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raoral scan method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9초

Intraoral scanning of the edentulous jaw without additional markers: An in vivo validation study on scanning precision and registration of an intraoral scan with a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scan

  • Julie Tilly Deferm;Frank Baan;Johan Nijsink;Luc Verhamme;Thomas Maal;Gert Meijer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3권1호
    • /
    • pp.21-26
    • /
    • 2023
  • Purpose: A fully digital approach to oral prosthodontic rehabilitation requires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i.e., registering) digital documentation from different sources. This becomes more complex in an edentulous jaw, as fixed dental markers to perform reliable registration are lacking. This validation study aimed to evaluate the reproducibility of 1) intraoral scanning and 2) soft tissue-based registration of an intraoral scan with a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scan for a fully edentulous upper jaw. Materials and Methods: Two observers independently performed intraoral scans of the upper jaw in 14 fully edentulous patients. The palatal vault of both surface models was aligned, and the inter-observer variability was assessed by calculating the mean inter-surface distance at the level of the alveolar crest. Additionally, a CBCT scan of all patients was obtained and a soft tissue surface model was generated using patient-specific gray values. This CBCT soft tissue model was registered with the intraoral scans of both observers, and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ICC) was calculated to evaluate the reproducibility of the registration method. Results: The mean inter-observer deviation when performing an intraoral scan of the fully edentulous upper jaw was 0.10±0.09 mm. The inter-observer agreement for the soft tissue-based registration method was excellent(ICC=0.94; 95% confidence interval, 0.81-0.98). Conclusion: Even when teeth are lacking, intraoral scanning of the jaw and soft tissue-based registration of an intraoral scan with a CBCT scan can be performed with a high degree of precision.

Impact of scanning strategy on the accuracy of complete-arch intraoral scans: a preliminary study on segmental scans and merge methods

  • Mai, Hai Yen;Mai, Hang-Nga;Lee, Cheong-Hee;Lee, Kyu-Bok;Kim, So-yeun;Lee, Jae-Mok;Lee, Keun-Woo;Lee, Du-Hyeong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4권2호
    • /
    • pp.88-95
    • /
    • 2022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curacy of full-arch intraoral scans obtained by various scan strategies with the segmental scan and merge methods. MATERIALS AND METHODS. Seventy intraoral scans (seven scans per group) were performed using 10 scan strategies that differed in the segmental scan (1, 2, or 3 segments) and the scanning motion (straight, zigzag, or combined). The three-dimensional (3D) geometric accuracy of scan images was evaluated by comparison with a reference image in an image analysis software program, in terms of the arch shape discrepancies. Measurement parameters were the intermolar distance, interpremolar distance, anteroposterior distance, and global surface deviation.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ukey honestly significance difference post hoc tests were carried out to compare differences among the scan strategy groups (α = .05). RESULTS. The linear discrepancy values of intraoral scans were not different among scan strategies performed with the single scan and segmental scan methods. In general, differences in the scan motion did not show different accuracies, except for the intermolar distance measured under the scan conditions of a 3-segmental scan and zigzag motion. The global surface deviations were not different among all scan strategies. CONCLUSION. The segmental scan and merge methods using two scan parts appear to be reliable as an alternative to the single scan method for full-arch intraoral scans. When three segmental scans are involved, the accuracy of complete arch scan can be negatively affected.

서로 다른 두 가지 스캔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지르코니아 보철물의 적합도에 대한 비교 (Assessment of the fit of zirconia-based prostheses fabricated with two different scan methods)

  • 최현석;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35-143
    • /
    • 2017
  • 목적: 연구의 목적은 동일한 지대치에서 각각 모델스캔 방법과 구강 내 스캔 방법으로 제작된 지르코니아 보철물의 변연 및 내면적합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발거된 사람의 하악 제1대구치 20개에 대해 지르코니아 보철물을 위한 지대치 형성이 이루어졌다. 첫 번째 그룹에서는 모델 스캔법으로 10개의 지대치를 스캔하였고, 두 번째 그룹에서는 나머지 10개에 대해 구강 내 스캔법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데이터들은 소프트웨어 시스템으로 전송되었고 Ceramill CAD/CAM system을 이용하여 20개의 지르코니아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먼저 weight technique을 사용하여 내면 적합도를 평가하였다. 다음으로 replica technique에서는 광학현미경을 통해 변연 적합도를 평가하였다. 통계처리는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먼저 weight technique에서 모델 스캔법으로 제작한 그룹에서 구강 내 스캔법으로 제작한 그룹에 비해 평균적인 무게 값이 낮게 나타났고, 이는 유의성이 있었다(P < .05). 또한, replica technique에서도 측정된 5개의 영역 모두에서 구강 내 스캔법으로 제작한 그룹에 비해 모델 스캔법으로 제작한 그룹에서 변연 및 내면의 gap에 대한 거리 값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 < .05). 결론: 두 그룹의 방법으로 제작한 지르코니아 보철물은 모두 임상적으로 받아들여질 만한 변연 및 내면 적합성을 보였다. 하지만 모델 스캔법으로 제작한 그룹에서 구강 내 스캔법으로 제작한 그룹에 비해 높은 변연 및 내면 적합성을 보였다.

구강스캐너를 이용한 임플란트 보철물 제작 증례 (Implant prosthesis using intraoral scanner: Case Report)

  • 강병길;김희중;정재헌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56-261
    • /
    • 2015
  • 임플란트 보철물의 경우 무엇보다도 보철물의 정확성이 중요하며 이러한 이유로 인해 인상채득의 정확성을 확인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인상재 자체의 오차가 존재하며 모형을 제작하는 과정에서도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구강스캐너를 통한 보철물 제작을 생각해 볼 수 있으며, 최근 구강스캐너와 기존의 인상법 간의 정확성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할만할 차이가 없다는 많은 문헌들이 발표되었다. 따라서 intraoral scanner를 이용하여 기존에 방법에 비해 보다 편하고, 빠르며, 정확한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작하는 일련의 과정을 보고하고자 한다.

A comparative study to measure the condylar guidance by the radiographic and clinical methods

  • Shreshta, Pragya;Jain, Veena;Bhalla, Ashu;Pruthi, Gunja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4권3호
    • /
    • pp.153-157
    • /
    • 2012
  •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radiographic and clinical methods of measuring the horizontal condylar guidance (HCG) values. MATERIALS AND METHODS. The condylar guidance was measured using the radiographic (CT scan) and three clinical methods i.e. the wax protrusive records, Lucia jig record and intraoral central bearing device in 12 patients aged between 20-40 years irrespective of sex. The records were taken and transferred on the semi-adjustable articulator to record the HCG values. The CT scan was taken for 3D reconstruction of the mid facial region. Frankfort horizontal plane (FHP) and a line extending from the superior anterior most point on the glenoid fossa to the most convex point on the apex of articular eminence (AE) was marked on the CT scan. An angle between these two lines was measured on both right and left sides to obtain condylar inclination angle. Three interocclusal protrusive wax and jig records were taken and transferred to the semi adjustable articulator. Three readings were recorded on each side. Similarly the records were taken and transferred to the same articulator using the intra oral central bearing device to record the readings. RESULTS.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in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CG values between the right and left sides [(P=.589 (CT), P=.928 (wax), P=.625 (jig), P=.886 (tracer)]. The clinical methods provided low Pearsons correlation values [(R = 0.423 (wax), R = 0.354 (jig), R = 0.265 (tracer)] for the right as well as the left sides when compared with the CT values. Among the clinical methods, jig and wax method showed strong level of association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the intra-oral tracer showed weak association with the other two methods. CONCLUSION. The right and left HCG values were almost similar. The CT scan showed higher HCG values than the clinical methods and among the clinical methods, values obtained from all the methods were comparable.

단일 치관 수복 시 구강스캐너를 이용한 교합평가 활용 증례보고 (A case report of single crown restoration using an intraoral scanner for occlusal evaluation)

  • 송준범;이종혁;하승룡;최유성;최선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3호
    • /
    • pp.341-349
    • /
    • 2021
  • 디지털 방식을 이용한 교합평가는 종래의 방식인 교합지와 occlusion foil 등에 비해 기록, 비교, 분석 등이 쉽고 간편하며 객관적 이라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증례보고에서는 교합평가에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고자 단일 전장관 수복이 필요한 환자에서 구강스캐너(i500, Medit, Seoul, Korea)를 이용하여 매 내원시 교합을 평가하였으며, 비교를 위하여 교합지를 이용한 교합관계 확인과 디지털 교합분석장비(Dental prescale II, GC corporation, Tokyo, Japan)를 이용하여 교합관계를 평가하였다. 치료과정에서 구강스캐너를 이용한 방법과 기존의 교합지를 이용한 방법이 유사한 결과를 보여 향후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임플란트 디지털 인상용 코핑의 정확성 비교 (Comparison of the accuracy of implant digital impression coping)

  • 안교진;이준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6권1호
    • /
    • pp.29-40
    • /
    • 2020
  • 목적: Encoded healing abutment와 scan body를 이용한 디지털 인상과 pick-up 인상용 코핑을 이용한 인상 채득법의 정확도를 다른 임플란트 식립 각도에서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D 프린터를 이용해 주모형을 제작하고 0°, 10° 및 20°의 근심경사로 3개의 임플란트를 위치 시켰다. 각각의 임플란트에 지대주를 체결하고 주모형을 스캔하여 참조 모델을 만들었다. P군 모델은 pick-up 인상용 코핑을 사용하여 15개의 석고 모형을 만들고 지대주를 장착 후 스캔하여 제작하였다. E군과 S군의 모델은 각각 encoded healing abutment와 scan body를 주모형에 체결하고 구내 스캐너를 이용해 15회씩 인상채득을 하여 제작하였다. 각각의 실험군 STL 파일은 best fit alignment를 이용해 참조 모델과 중첩하였고 root mean square (RMS) 값을 분석하였다. 결과: RMS 값은 P군에서 가장 작았고(25.56 ± 2.53 ㎛), 그다음 S군(35.27 ± 2.56 ㎛), E군(38.29 ± 4.12 ㎛) 순 이었다. S군과 E군 사이에는 유의차가 없었고, P군은 S군과 E군 보다 작았다(P < 0.05). 임플란트 각도와 RMS 값의 상관관계는 E군에서 유의하였다(P < 0.05). 결론:Pick-up 인상용 코핑 방법은 encoded healing abutment와 scan body 인상 채득 방법에 비해 더 높은 정확도를 보였고 encoded healing abutment와 scan body 인상 방법은 정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Encoded healing abutment의 임상적 사용은 가능하나 경사진 임플란트의 인상의 경우 주의하여 사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스캔이 가능한 치유지대주를 이용한 구치부 단일 임플란트 수복 증례 (Posterior single implant prosthesis using scannable healing abutment)

  • 김성민;이규복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32-438
    • /
    • 2019
  • 임플란트 보철 치료의 성공에 정확한 인상 채득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이러한 임플란트 보철의 인상을 채득하는 방법에는 임프레션 코핑과 인상재를 이용한 전통적인 방법과 구강 스캐너와 디지털 인상 코핑(scanbody)을 이용한 디지털 인상채득법이 있다. 하지만 인상용 코핑과 scanbody는 모두 구강 내 치유 지대주(healing abutment)를 제거하고 장착해야 한다. 때문에 술자는 치유 지대주와 임프레션 코핑 또는 scanbody를 여러 번 체결하고 제거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임프레션 코핑 또는 scanbody는 교합면보다 높게 솟아 있어 환자는 지속적으로 개구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불편을 주기도 한다. 이러한 기존의 방법을 극복하고자 최근에는 치유 지대주에 scanbody의 스캔 가능 부분(scannable part)을 부여하여 치유 지대주를 제거할 필요 없이 구강 내에서 직접 구강 스캐너로 스캔이 가능한 치유지대주(scannable healing abutment)가 소개되었다. 스캔이 가능한 치유지대주를 이용하여 구치부 단일 임플란트를 수복한 증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프린지 투영법을 이용한 실시간 3D 구강 내 스캐너의 개발 (Development of a Real-time 3D Intraoral Scanner Based on Fringe-Projection Technique)

  • ;이건수;박강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156-163
    • /
    • 2012
  • Real-time three-dimensional shape measurement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various fields, including medical sciences, high-technology industry, and microscale measurements. However, there are not so many 3D profile tools specially designed for specifically narrow space, for example, to scan the tooth shape of a human jaw. In this paper, a real-time 3D intraoral scanner is proposed for the measurement of tooth profile in the mouth cavity. The proposed system comprises a laser diode beam, a micro charge-coupled device, a graticule, a piezoelectric transducer, a set of optical lenses, and a polhemus device sensor. The phase-shifting technique is used along with an accurate calibration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the tooth profile.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inspection of the phase-to-coordinate relation is presented. In addition, a nonlinear system model is developed for collimating illumination that gives the more accurate mathematical representation of the system, thus improves the shape measurement accuracy. Experiment results are presented to verify the feasibility and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system.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overall measurement error accuracy can be controlled within 0.4 mm with a variability of ${\pm}0.01$.

디지털 장비의 중첩기능을 이용하여 단일체 수복물의 교합조정을 최소화한 증례 (Superimposition: a simple method to minimize occlusal adjustment of monolithic restoration)

  • 최창훈;김선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53-258
    • /
    • 2016
  • 최근 CAD-CAM과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보철물의 제작이 증가하고 있으며 구강스캐너의 발달로 임상 및 기공과정이 단순화되고 있다. 균열치 혹은 치아의 일부가 파절된 경우, 구강스캐너를 사용하여 치아 삭제 전에 치아의 형태를 미리 스캔하고, 추후 수복물 제작 시 중첩을 통해 단일체 지르코니아 전장관을 제작하면 원래 환자의 자연치 형태와 교합을 재현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균열 및 파절된 치아에서 구강 스캐너, CAD-CAM 및 단일체 지르코니아 전장관을 사용하여 삭제 전 치아의 형태와 교합을 재현한 수복물을 제작하였으며, 교합조정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또한 임상적으로 기능적이고 심미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