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raocular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32초

개에서 Laryngeal Mask Airway의 임상적 효용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Clinical Utility of the Laryngeal Mask Airway in Dogs)

  • 김용훈;이주명;정종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14-219
    • /
    • 2005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laryngeal mask airway and it's clinical utility on cardiovascular system, intraocular pressure and stress reaction at the time of anesthesia care. The heart rate, systolic arterial pressure, diastolic arterial pressure and intraocular pressure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o b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 arterial pressure, central venous pressure and blood cortisol concentration between both groups. In view of the above results, it is thought that the airway management using the laryngeal mask airway will be useful to reduce the stress condition in the induction of anesthesia.

백내장적출술 및 인공수정체삽입술이 안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xtracapsular Cataract Extraction and Posterior Chamber Lens Implantation on Intraocular Pressure)

  • 차순철;이규원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1권2호
    • /
    • pp.277-283
    • /
    • 1994
  • 저자들은 1993년 2월부터 1993년 4월까지 대구 제일안과의원에서 백내장낭외적출술 및 인공수정체삽입술을 받은 환자 중 백내장이외의 다른 안질환이나 전신질환이 없고 술전 양안 안압이 24mmHg이하인 환자중 편안만을 수술받은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안압의 변화를 비접촉성 안압계 및 Goldmann 압평안압계를 사용하여 3개월 이상 추적 관찰하였다. 위수정체안의 안압이 술전 안압보다 평균 $3.4{\pm}2.9mmHg$(p<0.001)의 안압하강을 나타내었으며 반대측 수정체안과의 안압차이는 평균 $2.4{\pm}3.8mmHg$(p<0.05)으로 위수정체안에서 낮은 안압을 나타내었다. 또한 Kowa 비접촉성 안압계(TM-2000, Japan)와 Goldmann 압평안압계의 안압측정치의 상관계수는 0.8876(p=0.001)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저자들은 녹내장이 합병되어 있지 않은 백내장환자에서 백내장낭외적출술 및 인공수정체삽입술을 시행하여 술후 안압 변화를 관찰하여 유의한 안압감소 효과를 얻었으므로 고안압증이나 녹내장이 병발한 백내장 환자에서 백내장적출술 및 인공수정체삽입술 단독으로도 유용한 수술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안내렌즈를 이용안 무수정체안의 교정원리 (The correction principle of Aphakia using the Intraocular Lens)

  • 김봉환;김대현;임현선;지택상;고정휘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39-345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안내렌즈를 이용하여 무수정체안을 정시로 교정하는 원리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현재 안과에서 안내렌즈를 처방하여 임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시력 교정을, 광학적으로 보다 정확한 처방을 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무수정체안을 정시로 교정하기 위해서 비정시의 두 가지 원인인 굴절성과 축성을 고려하였고, 교정원리로는 수정체 후면에서 최적 상점까지의 거리인 상측정점 초점거리(BFL)와 수정체에서 망막까지의 거리인 초자체 길이가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교정원리를 확인하기 위하여 정시의 경우는 Gullstrand number I 모형안을, 근시와 원시의 경우는 실안에 대한 임상자료를 사용하여 수정체를 안내렌즈로 대치하였다.

  • PDF

실리콘 안내 보철물과 결막 플랩의 병용 적용을 이용한 개의 각막천공에 의한 속발성 녹내장 치료 (Combined Intraocular Silicone Prosthesis and Conjunctival Flap for Glaucoma after Corneal Perforation in a Dog)

  • 정만복;안재상;;;서강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8-111
    • /
    • 2015
  • 7개월령 수컷 말티즈견이 1.5개월 동안 오른쪽 눈의 녹내장으로 치료를 받던 중에 내원하였다. 안검사에서 우안, 각막 천공, 홍채 탈출, 각막부종 및 혈관화가 관찰되었다. 안압은 오른쪽 눈이 33 mmHg, 왼쪽 눈이 19 mmHg이었다. 오른쪽 눈은 만성 녹내장, 각막 천공 및 홍채 탈출로 진단되었다. 그 눈은 실명하였으며 안구를 보존하기 위해 안내 보철물 삽입과 결막 플랩을 함께 적용하기로 하였다. 수술 후에 결막 플랩은 각막 천공 부위를 막고 안내 보철물을 적절하게 유지하였다. 수술 15개월 후에도 아무런 합병증 없었으며 보호자는 매우 만족하였다. 그러므로 안내 보철물과 결막 플랩의 병용 적용은 각막 천공으로 인한 녹내장의 치료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녹내장 동물모델에서 단풍나무 잎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안압 및 신경세포 보호 효과 (Intraocular Pressure and Neuroprotective Effect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Leaves of Acer palmatum thumb. of glaucoma in DBA2/J mice)

  • 오태우;박광일;마진열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93-103
    • /
    • 2021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ntraocular pressure (IOP) and retina neuroprotective effect of Acer palmatum thumb. extract in glaucoma of DBA2/J mice vivo model. Methods : The amount of change in intraocular pressure(IOP) was measured every two weeks for 30 weeks in the DBA2/J glaucoma animal model. The increased IOP were regrouping into drug treatment groups. EW and EE (1, 2 mg/㎖)extract was eye drop administered twice per day for 8 weeks. After administration of the extract, IOP was measured every 1 week at a fixed time for 8 weeks, and protein expression levels and serological changes related to retinal function were investigated. Results : The DBA2/J mice were IOP increased as time dependent, resulting in damage to the retinal function protein related in glaucoma animal model. However, administration of extracts from Leaves of Acer palmatum thumb. prevented an increase IOP, increased for Brn3α, PKCα, and OPN1SW. Additionally, the experssion of Aterocyte maker, GFAP was decreased in DBA2/J mice. Conclusions :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both IOP and age can be considered in studies using DBA2/J mice and suggest that the extracts from Leaves of Acer palmatum thumb. regulating of IOP and expression of proteins related to retinal function.

Trifocal versus Bifocal Diffractive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after Cataract Surgery or Refractive Lens Exchange: a Meta-analysis

  • Yoon, Chang Ho;Shin, In-Soo;Kim, Mee Kum
    •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 /
    • 제33권44호
    • /
    • pp.275.1-275.15
    • /
    • 2018
  • Background: We compared the efficacy between trifocal and bifocal diffractive intraocular lens (IOL) implantation. Methods: Through PubMed, MEDLINE, EMBASE, and CENTRAL, we searched potentially relevant articles published from 1990 to 2018. Defocus curves, visual acuities (VAs) were measured as primary outcomes. Spectacle dependence, postoperative refraction, contrast sensitivity (CS), glare, and higher-order aberrations (HOAs) were measured as secondary outcomes. Effects were pooled using random-effects method. Results: We included 11 clinical trials, with a total of 787 eyes (395 subjects). The trifocal IOL group showed better binocular distance VA corrected with defocus levels of -0.5, -1.0, -1.5, and -2.5 diopter than the bifocal IOL group (All $P{\leq}0.004$). The trifocal IOL group showed better monocular uncorrected distance and intermediate VAs (mean difference [MD], -0.04 logarithm 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logMAR]; 95% confidence interval [CI], -0.07, -0.01; P = 0.006 and MD, -0.07 logMAR; 95% CI, -0.13, -0.01; P = 0.03, respectively). Postoperative refraction, glare, CS, and HOA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Conclusion: The overall findings indicate that trifocal diffractive IOL implantation is better than the bifocal diffractive IOL in intermediate VA, and provides similar or better in distance and near VAs without any major deterioration in the visual quality.

Rotational Stability of AcrySof Toric Intraocular Lens Over Time: Influence of Capsulorhexis Contraction

  • Kim, Joong Hee;Cho, Kyong Jin
    • Medical Lasers
    • /
    • 제9권1호
    • /
    • pp.44-50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s To evaluate the rotational stability of AcrySof toric intraocular lenses (IOL) by considering lapse of postoperative time and influence of capsulorhexis contraction. Materials and Methods A prospective, masked, single center study was conducted on 19 patients who had undergone microcoaxial cataract surgery and AcrySof toric IOL implantation. Slit-lamp retroillumination photographs of anterior segments were obtained from all patients after 1 week, 1 month and 3 months post-surgery. The degree of alteration of the postoperative IOL axis alignment and the amount of anterior capsular shrinkage were analyzed using Adobe Photoshop software. Results The mean degree of toric IOL axis misalignment was 2.18 (±20.2) degrees at 3 months follow-up. Quadrant analysis of the capsulorhexis aperture area at 1 week and 1 month post-operative, showed counterclockwise IOL rotation when the capsule contraction was dominant in the haptic part as well as clockwise rotation when dominant in the non-haptic part (p = 0.015). Conclusion The direction and degree of AcrySof toric IOL rotation differed throughout the follow-up period. Since most misalignments were found on the first post-operative day, physicians should try to minimize peri-operative risk factors that influence IOL rotation. There was also a correlation between the part of anterior capsule contraction and the direction of IOL rotation.

안구 내 종양의 진단에 있어서 F-18-FDG PET의 유용성과 검사 방법의 영향 (The Usefulness of F-18-FDG PET and The Effect of Scan Protocol in Diagnosis of Intraocular Tumors)

  • 이재성;양원일;김병일;최창운;임상무;이태원;신민경;홍성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39-451
    • /
    • 1999
  • 목적: 안구 내 종양의 치료계획에 있어서 악성여부의 결정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안구 내 종양의 생검은 시력의 손상을 가져오므로 임상적으로 권장할 수 없는 방법이다. 저자들은 안구 네 종양의 악성 여부를 진단하는 데 있어서 F-18-FDG PET의 유용성과 검사 방법이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임상적으로 악성 안구 내 종양이 의심되는 13명의 환자(15병소)를 대상으로 F-18-FDG PET 스캔을 시행하였다. 세 명은 양성의 병소를 가지고 있었고(망막 박리, 맥락막 삼출, 맥락막출혈) 열 명을 열두 개의 악성 병소를 가지고 있었다(흑색종 3, 망막아종 7, 전이암 2). 양성 병소들과 악성 병소들의 크기는 각각 $164{\pm}85mm^3$$598{\pm}718mm^3$이었다. 영상은 GE Advance PET 스캐너(전체반값두께 4.6 mm)를 이용하여 얻었다. 각각의 영상에 대해 매트릭스 크기를 바꾸어 가면서($256{\times}256$$128{\times}128$) 감쇠보정을 하거나 하지 않는 두 가지방법으로 재구성하여 재구성 방법에 의한 영향을 비교하였다. 여덟 명의 환자(양성 3, 악성 병소 6)에서 추가로 전신스캔을 시행하였다. 육안 판독 후 반정량적으로 분석하여 표준섭취계수를 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치료하지 않은 악성 병소는 모두 진단할 수 있었고 양성 병소는 육안적으로 관찰되지 않았다. 10개의 악성 병소들의 픽셀당 최대 표준섭취 계수는 $2.64{\pm}0.57g/ml$로 한 예를 제외하고는 모두 2.0 g/ml보다 높았다. 종양의 크기와 표준섭취계수는 통계적인 상관관계가 없었다. 전신스캔에서는 두개의 $1000 mm^3$ 보다 큰 악성 병소는 높은 섭취를 보였으나 중간 크기의 병소들은 희미하게 관찰되었고 $100 mm^3$ 이하의 병소 두 개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F-18-FDG PET는 안구 내 악성 종양의 진단에 있어서 높은 예민도를 보여 주었다. 악성 종양은 모두 육안적으로 진단할 수 있었다. 작은 크기의 안구 내 종양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전신스캔은 예민도가 낮아 적당하지 않고 스캔시간을 충분히 길게 하여 안구 국소촬영을 할 필요가 있다. 영상은 $128{\times}128$ 매트릭스보다 $256{\times}256$ 매트릭스로 재구성하는 것이 좋다.

  • PDF

초음파 유화흡인술 후 발생된 난치성 동공 차단 녹내장의 수술적 치료 (Surgical Managements for Refractory Pupillary Block Glaucoma after Phacoemusification in a Dog)

  • 박영우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30-134
    • /
    • 2015
  • A 13-year-old, castrated male Yorkshire terrier was presented with acute blepharospasm 2 months after phacoemulsification with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in the left eye. Menace response was weakly positive in the left eye. Intraocular pressure (IOP) was 98 mmHg in the left eye. On ophthalmic examination using slit lamp biomicroscope, episcleral injection and corneal edema were observed in the left eye. Aqueous flare (1+) and iris bombe with peripheral anterior synechia were also detected in the left eye. In spite of medical treatments, IOP was remained more than 50 mmHg. Synechiolysis and radial iridectomy with irrigation/aspiration of anterior chamber were performed in the left eye. One week after the surgery,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was injected to resolve the blood and fibrin clot in the left anterior chamber. Menace response was recovered completely 1 month after the surgery and IOP was maintained less than 20 mmHg more than 6 month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