳐 적용됨으로 다양한 환경의 요구사항에 맞는 사용자 정의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다.

효율적인 IoT 제어를 위한 웹 기반 반응형 지원 시스템 (Web-based Responsive Support System for the Efficient IoT Control)

  • 홍성화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08-409
    • /
    • 2018
  • 본 논문은 IoT 제어를 위한 효율적인 웹 서비스 플랫폼을 제안한다. 웹 서비스 성능 향상을 위한 사물 정보들을 웹상에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 구성을 제안하기 위하여 사물 정보 수신 모듈과 웹 뷰어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IoT 디바이스가 점차 늘어나면서 많은 디바이스의 상태를 각각 확인하고 제어하기에는 너무나도 환경이 복잡해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웹 기반 환경에서 손쉽게 제어하고 현재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 PDF

웹 기반의 IETF CoAP 프로토콜을 이용한 실내 IoT 자원 제어 서비스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door IoT Resource Control Service using Web-based IETF CoAP Protocol)

  • 김문권;김도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77-82
    • /
    • 2016
  • 최근 모든 사물을 인터넷에 연결하는 IoT(Internet of Things)에서 사물 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 기반의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을 이용한 실내 IoT 자원 제어 서비스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를 위해 웹 서버에서 프록시(proxy)와 RD(Resource Directory) 기능을 갖는 웹 기반의 실내 IoT 자원 제어 구조를 제시한다. 실내 IoT 자원 제어 서비스에서는 CoAP 프로토콜을 통해 실내 IoT 자원을 웹 서버에 등록하고, 프록시의 HTTP과 CoAP메시지 변환 기능을 이용하여 인터넷 상에서 웹 클라이언트와 IoT 자원 간 통신을 지원하고, 사용자가 웹 브라우즈를 이용하여 실내 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Dynamic Service Composition and Development Using Heterogeneous IoT Systems

  • Ryu, Minwoo;Yun, Jaese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91-97
    • /
    • 2017
  • IoT (Internet of Things) systems are based on heterogeneous hardware systems of different types of devices interconnected each other, ranging from miniaturized and low-power wireless sensor node to cloud servers. These IoT systems composed of heterogeneous hardware utilize data sets collected from a particular set of sensors or control designated actuators when needed using open APIs created through abstraction of devices' resources associated to service applications. However, previously existing IoT services have been usually developed based on vertical platforms, whose sharing and exchange of data is limited within each industry domain, for example, healthcare. Such problem is called 'data silo', and considered one of crucial issues to be solved for the success of establishing IoT ecosystems. Also, IoT services may need to dynamically organize their servic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status of connected devices due to their mobility and dynamic network connectivity. We propose a way of dynamically composing IoT services under the concept of WoT (Web of Things) where heterogeneous devices across different industries are fully integrated into the Web. Our approach allows developers to create IoT services or mash them up in an efficient way using Web objects registered into multiple standardized horizontal IoT platforms where their resources are discoverable and accessible. A Web-based service composition tool is developed to evaluate the practical feasibility of our approach under real-world service development.

웹 서비스 적용을 위한 IoT 정보 수집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llection Method of IoT Information for The Adaptation of Web Services)

  • 심성호;한정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71-76
    • /
    • 2017
  • 사물인터넷은 4차 산업 전반에 적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환경 요구사항에 맞는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웹 서비스를 대상으로 공급자 중심 서비스 제공 환경에서 사용자 중심 서비스 제공 환경 구축을 위한 IoT Devices 정보 추출 방법을 제시한다. 사물인터넷 환경 기반 IoT Devices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목록을 제공한다. 기존 서비스 환경은 제공자 서비스 정보를 활용하여 서비스 선정이 이루어지는 방법에 집중되어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검색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으로 제공되는 제공자 정보에 IoT Devices에서 추출된 정보를 추가하여 서비스 목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IoT 정보 수집은 IoT Devices와 사용자간의 정보, Device 간의 이벤트 정보 등 컨텍스트 정보를 식별자를 통해 구분하여 정보를 생성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IoT 정보를 통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 목록 제시하여 사용자 중심 서비스 환경을 구축한다.

WoT 환경에서 웹과 IoT 플랫폼 사이의 데이터 통신 연구 (A Study of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Web and the IoT Platform in WoT)

  • 표경수;박진태;문일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374-379
    • /
    • 2016
  • 최근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람을 연결하는 IoT (internet of things)가 주목받고 있으며,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IoT가 발전하면서 전문가들은 10년 내에 인터넷에 연결된 디바이스는 약 1000억 대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IoT 업체들 사이에서는 서로 다른 업체의 IoT 플랫폼 간에 데이터를 상호작용 하기 어려운 상태인 사일로 현상(ssilos effects)을 겪고 있다. 이러한 사일로 현상은 IoT가 더욱 큰 시장으로 성장하는 것을 제한할 것이다. 따라서 IoT 서비스를 공급하는 업체에서는 각 IoT 플랫폼 간 데이터를 상호작용 할 수 있는 개방형 IoT 플랫폼을 개발해야 한다. 현재 개방형 IoT 플랫폼을 위해 웹 기술이 급부상하고 있다. 개발자들에게 친숙하고 배우기 쉬운 웹 기술을 이용하면 IoT 디바이스를 발견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다양한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우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사일로 현상을 극복하고자 하는 WoT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 통신 기술에 대해 알아보고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IoT의 정보를 단순하게 주고받을 수 있는 폴링 방식에서 빠른 전송 속도를 얻을 수 있었다.

웹 기반 참여형 IoT 서비스 브로커링 플랫폼 개발 (Development of the Web-based Participation IoT Service Brokering Platform)

  • 이준영;최환석;이우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40-57
    • /
    • 2015
  • IoT(Internet of Things)는 사물들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정보를 공유하고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반 기술이다. 이는 개인, 공공, 산업 분야에 걸쳐 다양하게 적용됨으로 이러한 다양한 환경의 요구사항에 맞는 서비스의 개발이 요구된다. 한편, 방송이나 웹 서비스 등이 공급자 중심의 서비스 제공 환경에서 사용자 참여형 서비스로 변화 된 것처럼 IoT 서비스 환경도 집단이 참여하여 가치와 효용성을 증가 시킬 수 있는 참여형 IoT 서비스 환경으로 발전될 것이다. 사용자는 이러한 참여형 IoT 서비스 환경을 통해 자신의 요구사항을 직접적으로 반영 할 수 있어 서비스의 유형이 다양해지고 보급이 가속화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서비스 시나리오의 분석을 통해 IoT 서비스의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참여형 IoT 서비스 모델 및 모델링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이는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순차적 서비스 모델 및 관계기반 서비스 모델을 제공한다. 제안하는 환경은 참여형 IoT 서비스 브로커링 플랫폼에 의해 구현되어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Performance Evaluation of Node.js for Web Service Gateway in IoT Remote Monitoring Applications

  • Nkenyereye, Lionel;Jang, Jong-Woo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4권3호
    • /
    • pp.13-19
    • /
    • 2016
  • The growth of mobile devices in Internet of Things (IoT) leads to a number of remote and controlling system related IoT applications. For instance, home automation controlling system uses client system such web apps on smartphone or web service to access the home server by sending control commands. The home server receives the command, then controls for instance the light system. The web service gateway responsible for handling clients' requests attests an internet latency when an increasing number of end users requests submit toward it. Therefore, this web service gateway fails to detect several commands, slows down predefined actions which should be performed without human intervention.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a web server-side platgorm based event-driven, non-blocking approach called Node.js against traditional thread-based server side approach to handle a large number of client requests simultaneously for remote and controlling system in IoT remote monitoring applications. The Node.JS is 40% faster than the traditional web server side features thread-based approach. The use of Node.js server-side handles a large number of clients' requests, then therefore, reduces delay in performing predefined actions automatically in IoT environment.

IoT-Lite 온톨로지를 활용한 지능형 사물인터넷 시맨틱 정보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rworking of Intelligent IoT Semantic Information Using IoT-Lite Ontology)

  • 박종섭;홍준석;김우주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1-127
    • /
    • 2017
  • Computing Performance, sensor, storage, memory, and network costs have been steadily declining, and IoT services have recently become more active. The Internet of Things is linked with Big Data to create new business, and public institutions and corporations are hurry to import Internet of things. As the importance of the Internet of things has increased, the number of devices supporting the IoT has rapidly increas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of Things, various types of Internet services are being developed. For this reason,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IoT service designers and developers for IoT service case automatic search technology. IoT service designers can avoid duplication with existing services through service case retrieval and developers can save cost and time by combining existing reusable service equipment. This paper proposes IoT-Lite ontology for IoT and Semantic Web servic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existing ontologies for IoT, despite its many advantages, are not widely used by developers because it has not overcome the relatively slow drawbacks of increasing complexity and searching for development. To complement this, this study uses the IoT-Lite ontology introduced by W3C as a model and a semantic web service for automatic system retrieval. 3D camera, GPS, and 9-axis sensor, and IoT-Lite designed by IoT-Lite technique are integrated with the semantic technique and implemented direc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