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oT Security

검색결과 879건 처리시간 0.023초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 보안을 위한 사용자 민감 데이터 분류 (User Sensitive Data Classification for IoT Gateway Security)

  • 허만우;박기철;홍지만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8권4호
    • /
    • pp.17-24
    • /
    • 2019
  • IoT 기술이 산업 환경에서 널리 활용되면서, IoT 환경 보안 문제가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드웨어 보안 기능을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IoT 환경에서 하드웨어 보안 기능을 이용할 때 발생하는 성능저하에 대해 고려하지 않았다. IoT 환경에서 주로 활용되는 게이트웨이 기기는 자원이 제한적인 경우가 많다. 이러한 환경에서 하드웨어 보안 기능을 활용하는 것은 게이트웨이와 연결된 IoT 기기가 점점 증가함에 따라 심각한 성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자원이 제한적인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하드웨어 보안 기능을 활용하기 위한 데이터 분류 기법을 제안한다. ARM 트러스트존을 사용하여 제안한 기법이 적용된 플랫폼을 구현한다. 구현한 플랫폼상에서 실험을 통해 하드웨어 보안 기능으로 인한 성능 저하를 측정하고 제안한 기법을 적용하였을 시 성능과 비교 및 분석한다.

체계적인 IoT 기기의 펌웨어 보안 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stematic Firmware Security Analysis Method for IoT Devices)

  • 김예준;김정현;김승주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1권1호
    • /
    • pp.31-49
    • /
    • 2021
  • IoT 기기는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임베디드 기기를 의미한다. IoT 기기는 금융, 개인, 산업, 공공, 군 등과 같이 우리 주변의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공격이 발생할 경우 개인정보 유출과 같은 다양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IoT에 대한 취약점 분석은 IoT 기기와 상호작용 하는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 웹 사이트와 같은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 분석뿐만 아니라, IoT 기기의 주요 구성요소인 펌웨어에 대해서도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문제는 펌웨어의 추출 및 분석이 생각보다 쉽지 않으며, 보안팀 내 분석하는 사람의 전문성에 따라 같은 대상을 분석하더라도 결과물의 수준이 다를 수 있어 일정한 수준의 품질 관리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우리는 IoT 기기의 펌웨어에 대한 취약점 분석 프로세스를 정립하고 단계별로 사용 가능한 도구를 제시함으로써, IoT 보안성 분석에 있어 로드맵을 제시하고 일정한 수준의 품질 관리가 가능하였다. 우리는 다양한 상용 제조사들이 생산한 IoT 기기의 펌웨어 획득부터 분석까지의 과정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다양한 제조사의 드론 분석에 직접 적용해 봄으로써 그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IoT 환경에서 안전한 통신을 위한 인증 및 그룹 키 관리 기법 (Authentication and Group Key Management Techniques for Secure Communication in IoT)

  • 민소연;이재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76-82
    • /
    • 2019
  • 인터넷의 기술의 발전과 스마트 디바이스의 보급은 사람들에게 편리한 환경을 제공해 주고 있으며, 이는 IoT라는 기술로 보편화 되고 있다. 그러나 IoT 기술의 발전과 수요는 이를 악용한 해커들의 공격으로 인해 개인 정보 유출과 같은 다양한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수많은 디바이스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환경이 조성되었고, 기존 PC 환경에서 악용되던 네트워크 공격이 IoT 환경에서 발생하고 있다. 실제 IP 카메라의 경우 해킹을 통해 DDoS 공격을 진행하거나, 개인정보 유출, 동의 없이 모니터링 하는 등의 보안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이제는 IP카메라나 태블릿 등 IoT 환경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스마트 기기가 네트워크 공격에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IoT 환경에서 소형 디바이스들이 가지는 특성상 Memory 공간이나 Power 등이 제한되어 있어 기존 보안 솔루션 설치 및 실행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oT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협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방지할 수 있는 보안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프로토콜은 보안평가를 통해 네트워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보안 위협에 대응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에너지 효율성 분석을 기존 보안 알고리즘으로 활용되는 ECC, RSA, Kerberos 등에 비해 디바이스 증가에 따른 인증 속도에서 최소 2배 이상의 속도가 개선되는 등 디바이스 수의 증가에 따라 인증 시간이 가파르게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프로토콜을 IoT 환경에 적용한다면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된다.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침해사고대응 교육과정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ringement Incident Response Curriculum Model in IoT Environment)

  • 이근호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55-60
    • /
    • 2023
  • 사물인터넷 환경은 보안 위협에 상당히 취약하며, 침해사고가 발생하면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사물인터넷 환경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사물인터넷 환경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환경에서의 침해사고대응 교육과정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교육과정 모델은 사물인터넷 환경의 보안 위협, 침해사고의 종류, 침해사고대응 절차 등을 위한 모델로 설계하였다. 제안된 교육과정 모델은 사물인터넷 환경에서의 보안 인식을 향상시키고, 사물인터넷 분야에서의 침해사고대응 전문가를 양성하는 데 기여가 예상된다. 제안된 교육과정 모델은 사물인터넷 환경의 보안을 강화하고, 사물인터넷에서의 침해사고대응을 통한 안전성이 기대된다.

IoT 환경에서의 안전한 키 업데이트를 위한 하드웨어 연동 보안 시스템 (Hardware Interlocking Security System with Secure Key Update Mechanisms In IoT Environments)

  • 잠시드 사이드오브;김봉근;이종협;이광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671-678
    • /
    • 2017
  • 최근 사물인터넷(IoT)의 발전에 따라 IoT장비가 실생활에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IoT장비의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서, IoT 보안 사고에 의한 사생활 침해의 문제 또한 늘어나고 있다. 키 관리는 보안 서비스에서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작업이다. 보안성 강화를 위해 인증 과정에서 동일한 키의 재사용은 제한되어야 하지만 다양한 키들을 기억하며 수동으로 업데이트하는 일은 어려운 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화된 키 관리 하드웨어 보안 모듈인 HSM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HSM은 IoT장치에 부착하여 장비와 직접 통신하며, 사용자의 개입 없이 안전하고 자동화된 키관리 과정을 제공한다. 제안된 기법을 통해서 제공되는 키는 인터넷 서비스에서의 사용자와 기기의 인증에 사용될 수 있다.

국내 IoT 보안인증 제도 개선 연구 (A Research on the improvement of domestic IoT security certification system)

  • 이용필;서영진;이상걸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79-92
    • /
    • 2021
  • ICT기술이 융합되는 사회에서는 IoT 등 다양한 네트워크 연결기기의 사용이 확산되어지고 있다. 네트워크 연결 기기들은 필연적으로 정보 유출 등 해킹의 위협에 노출되며, 이를 대응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해외에서도 ICT 융합기기 대상 설계부터 보안을 고려한 제품 생산 및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보안인증을 도입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법제화 및 인증기준과 방법을 표준화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에 발맞추어 2020년 정보통신망법이 개정되면서 네트워크에 연결된 ICT 융합기기를 '정보통신망 연결기기등'으로 새롭게 정의하고, 보안인증제도 근거를 마련하였다. 관련 국내외 동향을 살펴보고 국내 보안인증 제도를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고려사항들을 정리해 인증수행체계, 인증등급, 인증마크, 인증수수료, 변경관리, 인증유효기간 등과 중장기적 발전방향을 제안하였다.

Vulnerabilities, Threats and Challenges on Cyber Security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Internet of Things: A Comprehensive Study

  • Alanezi, Mohammed Ateeq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2호
    • /
    • pp.153-158
    • /
    • 2022
  • The Internet of Things (IoT) has gotten a lot of research attention in recent years. IoT is seen as the internet's future. IoT will play a critical role in the future, transforming our lifestyles, standards, and business methods. In the following years, the use of IoT in various applications is likely to rise. In the world of information technology, cyber security is critical. In today's world, protecting data has become one of the most difficult tasks. Different type of emerging cyber threats such as malicious, network based and abuse of network have been identified in the IoT. These can be done by virus, Phishing, Spam and insider abuse. This paper focuses on emerging threats, various challenges and vulnerabilities which are faced by the cyber security in the field of IoT and its applications. It focuses on the methods, ethics, and trends that are reshaping the cyber security landscape. This paper also focuses on an attempt to classify various types of threats, by analyzing and characterizing the intruders and attacks facing towards the IoT devices and its services.

LoRa 기반 IoT 보안대책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oT Security Technology using LoRa)

  • 정용식;차재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3권4호
    • /
    • pp.185-189
    • /
    • 2017
  • 사물인터넷(IoT) 기술의 급속한 성장에 따라 우리는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을 서로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되었다. 최근에는 이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저전력 광역 통신방식인 LPWA(Low Power Wide Area) 네트워크 기술이 점점 인기를 얻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LPWA 기술 중 하나인 LoRa 기술에 대해서 알아보고 LoRa를 기반으로 하는 IoT 시스템에서 보안위협을 최소화하기 위한 IoT 보안 기술을 제안한다.

IoT 환경의 단말 인증 시스템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in IoT environment)

  • 강동연;전지수;한성화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97-102
    • /
    • 2023
  • IoT는 전통적인 정보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 홈, 스마트 해양, 스마트 에너지나 스마트 팜 등 많은 융합 IT 분야에서 IoT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IoT 기반 정보 서비스의 서버에 대하여, 지정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IoT 단말은 신뢰된 객체이다. 그래서 악의적 공격자는 인가되지 않은 IoT device를 사용하여 IoT 기반 정보 서비스 접근, 인가되지 않은 중요 정보에 접근 후 이를 변조하거나 외부에 유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IoT 기반 정보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IoT 단말 인증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IoT 단말 인증 시스템은 MAC address 등의 식별자 기반 인증을 적용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IoT 단말 인증 기능을 사용하면, 인증된 IoT 단말만 서버에 접근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비인가 IoT 단말의 세션을 종료하는 방식을 적용하므로, 보다 안전한 단말 인증 방식인 접근 차단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사물인터넷 환경의 의료정보 보안 (Security of Medical Information on IoT)

  • 우성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73-976
    • /
    • 2015
  • 사물인터넷은 사람, 모든 사물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능동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서로 공유 및 분석하는 사물간의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사물인터넷은 또한 의료서비스 분야의 접목이 주목되고 있다. 하지만 사물인터넷 기술이 주목받으면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보안문제이다. 특히 유헬스 의료기기 등은 개인의 건강정보를 주로 다루기 때문에 의료 정보 만큼의 높은 수준의 개인정보보호 및 보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물인터넷의 보안과 의료분야의 개인정보 유출사례, 개인정보 흐름, 그리고 대응방안을 분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