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rinsic viscosity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23초

보리로부터 분리한 ${\beta}-Glucan$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eta}-Glucan$ Isolated from Barley)

  • 김성란;최희돈;석호문;김성수;이영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164-1170
    • /
    • 1999
  • 찰성(waxy) 및 메성(non-waxy) 보리로 부터 ${\beta}-glucan$을 분리, 정제하였고 정제한 ${\beta}-glucan$의 표면구조, DSC특성, 고유점도를 비교하였으며 ${\beta}-glucan$의 첨가가 보리전분의 호화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보리의 총 ${\beta}-glucan$ 함량은 찰성보리가 6.5%, 메성보리가 5.3%였다. 알칼리 추출 후 1차 정제한 crude ${\beta}-glucan$${\beta}-glucan$ 함량은 찰성보리가 62.9%, 메성보리가 59.2%였으며, 수율은 찰성보리가 5.54%로 메성보리의 수율 3.34%보다 높았다. 2차 정제한 ${\beta}-glucan$의 수율도 찰성이 4.46%로 메성의 2.59%보다 높았다. SEM으로 관찰한 정제 ${\beta}-glucan$의 표면구조는 섬유상의 fibril들이 서로 얽힌 망상의 배열을 이루고 있었다. DSC로 측정한 융점은 찰성보리 ${\beta}-glucan$$184.6^{\circ}C$로 메성의 $180.3^{\circ}C$ 보다 높았고 겔화에 의한 상전이는 $68^{\circ}C$$84^{\circ}C$ 부근에서 2개의 흡열피크로 나타났으며 찰성 ${\beta}-glucan$의 엔탈피 값이 작았다 정제한 ${\beta}-glucan$의 고유점도는 메성보리보다 찰성보리 ${\beta}-glucan$이 더 컸다. 보리전분에 ${\beta}-glucan$을 첨가하여 호화시켰을 때 상승작용으로 비스코그램의 점도를 증가시켰으며 그 효과는 메성전분에서 현저하였다.

  • PDF

Polyesters Biosynthesis of Alcaligenes eutrophus H16(ATCC 17699) from Various Mono- and Dicarboxylic Acids and Diols

  • Song, Jae-Jun;Shin, Yong-Chu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권2호
    • /
    • pp.123-128
    • /
    • 1993
  • The polyesters (polyhydroxyalkanoates; PHAs) production capability in a two-step cultivation of Alcaligenes eutrophus H16(ATCC 17699) was investigated by using various organic carbon sources. The carbon sources used included linear $C_2~C_10$ monocarboxylic acids, $C_3~C_10$ dicarboxylic acids, crotonic acid, and several linear vicinal and $\omega$-diols. The polyesters synthesized were characterized by 500 MHz $^1 H-NMR$ spectroscopy, intrinsic viscosity$[\eta]$ measurement in chloroform a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The PHAs synthesis data showed that the use of C-odd ($C_3, C_5, and C_7$) monocarboxylic acids resulted in poly(3-hydroxybutyrate-co-3-hydroxyvalerate)(P(3HB-co-3HV) (3HV content ranging 40 to 70 mol%) while the use of $C_9$ substrate gave the copolyester containing only 4 mol% of 3HV. All culture products obtained on $C_3$~C$_{10}$ dicarboxylic acids gave exclusively P(3HB). 500 MHz $^1 H-NMR$ analysis showed that all polyesters synthesized generally contained 1~2 mol% 3HV even for the unrelated substrates such as the carboxylic acids with even number of carbon. When $\alpha, \omega$-diols with even number of carbon were used as substrates, 4-hydroxybutyrate(4HB) was inserted into the polyester chain composed of P(3HB-co-4HB). Vicinal diols were generally not utilized by the bacterium for polyester production.n.

  • PDF

인산디에틸 이소프로페닐과 초산비닐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혼성중합 (Copolymerization of Diethyl Isopropenyl Phosphate with Vinyl Acetate and Acrylonitrile)

  • 진정일;심홍구;이수민
    • 대한화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421-426
    • /
    • 1982
  • 자유 라디칼 개시제에 의한 인산디에틸이소프로페닐(DEIPA)과 초산비닐(VAc) 및 아크릴로니트릴(An)의 혼성중합 연구를 행하여 단위체 반응성비를 얻었다. 개시제로는 과산화벤조일을 사용하였으며 중합온도는 $60^{\cric}C$이었다. 단위체 반응성비는${\gamma}_1$(VAc) = 1.56, ${\gamma}_2$(DEIPA) = 0.44: ${\gamma}_1$(AN) = 15.2, ${\gamma}_2$(DEIPA) = 0.031이었다. 이 값으로부터 DEIPA의 Alfrey-Price 상수 Q=0.015, e=0.39 및 Q=0.014, e=0.34를 얻었으며${\alpha}$ 위치에 있는 메틸기가 반응성을 감소시킴을 알았다. 공중합체중 DEIPA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공중합체의 고유점성도 및 수평균 분자량이 감소함도 알았다.

  • PDF

PET 필름의 이축연신에 따른 물성변화 연구 (Investigation of Properties of the PET Film Dependent on the Biaxial Stretching)

  • 이중규;박상호;김성훈
    • 폴리머
    • /
    • 제34권6호
    • /
    • pp.579-587
    • /
    • 2010
  • PET 필름의 물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PET의 $T_m$ 보다 높은 다양한 온도에서 압출 후, $18^{\circ}C$로 급냉하였고, 종방향(MD)과 횡방향(TD)으로 각기 다른 연신비 및 다양한 열고정 온도로 제조되었다. 압출 온도, 연신비, 열고정 온도에 따른 PET 필름의 열수축 거동, 밀도, 결정화거동, 열적거동 및 광학적 물성 등의 변화에 대하여 고찰한 결과, MD와 TD 방향의 열수축률은 열처리온도와 압출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연신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결정화도와 밀도는 열처리온도와 압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융해열(${\Delta}H$)과 예비융점($T_m'$)의 경우 열처리온도와 압출 온도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다. 수평균 분자량과 고유점도는 압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인장강도와 탄성률의 경우 연신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열처리온도를 증가하였을 때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신 방향과 두께 방향의 굴절률은 연신비와 열처리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압출조리에 의한 밀가루 전분질의 분자구조 변화와 알콜발효 효율에 관한 연구 (Effect of Extrusion-Cooking on the Molecular Structure and Alcohol Yield of Wheat Starch)

  • 이철호;김기명;김지용;임재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83-688
    • /
    • 1991
  • 단일축 압출조리기를 이용하여 밀가루를 조리한 후 탁주발효용 기질로 사용하여 알코올 수율을 조사하였다. 또한 스팀가열과 비교하여 압출조리에 의한 밀가루 전분질의 분자구조 변화와 효소 민감성에 대하여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GPC)와 고유점도 측정으로 평가하였다. 밀가루의 GPC patternd은 스팀 가열이나 방출조리에 의하여 크게 변화되지 않았다. 그러나 ${\alpha}-amylase$를 30분간 처리할 경우 압출성형된 밀가루의 맥아당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며 GPC pattern도 크게 변하여 저분자 전분질의 함량이 증가하며 고유점도는 감소하였다. 압출성형된 밀가루로 탁주발효를 한 결과 스팀증자된 밀가루로 탁주발효를 한 경우보다 실험실 규모 실험에서는 26%의 알콜생산 증대가 기록되었으며 공장규모 발효에서는 10% 이상의 알콜생산 증대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쌀아밀로펙틴의 분자구조적 성질 (Molecular Structural Properties of Rice Amylopectins)

  • 김봉찬;안승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1호
    • /
    • pp.34-38
    • /
    • 1990
  • 일반계 품종인 천마벼, 다수계 품종인 용문벼와 인디카형인 마하트마등 세 품종의 쌀에서 아밀로펙틴을 분리하여 분자구조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천마벼, 용문벼, 마하트마의 고유점도는 각각 148.3 ml/g, 156.6 ml/g, 167.5 ml/g였고, ${\beta}-amylolysis$ limit(%)는 54.6, 55.4, 52.9였다. 평균사슬길이(${\overline{CL}}$)와 안쪽사슬길이 (${\overline{ICL}}$)는 마하트마가 다른 품종보다 길었다. ${\beta}-amylase$에 의한 쌀아밀로펙틴의 가수분해물을 Sephadex G-50으로 겔 크로마토그래피를 했을 때, 동일한 두 개의 주요 peak(void volume과 ${\overline{DP}}$ 3)가 얻어졌으며, 각 품종에서 동일한 형태를 보였다. 이들 아밀로펙틴의 pullulanase에 의한 가수분해물은 Sephadex G-50으로 겔 크로마토 그래피를 했을 때, 세 개의 peak(void volume, ${\overline{DP}}$ 35-45, ${\overline{DP}}$ $10{\sim}20$)가 얻어졌고, 품종간에 유사한 형태를 보였으나 Peak의 면적과 사슬길이(${\overline{DP}}$)는 품종간에 차이가 있었다. 천마벼, 용문벼, 마하트마의 Peak II에 대한 Peak III의 면적비는 각각 3.9, 3.4, 3.3였다.

  • PDF

찹쌀 전분의 분자 구조적 성질 (Molecular Structural Properties of Waxy Rice Starch)

  • 김관;최경철;강길진;이용현;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568-573
    • /
    • 1992
  • 일반계(신선찰벼)와 통일계(한강찰벼) 찹쌀전분의 분자구조적 성질을 조사한 결과 이화학적 성질과 열수가용성 전분의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다. 전분의 사슬길이와 바깥사슬길이는 한강찰벼가, 안쪽사슬길이는 신선 찰벼가 길었으나, ${\beta}-amylase$ 분해한도는 비슷하였다. 찹쌀전분을 ${\beta}-amylase$로 처리하고 겔크로마토그래피한 결과는 서로 비슷하였으나 pullulanase를 처리하였을 때는 용출패턴에 차이를 보였다. 산처리 2일째의 시료의 ${\beta}-amylase$ 분해한도는 한강찰벼가 $2{\sim}3%$ 높았으나 두 시료 모두 산가수분해시간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산처리 시료를 ${\beta}-amylase$ 또는 pullulanase로 처리했을 때 겔크로마토그래피의 용출패턴은 생전분과는 크게 달랐다.

  • PDF

유채단백질의 Proteolysis에 의한 기능성 변화 (Functionality Changes of Rapeseed Protein upon Proteolysis)

  • 김충희;김효선;이장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19-524
    • /
    • 1992
  • 탈지유채박(Brassica napus var. Youngsan)으로부터 추출, 정제하여 얻어진 유채단백질을 가수분해하여 가수분해물의 이화학적 및 기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가수분해물의 UN 및 고유형광 스펙트럼은 각각 274nm, 360nm에서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황색도는 약간 감소한 반면 표면 소수성은 약 4배 감소하였다. SDS-PAGE 분석 결과 상당부분이 1.4~$1.2{\times}10^4$ dalton의 분자량을 가진 band로 나타났으며, pH별 용해도는 산성부근에서 10~15% 정도 증가하였고, 수분 및 유흡수성, 거품 팽창성, 에멀젼 안정성은 증가한 반면 절대 점도, 열 및 칼슘 응고성, 거품 안정성, 에멀젼 활성지수는 감소하였다.

  • PDF

알칼리 처리가 멸치 추출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kaline Treatment on Some Quality of Anchovy Extract)

  • 김혜경;박주영;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41-446
    • /
    • 1988
  • 마른 멸치를$0{\sim}0.5N$의 NaOH 용액과 함께 마쇄한 뒤 $60^{\circ}C$에서 $0{\sim}6$시간까지 처리시키면서 원심분리 하여 얻어진 멸치 추출액의 고형분 수율과 몇몇 물리적 품질과 관능적 품질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NaOH의 농도와 처리시간이 증가 할수록 고형분과 단백질의 수율은 증가하였으며 고유점도는 급격히 증가하여 최고 값에 도달하였다가 서서히 감소하였다. Hunter값으로 표시된 추출액의 색의 변화는 'L'값이 반응초기에 증가하여 색이 밝아졌다가 그 후 강소하였으며 'a'값과 'b'값은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알칼리 처리가 멸치추출액의 맛과 냄새에 미치는 영향은 알칼리 농도와 처리시간이 가할수록 맛과 냄새의 강도가 현저히 상승 하였으며 맛과 냄새 중 소라맛, 쓴맛 그리고 소라냄새, 바닷물 냄새에서 특히 높은 강도를 보여 주었다.

  • PDF

채취 시기별 칡 전분의 성질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rrowroot Starches Harvested in Different Time)

  • 박종훈;나환식;강길진;김관;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7-102
    • /
    • 1998
  • 칡을 3, 6, 9, 12월에 채취하여 분리한 전분의 성질을 비교한 결과 12월 전분은 아밀로오스 함량, 고유점도, 베타-아밀라아제 분해한도가 가장 작았으나, 물결합능력은 가장 컸다. 팽윤력은 채취 시기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KSCN에 의한 호화에서 12월 시료는 겔의 부피증가 정도가 가장 작았고 평형 부피에 도달하는 시간도 가장 늦었다. DSC에 의한 호화온도는 12월 시료는 다른 시료보다 $1^{\circ}C$ 높았다. 열수가용성 전분의 조성은 12월 시료가 아밀로오스 함량이 가장 높았고 아밀로펙틴은 가장 낮았다. 이러한 결과 칡 전분은 채취시기에 따라 그 성질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