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vestment Performance

검색결과 1,245건 처리시간 0.026초

뉴럴 텐서 네트워크 기반 주식 개별종목 지식개체명 추출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nowledge Entity Extraction Method for Individual Stocks Based on Neural Tensor Network)

  • 양윤석;이현준;오경주
    • 지능정보연구
    • /
    • 제25권2호
    • /
    • pp.25-38
    • /
    • 2019
  • 정보화 시대의 넘쳐나는 콘텐츠들 속에서 사용자의 관심과 요구에 맞는 양질의 정보를 선별해내는 과정은 세대를 거듭할수록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정보의 홍수 속에서 사용자의 정보 요구를 단순한 문자열로 인식하지 않고, 의미적으로 파악하여 검색결과에 사용자 의도를 더 정확하게 반영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은 대형 IT 기업들도 시멘틱 기술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만족도와 편의성을 제공하는 검색엔진 및 지식기반기술의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금융 분야는 끊임없이 방대한 새로운 정보가 발생하며 초기의 정보일수록 큰 가치를 지녀 텍스트 데이터 분석과 관련된 연구의 효용성과 발전 가능성이 기대되는 분야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식 관련 정보검색의 시멘틱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주식 개별종목을 대상으로 뉴럴 텐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지식 개체명 추출과 이에 대한 성능평가를 시도하고자 한다. 뉴럴 텐서 네트워크 관련 기존 주요 연구들이 추론을 통해 지식 개체명들 사이의 관계 탐색을 주로 목표로 하였다면, 본 연구는 주식 개별종목과 관련이 있는 지식 개체명 자체의 추출을 주목적으로 한다. 기존 관련 연구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모형의 실효성과 현실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방법이 모형설계 과정에서 적용되며, 객관적인 성능 평가를 위한 실증 분석 결과와 분석 내용을 제시한다. 2017년 5월 30일부터 2018년 5월 21일 사이에 발생한 전문가 리포트를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진행한 결과, 제시된 모형을 통해 추출된 개체명들은 개별종목이 이름을 약 69% 정확도로 예측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모형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후속 연구와 모형 개선을 통한 성과의 제고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종목명 예측 테스트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학습 방법이 새로운 텍스트 정보를 의미적으로 접근하여 관련주식 종목과 매칭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소매유통업의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retail business efficiency in Korea)

  • 김순홍;유병국
    • 유통과학연구
    • /
    • 제12권4호
    • /
    • pp.23-30
    • /
    • 2014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retail businesses by dividing domestic retailers into discount stores, super supermarkets (SSMs), and department stores. It suggests retail-business investment strategies by using data environment analysis (DEA) to analyze how input elements such as store area, parking lot area, number of employees, and sales management expenses for the convenience of customers positively affect business performance measurements such as sales and visiting customers per da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DEA model calculates a ratio of the weighted mean of various inputs to the weighted mean of various outputs and measures the efficiency of a specific decision making unit (DMU). The study included 19 companies (five discount store DMUs, ten SSM DMUs, and four department store DMUs). Because the business elements and sizes of retail store DMUs used in this analysis are different, average per-store input and output variables were used.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Yearbook of Retail Industry in Korea (2012)." DEA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efficiency among discount stores, SSMs, and department stores in terms of the business elements of each retail business. It was also used to determine what business elements were excessively invested in by comparing and analyzing efficiency by business elements using SPSS software's ANOVA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 The CCR and BCC efficiency analysis found that the efficiency of discount stores is low. We believe that the saturation state of discount stores is a major factor. The ANOVA analysis confirms the VRS hypothesis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based on an analysis confidence interval of 95%. CRS and SE were not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As for the post hoc test, which concretely shows differences by group, the Scheffe's multiple comparison analysis test found the average differences between group 1 (discount stores) and group 2 (SSM)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 The DEA efficiency analysis implies that investment in input elements, including store area, parking lot area, and sales management expenses, were excessive in the case of discount stores, while SSMs need to invest more in promotion activities such as gifts, events, and coupons for customer management. Department stores have found that small companies invest excessively in input elements. Department stores need to invest in differentiated shopping mall complexes. This study was limited in acquiring statistical data; various input variables which might have shown more secure customer management and promotional expenses could not be applied. As the study was limited in various aspects of the efficiency analyses because financial analyses of the companies and of causal relationships, including satisfaction and loyalty of visiting customers, were not done, these aspects will be examined in the next study.

한국 상장기업의 영업현금흐름 조정 동기 (Incentives to Manage Operating Cash Flows Among Listed Companies in Korea)

  • 최종서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4권5호
    • /
    • pp.213-23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상장기업이 K-IFRS 도입 후 현금흐름표에서 보고되는 영업현금흐름을 상향조정하기 위하여 분류조정을 이용하는 경향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류조정의 대용변수로는 계량경제학적으로 산출되는 비정상영업현금흐름, 그리고 이자 및 배당금의 수취와 지급을 영업현금흐름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분류하는지의 여부를 반영하는 더미변수를 사용한다. 조정의 유인으로는 기업의 재무적 부실, 투자적격과 부적격의 경계영역에 해당하는 신용등급, 음(-), 혹은 전년도의 보고영업현금흐름보다 낮은 실적보고의 회피동기 등을 고려한다. 실증분석 결과 분류조정 변수와 조정유인 변수사이에 기회주의 설명과 일치하는 양(+)의 관련성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일부의 분석에서는 음(-)의 관계가 확인되었다. 이는 K-IFRS에서 허용하고 있는 분류의 재량이 영업현금흐름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행사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초과 영업현금흐름 실적과 관련되고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며 이는 분류방식을 기간별로 일관되게 채택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K-IFRS의 규정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 PDF

헤어살롱 서비스스케이프 차별화 성공사례 ("Servicescape" Differentiation in a Hair Salon)

  • 이상현;박철주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9호
    • /
    • pp.71-79
    • /
    • 2015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changes in the differentiated "servicescape" on the business performance in the hair salon industry using a case study. For this, we selected hair salon M located in Suwon. The shop is innovatively different from existing shops in terms of spatial layout and functionality. We conducted in-depth research, beginning with the launch of the shop concept through investment and ongoing stable sal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M hair salon is a start up shop providing a differentiated servicescape (physical environment where the service takes place) located in Suwon, Yeongtong-gu. We conducted research to investigate how spatial layout and functionality of the servicescape impact customers' perceived quality. The interview period and case analysis was May 2014 through March 2015, covering 11 months. To conduct the case analysis, we analyzed the spatial layout and functionality of existing shops and interviewed customers and experts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hair salon M and existing shops. Results - Our results found clues to the positive effect of spatial layout and functionality among servicescape factors on perceived service quality at the salon. The shop showed a fast payback of the principal investment, growth potential in contrast to competitors near the salon, and 45 percent returning customers. The problem with the spatial layout at existing shops was that customers were aware of the way other people were looking at them, since viewing angles overlapped, therefore there was a limitation to the relationship intensity with an exclusive hair designer. In contrast, the layout of the stands at the M salon kept the number of dressing stands limited to maximize the customer's emotional response. Additionally, because of the new layout of dressing stands hiding other customer voices and appearance in the salon, customers perceived their service space as independent. Therefore, they did not have to focus on their personal emotional response, which was one of the advantages of the new layout. Conclusions - This study conducted case study analysis by offering a new perspective focusing on spatial layout, previously not consider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of quality evaluations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existing literature on hair salon management. Therefor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by offering an opportunity to discover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overlooked physical environment and a customer's perceived quality. However, a process objectifying the results of the study through empirical analysis and hypotheses is need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ase study approach and generalize the results. Moreover, it would be beneficial to conduct further empirical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tial layout provided in the case and a customer's emotional response and change in mood. In addition, an analysis is needed regarding how customers feel about the factors using the Kano Model. These suggestions would be considered in further study.

가치사슬 내부 및 외부의 지식원천이 급진적 혁신 및 점진적 혁신에 미치는 영향 : 지식원천들의 연구개발투자-혁신성과 관계에 대한 조절효과 (The Roles of Knowledge Sources in and out of the Value Chain on Radical and Incremental Innovation : Moderating Effects of Knowledge Sources on the R&D Investment-Innovation Relationship)

  • 김건식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54-490
    • /
    • 2018
  • 본 연구는 중소 제조기업에서 가치사슬 외부 및 내부 지식원천들이 급진적 혁신 및 점진적 혁신에 미치는 영향과 지식원천들 간의 상호작용, 그리고 지식원천이 연구개발투자와 상호작용하여 급진적 혁신 및 점진적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술혁신조사의 원자료를 바탕으로 3,218개의 종단패널데이터를 구성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 제조기업에서 가치사슬 외부의 지식 원천을 많이 활용할수록 급진적인 혁신성과가 증가하며, 가치사슬 내부의 지식 원천에 관한 채널이 많을수록 점진적인 혁신성과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가치사슬 외부 및 내부의 지식 원천은 혁신성과와 역 U자형 관계가 있음을 실증하였다. 이는 가치사슬 외부의 지식 원천과 혁신성과 간에 수확체감(diminishing returns)의 기제가 작용함을 의미한다. 셋째, 가치사슬 외부의 지식 원천과 내부의 지식원천 간에는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가 존재하여 가치사슬 외부 및 내부 지식 채널이 많아지면 지식원천-혁신성과 간의 관계에서 선형적인 기제(linear mechanism)가 더욱 강화되고 있다. 넷째, 가치사슬 외부 및 내부의 지식원천은 모두 연구개발투자와 급진적 혁신성과 간의 관계에서 시너지를 창출하여 지식원천의 채널을 많이 활용할수록 혁신성과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

효율성 비교를 통한 나노기술 분야별 R&D 전략 수립 (R&D Strategy Development for Nanotechnology Areas based on Efficiency Comparisons)

  • 배성훈;김준현;정연주;강상규;김재신;김흥규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1-40
    • /
    • 2017
  • In this paper, we compared the efficiencies of national R&D investments between NT (Nanotechnology) areas in terms of papers, patents, and commercializations, and found ways to improve the efficiencies of national R&D investments for each NT area. This is in response to huge R&D investments government has made recently in NT areas. Here, we collected data on investments, papers, patents, and commercializations for the R&D projects in NT areas through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the data, we analyzed the investment and performances (papers, patents, and commercializations) for each NT area, calculated the efficiency for each NT area, and compared the efficiencies between NT areas. Next, using cluster analysis, we identified several NT area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in terms of paper efficiency, patent efficiency and commercialization efficiency. Finally, we derived implications for the efficiency enhancement for each grouping. The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there could be two groups, one being low in terms of technological outcome (papers and patents) efficiencies and high in terms of commercialization efficiencies, while the other being high in terms of technological outcome (papers and patents) efficiencies and low in terms of commercialization efficiencies. Therefore, the strategy for one group calls for support for technology transfer or technology introduction from other R&D performers and grant of guidance for improving R&D performers' commercialization ability to other R&D performers while the strategy for the other group calls for R&D support for transfer of technology to other R&D performers, activation of technology transfer and support for commercialization of R&D performers.

기술이전·사업화 전담조직(TLO) 활동의 중요도 평가 및 우선순위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ssessment of Importance and Priority Derivation from Activities of Technology Transfer & Licensing Organization Using AHP Method)

  • 한경진;곽나연;이중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37-46
    • /
    • 2016
  • 과학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한 R&D 투자 확대로 국내 공공연구기관의 특허출원 성과는 양적으로 증가했지만, 연구 성과의 활용수준은 아직 미비하다. 이로 인해 공공연구기관의 성과 활용을 위한 기술이전사업화의 원활한 추진 및 관련 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기술이전 사업화 전담조직(Technology Transfer&Licensing Organization)의 운영이 중요해지고 있다. TLO 조직의 효율적인 업무 수행 및 연구개발 성과물의 활용 개선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TLO조직의 업무 영역별 활동을 도출하여 업무 체계를 정립하고 업무 활동에 따른 활동 우선순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업무 활동 체계를 정립하고, 6개 업무영역과 21개의 업무 활동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TLO의 업무 영역별 활동을 AHP 분석으로 각 업무 영역별 활동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계산한 후에 업무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기술이전 사업화 업무 활동을 정립하고 업무 활동별 주요 업무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대학 및 출연연구기관의 기술이전 사업화 조직의 업무 효율성과 기술이전 성과를 높이는 데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SO14001인증 녹색기업과 환경위반 기업의 특성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Green Companies and Environment Rule Violation Companies)

  • 김인수;정범석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2권5호
    • /
    • pp.157-174
    • /
    • 2013
  •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환경문제가 이슈화 되면서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수식어는 정치, 경제, 사회 등 전 영역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다.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으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정부는 환경보호와 환경관리를 위해 환경규제강화와 친환경정책을 함께 펴고 있다. 본 연구는 녹색기업과 환경규제위반기업간의 특성차이를 실증분석 하였다. 환경의식, 재무적 능력, 기업의 구조적 특성 및 기술적 특성 등 기업의 특성과 기업의 환경친화성과의 관계를 실증분석 하였다. 가설은 환경관리 담당자들과의 인터뷰와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설정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녹색기업과 환경규제위반기업간의 특성관계에서 기존연구의 결과와 달리 환경의식의 대위변수인 지배주주지분율은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기각되었으나 ISO 14001 인증여부는 유의한 결과를 보이고 있어 환경성과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기업의 재무적 능력은 녹색기업과 환경규제위반기업간의 특성에서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기각되었다. 이는 환경성과와 재무능력은 관련이 없다는 것으로 재무성과가 더 좋은 기업이거나 나쁜 기업일지라도 반드시 환경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기업의 구조적 특성은 녹색기업과 환경규제위반기업간의 관계에서 기존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자본집약도의 지표인 유형자산비중과 수출비중은 기각되었고 종업원비중은 유의한 결과를 얻었지만 기존연구와 반대의 결과로 종업원비중이 높은 기업이 환경규제를 위반한다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넷째, 기술적인 능력이 환경성과에 영향을 준다는 유의한 결과를 얻었는데 그 결과는 기존연구와 같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연구개발투자비중이 높을수록 환경규제를 준수한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녹색기업이 환경규제위반기업보다 연구개발투자를 많이 하고 있으며 환경기술능력을 향상시켜 환경관리를 잘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정보시스템의 중요도, 활용도, 기여도에 관한 제조업 현장인식에 관한 연구 - 공정간 차이에 대한 IPA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ortances, Usages, and Contributions of IT system between Line and Project base processes)

  • 현민철;조부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5942-5954
    • /
    • 2015
  • 기업 간 공급사슬에서 정보시스템의 활용은 글로벌화로 급속히 변화하는 경영 환경과 고객의 요구사항들이 다양해지면서 새로운 시장 상황에 적응하는 데 필수적인 요인으로 인식되어, 경쟁우위와 비용절감의 목적으로 정보시스템에 대한 관심과 투자를 확대시켜 가고 있다. 최근 많은 기업들은 정보시스템 도입 및 이를 통한 효과적 의사소통이 공급망 프로세스의 통합을 이루고 공급망의 전반적 성과를 향상시킬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정보시스템 도입을 통해 큰 성과를 본 기업들도 많았지만 그만큼 많은 기업들에서 기대했던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심지어 도입이 완료되기도 전에 프로젝트를 중단해 버리거나 도입한 정보시스템을 다시 철수하는 경우도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시스템 활용의 중요성을 산업의 특성에 따른 공정의 상이성과 관련하여 새로이 인식시키고, 공급망 내 참여기업들의 협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구체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제조업 현장에서 산업 특성에 따른 공정 간 정보시스템의 중요도, 활용도 및 기여도에 대한 인식 수준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상이한 공정 또는 공급사슬 상의 위치를 가진 제조업 간의 고객사, 공급사, 기업 내부 간 협력적 공급사슬관리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해 봄으로써, 정보시스템 투자 수용 정도가 상이해지는 맥락을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라인공정 199개사, 프로젝트공정 98개사, 총 297개사를 대상으로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정보시스템의 중요도, 활용도, 기여도 점수에서 라인공정이 프로젝트공정에 비해 전체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어 공정 간 특성에 따라 정보시스템에 대한 지각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계학습 기반의 영화흥행예측 방법 비교: 인공신경망과 의사결정나무를 중심으로 (A Comparison of Predicting Movie Success betwee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Decision Tree)

  • 권신혜;박경우;장병희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593-601
    • /
    • 2017
  • 본 연구는 영화산업의 가치사슬단계에 따라 각 단계에서 고려할 수 있는 변인을 활용하여 제작/투자, 배급, 상영단계별 모형을 구성하였다. 모형의 예측력을 높이기 위해 회귀분석으로 유의미한 변인을 도출하여 모형을 추가로 설정하였다. 주어진 변인을 바탕으로 기계학습 분석방법인 인공신경망과 의사결정나무 분석방법 간의 예측력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제작/투자 모형과 배급 모형에서 모든 변인을 투입했을 때는 인공신경망의 정확도가 의사결정나무보다 높았으나, 회귀분석결과에 따라 선정된 변인을 투입하였을 때는 의사결정나무의 정확도가 더 높았다. 상영 모형에서는 회귀분석결과의 반영여부와 관계없이 인공신경망의 정확도가 의사결정나무의 정확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논문은 영화흥행 예측연구에 기계학습기법을 적용하여 예측성과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선형회귀분석 결과를 기계학습기법에 반영함으로써 기존의 선형적 분석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