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vestment

검색결과 7,221건 처리시간 0.03초

How Have Financialization and Offshoring Affected the Firm's Investment in Korea?

  • Lee, Woocheol;Kim, Joonil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0권3호
    • /
    • pp.1-16
    • /
    • 2019
  • This paper examines how firm's investment has been affected by offshoring and financialization in Korea over the period 2000-2014 by using industry-level data collected from World Input Output Database (WIOD) and firm-level data collected from the KIS-Value Database.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fshoring index as expected show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real investment. This negative impact is stronger in a large firm group. Second,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ividend payments and real investment. The positive relationship is greater in a small & medium-sized firm group. Third, the purchase of financial assets and the income generated from financial assets are positively related to real investment. The positive relationship is stronger in the small & medium-sized firm group.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firm size is a factor that effectively affects firm's real investment.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influence of financialization and offshoring on firm's real investment should be assessed in various contexts rather than in a unilateral context.

한국의 금산분리법 완화와 CVC 투자유형 변화 간의 상관관계 논증 (Correlation Between the Relaxation of South Korea's Capital Market Separation Law and Changes in CVC Investment Types)

  • 이기호;이상명
    • 벤처혁신연구
    • /
    • 제6권3호
    • /
    • pp.61-72
    • /
    • 2023
  • 2020년 12월, 한국의 금산분리 원칙과 관련한 공정거래법이 개정되고 이를 1년 뒤인 2021년 12월 30일부터 시행한다는 정부의 발표가 있었다. 개정의 내용은 과거 금산분리의 대원칙이었던 산업자본의 금융시장 침투 금지 기조를 깨고 '일반지주회사의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와 신기술사업금융전문회사 주식의 소유 가능'이었다. 이 개정 법의 전제는 발행주식 총수의 소유이었지만, 법 개정 전후로 CVC(Corporate Venture Capital;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탈)의 연간 설립 건수와 투자 건수, 전략적 투자 건수 등의 추이에 변동이 있었다. CVC와 IVC(Independent Venture Capital; 독립 벤처캐피탈)는 투자 목적, 펀드 운용 유형, 투자 유형에 따라 그 특징이 구분되는데, 이 부분에서 금산분리법의 완화는 향후 벤처투자생태계와 혁신생태계의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법 개정 전인 2018년부터 법 개정 이후 2023년 5월까지 국내 CVC의 설립 건수, 투자 건수, 전략적 투자건수의 추이를 분석하여, 개정 금산분리법이 시행되었던 2021년을 기준으로 추이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의 결과, 국내 CVC는 2021년에 전년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투자건수와 전략적 투자건수, 전략적 투자의 투자금액 또한 과거에 비해 증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국내 CVC 투자와 전략적 투자, 벤처투자시장 활성화 등과 관련한 추가적인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다.

스타트업 CEO 특성이 시리즈 A 투자단계 벤처기업의 투자금액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the Characteristics of Start-up CEOs on the Amount of Investment in Series A Round)

  • 최성우;한인구;윤병섭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4호
    • /
    • pp.17-3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스타트업 CEO의 특성이 투자유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시리즈 A 투자 관점에서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타트업 CEO의 학력 수준이 높을 때, 스타트업 경험이 있을 때, 투자유치 경험이 있을 때 벤처캐피탈 등 벤처투자자는 스타트업 투자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통제변수를 도입하여도 체계적으로 유의하게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직장 경험이 있을 때 스타트업 총투자금액에는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았으나, 평균투자금액에는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총투자금액은 스타트업 경험이 있을 때가 투자유치 경험이 있을 때보다 표준화 계수의 크기가 크게 나타났으나, 평균투자금액은 투자유치 경험이 있을 때가 스타트업 경험이 있을 때보다 표준화 계수의 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총투자금액에서는 스타트업 경험이, 평균투자금액에서는 투자유치 경험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시리즈 A 투자 시점에 스타트업의 매출액이 높으면 총투자금액 및 평균투자금액도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스타트업은 비록 수익성이 떨어지거나 적자이더라도 어느 수준의 매출액이 확보되면 벤처캐피탈에게 매력적인 투자대상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는 벤처캐피탈의 투자의사결정 및 스타트업의 자금조달 전략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스타트업을 준비하는 예비스타트업 CEO에게 주는 시사점은 학위의 취득을 통해 전문성을 갖추고 스타트업에 도전하여 스타트업 경험을 쌓고 투자유치를 경험하면 총투자금액이 증가할 것이라는 점이다. 스타트업 경험이 없더라도 관련된 산업에서 직장경험을 한다면 평균적으로 투자받을 수 있는 금액이 증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 Study on the Impact of Real Exchange Rate Volatility of RMB on China's Foreign Direct Investment to Japan

  • He, Yugang
    • 동아시아경상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4-36
    • /
    • 2018
  • Purpose - From establishing China-Japan diplomatic relations in 1972, the relations between two states has improved a lot, from which makes the government and the people reap much benefit. Owing to this reason, this paper aims at exploiting the impact of exchange rate volatility of RMB on China's foreign direct investment to Japan. Research design and methodology - The quarterly time series data from 2003 to 2016 will be employed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under the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Meanwhile, a menu of estimated methods such the Johansen co-integration test and the Granger Causality test will be also used to explore the impact of exchange rate volatility of RMB on China's foreign direct investment to Japan. Results -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exhibit that the real exchange rate has a positive effect on China's foreign direct investment to Japan in the long run. Conversely, the real exchange rate volatility of RMB, the trade openness and the real GDP have a negative effect on China's foreign direct investment to Japan in the long run. However, in the short run, the China's foreign direct investment to Japan, the real exchange rate, the trade openness and the real GDP in period have a negative effect on China's foreign direct investment to Japan in period. Oppositely, the real exchange rate volatility of RMB in period has a positive effect on China's foreign direct investment to Japan in period. Conclusions - From the empirical evidences in this paper provided, it can be concluded that an increase in the exchange rate volatility of RMB can result in a decrease in the China's foreign direct investment to Japan in the long run. However, an increase in the exchange rate volatility of RMB can lead to an increase in the China's foreign direct investment to Japan in the short run. Therefore, the China's government should have a best control of the real exchange rate volatility of RMB so as to improve China's foreign direct investment to Japan.

투자자-국가간 분쟁해결제도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The Problems and Countermeasures of the Investor-State Dispute Settlement Mechanism)

  • 홍성규
    • 무역상무연구
    • /
    • 제68권
    • /
    • pp.89-121
    • /
    • 2015
  • Investor-State Dispute Settlement(ISDS) grants a foreign investor the right to access an international arbitrator, if he believes actions taken by a host government are in breach of commitments made in an investment agreement or an investment treaty. The arbitration procedure of ICSID is made specifically to resolve investment disputes, so most of investment disputes have been settled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 Owing to limitation of dispute settlements through the ICSID arbitration procedure, several investment dispute conciliation schemes have been emerged as alternatives. In the case of a conciliation, the conciliation procedure will be in progress based on arbitrary agreement between parties, and if both parties agree on a conciliation program, then the arbitrary execution rate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arbitration procedures. In addition, it is evaluated that the time duration of conducting a conciliation procedure is in general rather short in 8 to 24months, and its incumbent cost is also rather inexpensive. Most of all, through amicable settlement of a dispute between a foreign investor and a host state, the foreign investor may continue his investment activities without a hitch, while the host state may invite more investment without any risk of losing its external credibility. In conclusion, it is desirable to lead any investment dispute between a foreign investor and a host state settle in accordance with the dispute settlement procedure as specified in the relevant investment agreement. In addition, to make the foreign investor continue his investment activities, it will be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investment dispute conciliation system aside from such arbitration procedures to cope any unexpected incident flexibly.

  • PDF

직.간접투자행동에 의해 분류된 투자자유형별 사회경제적 특성과 투자성향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Investment Attitude of Direct and Indirect Investors of Financial Assets)

  • 성영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9권2호
    • /
    • pp.51-62
    • /
    • 2011
  • Financial consumers can invest their financial assets directly or indirectly. This investment type have effect on their financial well-being and may be influenced by their financial characteristics and investment attitude.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classify the consumers by direct and indirect investment behavior of their financial assets and to investigate their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investment attitudes to give implications for financial counseling and education. The data came from the 2009 Fund Investors Survey which was conducted by Korea Investors Protection Foundation. Total 2,530 consumer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CROSSTAB,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In general, consumer tended to be rational in choosing the investment type. Noninvestors consisted of 38.5% of the sample. The economic level was the lowest for the noninvestors. The consumers who invest both indirectly and directly consisted of 21.0% and their economic level was the highest. Their investment tendency was between direct and indirect investors'. The proportion of direct investors ws 12.1% and that of indirect investors was 28.4%. Although the economic levels of indirect investors and direct investor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ir demographics and investment attitudes. The proportions of those aged 30-39, female and nonmarried were greater for indirect investors. They had the tendency to invest safely and diversely for a long term with reserve money. On the other hand, direct investors tended to be male, married and aged 40-49. They tended to invest intensively for a shorter term and seek returns even with borrowing money.

부동산 투자의사결정에 있어 투자자 선호특성이 투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Influence Analysis of Investor Preference for Investment Satisfaction Degree on Decision Making of Real Estate Investment)

  • 백준석;김구회;이주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553-562
    • /
    • 2016
  • 본 연구는 투자자가 부동산 투자의사결정에 있어 고려해야하는 투자선호특성을 규명하고 투자자 유형에 따른 선호특성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투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투자선호특성을 종합하고 PLS(Partial Least Squares)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그 영향을 실증하였다. 또한 투자자 유형별 투자선호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분석대상을 기관투자자와 일반투자자로 구분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기관투자자는 인플레이션 헤지, 조지자본회수, 재무적 안전성, 레버리지 위험 등의 투자선호특성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투자자의 경우 임대수익, 시설 및 설비, 상권 및 인구, 이용 편의성, 레버리지 위험, 조기자본회수 등의 투자선호특성이 중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공통적인 투자선호특성으로 레버리지 위험, 조기자본회수, 시설접근성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투자자들은 부동산 투자에 있어 투자 위험을 회피하거나 줄일 수 있는 요인을 중시 한다는 점이다. 둘째, 부동산 경기 침체 및 저금리 현상으로 나타나는 부동산 관련 규제 및 금융규제완화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동산 투자의사결정에 있어 투자자 유형에 따른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비정상투자가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bnormal Investment on Analyst Earnings Forecast)

  • 전진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07-215
    • /
    • 2018
  • 본 연구는 유가증권 및 코스닥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비정상 투자가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기간은 관심변수를 기준으로 2003년부터 2015년까지(종속변수는 2004년부터 2016년까지)이며 재무분석가가 주당이익예측치를 발표한 기업 중 연구조건을 만족하는 최종표본 4,917개 기업/년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정상 총투자, 비정상 R&D, 비정상 CAPEX 투자가 많을수록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정확성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비정상 총투자, 비정상 R&D, 비정상 CAPEX 투자가 많을수록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은 비관적인 성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분석을 통해 이러한 결과는 과소투자 집단보다는 주로 과잉투자 집단에 의해 발생되는 결과임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결정요인으로 비정상투자가 고려된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에 추가적인 공헌점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업의 빅데이터 투자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 of Big-data investment on the Market value of Firm)

  • 권영진;정우진
    • 지능정보연구
    • /
    • 제25권2호
    • /
    • pp.99-122
    • /
    • 2019
  • IDC(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 사(社)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에는 2016년에 생성된 데이터의 10배에 달하는 163제타바이트의 데이터가 생성될 것이고 그 주체의 비중은 소비자에서 기업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소위 '빅데이터의 물결'은 도래하고 있고 그 파장은 산업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방대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기업의 관점에서 그 어느 때보다 더 중요하다. 하지만, IT 투자에 대한 효과를 측정한 선행 연구는 다수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빅데이터 투자 효과를 측정한 선행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해당 투자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한다면 기업의 의사 결정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효율적 시장 가설을 이론적 바탕으로 둔 사건연구방법론(Event Study Methodology)을 적용하여, 기업의 빅데이터 투자가 시장 투자자들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또한, 보다 심층적으로 이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5가지 하위 변수를 설정했고 그 내용은 기업 크기 구분, 산업 구분(Finance와 ICT), 투자 구축 완료 구분, 벤더 유무 구분이다. 분석 결과, 91개 기업은 빅데이터 투자 공시 이후 시장 가치가 평균 0.92% 상승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특히 Finance 기업, non-ICT 기업, 시가 총액이 작은 기업, 빅데이터 전문 벤더 기업을 통해 투자한 기업, 그리고 빅데이터 시스템이 구축 완료됐다는 공시에 해당하는 기업의 시장 가치가 두드러지게 상승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 투자 효과를 측정한 선행 연구가 거의 전무하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의를 지니고, 빅데이터 투자를 고려 중인 기업 의사 결정자들에게 실질적인 참고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시사점을 갖는다.

한중일 FTA와 투자를 둘러싼 법적체계와 제약요소의 개선 (Improvement of the Legal System and Constraints on the Investment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 노재철;고준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702-714
    • /
    • 2013
  • 한중일은 새로운 경제성장을 위한 고민과 더불어 외자를 유치함에 있어 새로운 도전과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향후 한중일 FTA는 3국간의 투자를 더욱 촉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 논문은 한중일 3국간의 투자에 관한 법적체계와 제약요소 및 투자규칙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3국간의 무역경제 관계와 투자흐름을 검토하고, 이를 배경으로 3국의 외국투자에 관한 법적체계 및 투자규칙에 관한 검토를 통하여 상대국에 있어서 투자에 관한 주요한 제약이 무엇인지, 향후 한중일 FTA는 3국간의 투자를 더욱 촉진하기 위해서는 한중일 FTA 투자 장(章)에 포함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중일 FTA는 3방향의 투자 흐름을 원활화하고 3국간에 투자자와 투자보호를 강화하기위한 효과적인 수단이 될 것이다. 이 점에서 향후 한중일 FTA 투자 장은 내국민 대우, 최혜국대우, 특정조치의 이행요구의 금지 및 경영진이나 이사회의 국적 요건, 자금의 이전, 세이프가드 조치, 수용 및 보상, 손실에 대한 보상, 공정 형평 대우, 투자자 대 국가의 분쟁 해결 및 3국 간 합의 된 다른 요소를 포함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