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rinsic viscosity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23초

3차원 잉크젯 쾌속 조형법을 위한 세라믹 상변화 잉크의 음속측정 (Measurement of the intrinsic speed of sound in a hot melt ceramic slurry for 3D rapid prototyping with inkjet technology)

  • 신동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892-898
    • /
    • 2008
  • 3차원 쾌속 조형법은 컴퓨터에 저장되어있는 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제품을 제작하는 기술로써, 기존의 나무나 클레이, 혹은 주조 제작방식과는 달리 원하는 위치에 요구되는 재료를 직접 적층함으로써 원형제품을 제작함을 특징으로 한다. 스테레오리쏘그래피, 용융 점착법, 선택적 레이저 소결법, 판상 제작법 등의 다양한 3차원 쾌속 조형법이 개발되었으나, 그 중에서 잉크젯을 통한 3차원 쾌속 조형법은 잉크화된 조형재료를 통해 구조적으로 기능이 가능한 원형제품의 제작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기능성 원형제품의 제작을 위해서는 잉크의 고농도화가 요구되며, 이로 인해 잉크 점도가 상승되어 젯팅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쾌속 조형법을 위한 최적 젯팅조건을 도출하기 위해 슬러리 타입 세라믹 상변화 잉크의 음파 전달속도 측정과 음파 전달속도가 젯팅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도록 한다.

연안산 및 남미산 오징어 연골로부터 제조한 Chitosan의 레올로지 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Chitosan Manufactured from the Pens of Domestic (Todarodes pacificus) and Foreign (Ommastrephes bartrami) Squid)

  • 김상무;박성민;최현미;이근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59-867
    • /
    • 1997
  • 오징어 가공중 부산물로 배출되는 오징어 연골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기초 단계로서 우리나라 연안산과 남미 포클랜드산 오징어 연골로부터 chitosan을 제조하여 그레올로지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연안산 오징어 연골의 질소와 회분 함량은 각각 $11.4\%$$0.7\%$ 이었으며, 남미산 오징어 연골의 질소와 회분 함량은 각각 $12.1\%$$0.8\%$ 이었다. 그리고 chitosan에서 질소함량은 연안산이 $7.5\%$ 이었고, 남미산은 $7.8\%$ 이었다. 각 chitosan의 탈아세틸화도와 분자량은 각각 $90\%$, $1.08\times10^6$$90\%,\;1.20\times10^6$ 이었고, 수율은 각각 $26.4\%,\;25.7\%$ 이었다. pH 변화$(pH\;3.4\~5.4)$에 따른 연안산과 남미산 오징어 연골 chitosan의 고유점도의 변화는 pH가 증가할수록 두 chitosan의 고유점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연안산과 남미산을 비교해 보면 전체 pH 영역에서 남미산이 조금 높은 고유점도를 나타내었으나 pH 증가에 따른 고유점도의 강소 경향에는 차이는 없었다. NaCl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두 시료 chitosan의 고유 점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징어 연골 chitosan의 $[\eta]\infty$는 연안산과 남미산 각각 $3.5970d\ell/g$$3.248d\ell/g$이었고, 사슬의 유연성 (B)은 두 시료 공히 0.11 이었다. 연안산 오징어 연골 chitosan $0.5\%$ 용액의 경우 유동 곡선은 항복응력이 없는 의가소성 유체로 분류할 수 있었다. 남미산 오징어 연골 chitosan 용액의 경우는 거의 직선에 가까운 유동곡선을 나타내어 뉴우튼 유체에 가까웠다. 연안산과 남미산 오징어 연골 chitosan의 각 온도별 유동지수는 농도가 낮아질수록 온도가 높아질수록 뉴우튼 유체의 거동에 가까워지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농도에 따른 점조도지수 (K)의 변화에서 각 온도별 오징어 chitosan용액의 유동특성이 달라지는 임계농도는 연안산이 $0.15\~0.24\%$ 범위이었고, 남미산은 $0.21\~0.24\%$ 범위이었다. 각 농도에서 구한 활성화에너지는 $0.1\%$에서 $0.5\%$까지 순서대로 연안산 오징어 연골 chitosan은 각각 3.7, 6.3, 3.6, 4.0 및 4.1 kcal/g mol 이었고, 남미산 오징어 연골 chitosan은 각각 3.2, 3.1, 3.4, 3.8 및 3.6 Kcal/g mol 이었다.

  • PDF

쌀전분 희석 호화액의 유동학적 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Gelatinized Dilute Rice Starch Solutions)

  • 김영숙;김주봉;이신영;변유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16
    • /
    • 1984
  • 멥쌀 및 찹쌀 전분을 상압과 가압가열 및 알칼리 호화한 회석전분 호화액에 대해 유동특성을 검토하였다. 전분농도 $0.2{\sim}1.0%$의 저농도의 호화전분액은 지수법칙 유체의 유동거동을 나타내었으며 아밀로오스 함량에 따라 크게 좌우되어 아밀로오스 함량이 많은 멥쌀은 점성이 낮고 뉴우톤 유체의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농도에 대한 영향이 작았다. 찹쌀 전분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의가소성 성질이 강해졌으며 농도에 따라 급격히 점도가 증가하였다. 가압호화시킨 경우 찹쌀 전분 호화액의 점조도 지수 및 유동 거동 지수는 상압 호화액에 비하여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멥쌀 전분 호화액의 점조도 지수값은 현저히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가압 가열호화 및 알칼리 호화 용액은 상압 가열호화에 비해 훨씬 높은 점성을 보였다. 가열 호화 및 알칼리호화액의 겉보기 점도에 대한 온도의 영향을 검토해 본 결과 아레니우스식의 형태에 따름을 알 수 있었다.

  • PDF

선인장 열매로부터 추출된 점질물 및 색소의 기능성 (Functional Properties of Mucilage and Pigment Extracted from Opuntia ficus-indica)

  • 이삼빈;황기;하영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821-826
    • /
    • 1998
  • Functional properties of mucilage and pigment extracted from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were determined at various temperatures, pHs and alcohol concentrations. The crude mucilage extracted from pickly pear showed pH 4.2, 0.14% total acidity and 8.1% total soluble solid content(w/w, wet basis). Polysaccharide was purified from mucilage extract by isopropanol precipitation. Intrinsic viscosity of polysaccharide was 18.1dl/g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KCl concentration. Relative viscosity and color stability of mucilage extract were determined with capillary viscometer and spectrophotometer at 534nm, respectively. In additions of 1~20%(v/v) ethanol, the red pigment of mucilage extract was very stable, but relative viscosity, increased gradually. For heating above 7$0^{\circ}C$, the stability of red pigment decreased drastically, but rheological property of mucilage was not changed. During storage, the red pigment was extremely unstable at above pH 8.3. At both pH 3.0 and pH 4.2, the red pigment was the most stable at 4$^{\circ}C$ for 18 days. In the case of storage at 37$^{\circ}C$, pigment of mucilage extract at pH 3.0 was destroyed more quickly than that at pH 4.2. Natural mucilage extract(pH 4.2) showed the good stability of red pigment at 3$0^{\circ}C$ for 10 days.

  • PDF

고강도 초음파를 이용한 Octamethylcyclotetrasiloxane의 에멀전 중합 (Emulsion Polymerization of Octamethylcyclotetrasiloxane under Ultrasonic Irradiation)

  • 김지혜;김유빈;김형수
    • 공업화학
    • /
    • 제20권3호
    • /
    • pp.322-328
    • /
    • 2009
  • Octamethylcyclotetrasiloxane (OMCTS)을 에멀젼 상태에서 초음파를 조사하여 polydimethylsiloxane (PDMS)을 중합하였다. 중합에 활용된 초음파 반응기는 주파수가 20 KHz의 horn 유형과 40 KHz의 bath 유형이었으며, horn과 bath를 혼용한 경우의 중합 공정의 특성도 평가해 보았다. 고려된 주요 변수들은 반응 온도와 초음파 조사 시간 이었으며, 중합물에 대하여 각 시료의 고유 점도와 전환율 측정을 통하여 각 중합공정의 효율성과 특성을 조사하고, 최적의 공정 조건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Horn 유형의 반응기에서는 수 분 이내에 80% 이상의 전환율이 달성되고 높은 점도의 PDMS를 얻을 수 있었으나, 조사 시간에 따라 전환율과 점도는 최대값을 보인 이후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초음파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게 유지되는 bath 유형의 반응기에서는 1 h 이상의 조사가 필요하였으며, horn 유형과 달리 전환율과 점도가 조사 시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지배적이었다. Horn유형과 bath유형을 조합한 혼합형 반응기에서는 다른 반응기와는 매우 다른 결과들이 나타났으며, 각 반응기의 특성은 전산 모사를 이용한 반응기 내의 음파 해석을 바탕으로 설명되었다.

유기티타늄을 촉매로 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합성에 관한 연구 (Synthesis of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Using an Organic Titanium Compound as a Catalyst)

  • Pio Sifuentes;Kim, Kap-Jin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35-336
    • /
    • 2003
  • The synthesis of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 whose application is being expanded very rapidly to new apparel and carpet materials, was investigated by melt condensation polymerization using 1,3-propanediol (PDO) and terephthalic acid (TPA). No catalyst was used in the 1st step reaction (esterification), but tetrabutyl titanate(TBT) was used as a polyesterification catalyst ranging from 25 to 75 ppm based on the weight of TPA used in the 2nd step reaction (polyesterification). The molar ratio of PDO to TPA was set as 2.2:1. The effect of reaction conditions on the color and intrinsic viscosity of the final product was investigated. (omitted)

  • PDF

고압처리 찹쌀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Effects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axy Rice Starch)

  • 이수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02-606
    • /
    • 2011
  • 찹쌀전분의 고압처리시 pH 3~10 조건에서 고유점도는 1.328~1.426 ml/g 범위로 원료전분(1.15 ml/g)보다 낮았다. 특히, 고유점도는 산성 및 알칼리성 조건에서 감소하였다. 전분의 호화과정 중 열에너지량을 나타내는 호화엔탈피는 pH 3, 4 및 5 조건에서 고압처리한 찹쌀전분이 각각 13.86, 13.47 및 13.42 J/g으로 원료전분(16.3 J/g)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찹쌀전분의 호화온도 및 엔탈피 감소는 고유점도가 낮아지는 현상과 일치하였다.

Chemical synthesis of processable conducting polyaniline derivative with free amine functional groups

  • Kar, Pradip
    • Advances in materials Research
    • /
    • 제3권2호
    • /
    • pp.117-128
    • /
    • 2014
  • Processable conducting polyaniline derivative with free amine functional groups was successfully synthesized from the monomer o-phenylenediamine in aqueous hydrochloric acid medium using ammonium persulfate as an oxidative initiator. The synthesized poly(o-phenylenediamine) (PoPD) in critical condition was found to be completely soluble in common organic solvents like dimethyl sulfoxide, N,N-dimethyl formamide etc. From the intrinsic viscosity measurement, the optimum condition for the polymerization was established. The polymer was characterized by ultraviolet visible spectroscop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proton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1HNMR$) and thermogravimetric (TGA) analyses.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s of the synthesized polymers were determined by the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method. From the spectroscopic analysis the structure was found to resemble that of polyaniline derivative with free amine functional groups attached to ortho/meta position in the phenyl ring. However, very little ladder unit was also present with in the polymer chain. The moderate thermal stability of the synthesized polymer could be found from the TGA analysis. The average DC conductivity of $2.8{\times}10^{-4}S/cm$ was observed for the synthesized polymer pellet after doping with hydrochloric acid.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Novel Aromatic Polyimides from Bis (3-aminophenyl) 3,5-bis (trifluorormethyl) phenyl Phosphine Oxide

  • Jeong, Kwang-Un;Kim, Jang-Joo;Yoon, Tae-Ho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8권5호
    • /
    • pp.215-223
    • /
    • 2000
  • A novel diamine monomer, containing fluorine and phosphine oxide, bis(3-aminophenyl) 3,5-bis(trifluoromethyl)phenyl phosphine oxide (mDA6FPPO), was prepared via Grignard reaction, and utilized to prepare polyimides with dianhydrides such as PMDA, 6FDA, BTDA or ODPA, by the conventional two-step route; preparation of poly(amic acid), followed by solution imidization. The polyimides were characterized by FT-IR, NMR, and DSC with intrinsic viscosity and refractive index also being evaluated. A phosphine oxide containing monomer, bis(3-aminophenyl)phenyl phosphine oxide (mDAPPO) and a commercial 3,3-diaminodiphenyl sulfone (mDDS) were also used for comparison. The polyimides derived from mDA6FPPO exhibited high T$\sub$g/, excellent solubility and low birefringence.

  • PDF

Effect of Branch Degree of Cationic Acrylamide Copolymers on Flocculation Properties

  • Son, Dong-Jin;Kim, Bong-Yong
    • 펄프종이기술
    • /
    • 제44권2호
    • /
    • pp.8-17
    • /
    • 2012
  • Three kinds of cationic acrylamide copolymer with different branch degree were prepared controlling the dosage of N, N'-methylenebisacrylamid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branch-degree-modified copolymers were analyzed by intrinsic viscosity and charge density. The branch degree measurements were investigated by applying the colloidal titration phenomena using a spectrophotometer and comparison with the cationic regain measurement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bsorbance behaviors of spectrophotometer were distinctively different with the branch degree of copolymers. Also, the branch degree determinations and molecular structure estimations of the copolymers were numerically measured by applying the titration phenomena using a spectrophotometer. Finally, three kinds of branch-degree-modified copolymers were applied to flocculation test using arbocel micro pulp for the determination of flocculation behavior by different morphology of cationic acrylamide copolym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