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ramuscular sedation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초

장애 환자의 Midazolam 근육주사와 $N_2O-O_2$ 흡입진정을 통한 전신마취 수술 전 치과치료 (Dental Treatment under Midazolam and $N_2O-O_2$ Sedation for Disabled Patients before General Anesthesia)

  • 정용석;안효정;이수언;최성철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12
    • /
    • 2013
  • General anesthesia has been developed in dentistry as a type of management technique to sedate patients who may be uncontrollable or require medical consideration. However, emergency treatment for controlling pain before general anesthesia could be required due to the time for medical evaluation for general anesthesia. There is a greater possibility of developing complications under extended waiting period. A disabled patient who needs dental treatment under general anesthesia underwent pretreatment with intramuscular injection of midazolam and $N_2O-O_2$ inhalation sedation in these cases report.

소아환자의 수술후 P.R.N. 근주와 PCA의 제통효과의 비교 (A Comparison of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and P.R.N. Intramuscular Injection for Postoperative Pain Control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이강창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1권1호
    • /
    • pp.69-73
    • /
    • 1998
  • Background: The postoperative pai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s most commonly managed by intramuscular injections of NSAIDs or opioids. This approach may result in fluctuating plasma drug levels and cycles of pain, comfort, and sedation. Patient-controlled analgesia(PCA) is a method of analgesia administration that consists of a computer-driven pump with a button that the patient may press to administer a small dose of analgesic drug. Materials & Methods: Forty ASA physical status 1 or 2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n the PRN group, patients received intramuscularly diclofenac(Valentac$^{(R)}$) on a p.r.n. basis. The PCA group patients received a mixture of nalbuphine and ketorolac by WalkMed$^{(R)}$PCA infusor. Analgesic efficacy was evaluated with NRS(numerical rating scale) and Faces Pain Rating Scale. The side effects were evaluated. Results: The patients of PCA group had less pain than those of PRN group. Complications were similar in both group. Conclusions: PCA with nalbuphine and ketorolac is a safe and effective methods of pain relief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fter surgery, and is better accepted than intramuscular injections.

  • PDF

소아치과의사의 진정법 사용에 대한 실태조사 (Survey of Sedation Practices by Pediatric Dentists)

  • 양연미;신터전;유승훈;최성철;김지연;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57-265
    • /
    • 2014
  • 본 연구는 대한소아치과학회 산하 진정법 교육연구위원회가 진정법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제정과 향후 정기적인 진정법교육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시행하였다. 진정법을 사용하는 소아치과 회원 215명에게 2014년 2월 메일로 설문을 보내어 한달간 응답한 111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진정법은 어린이의 행동조절을 위해 선택되어, 3~4세 어린이(78%)에게 주로 사용되었다. 치료시간은 1~2시간(74.8%)이 많으며, 전악 치료(76.6%)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Chloral hydrate(CH) 50~70 mg/kg, hydorxyzine(Hx) 1~2 mg/kg, midazolam 근주(Mida IM) 0.1~0.2 mg/kg가 선호하는 진정법약제의 용량이었다. 진정법 시 선호하는 진정법 약제의 조합은 CH+Hx+$N_2O/O_2$(67.6%), CH+Hx+Mida 점막하투여(SM)+$N_2O/O_2$(29.7%), Mida IM+$N_2O/O_2$(23.4%) 등으로, 추가투여는 48%에서 행해지며 주로 Midazolam을 사용하고 있었다. 진정법 시 부작용을 경험한 응답자는 87.5%로, 주로 오심과 구토, 과흥분, 호흡저하 및 호흡곤란, 비틀거림 등이며, 약 20%만 정기적인 응급처치 교육을 받고 있었다. 진정법 후 환자 퇴원기준에 대해 응답자들은 명확한 퇴원기준의 부족과 추천하는 퇴원기준을 따르고 있지 않았다. 응답자의 86%가 진정법 코스에 대해 흥미를 가지고 있었으며, 진정법 코스에서 배우고 싶은 내용은 주로 응급 시 대처법과 안전한 약물용량 등 이었다. 소아치과에서의 진정법 사용은 환자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야 하며, 의료사고예방을 위한 evidence-based 진료가 필요하다. 따라서, 대한소아치과학회는 진정법 가이드라인 및 응급처치에 대한 술기교육의 체계를 갖추어 소아치과의사들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상악 중절치의 이소맹출로 인해 발생한 자극성 섬유종 (Irritation Fibroma Associated with Ectopic Eruption of the Maxillary Incisor)

  • 정연욱;강정민;김승혜;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07-212
    • /
    • 2016
  • 자극성 섬유종은 만성적인 자극 또는 외상에 의해 발생하는 구강 내의 흔한 섬유증식성 병소이다. 자극성 섬유종과 유사한 형태의 다른 양성 또는 악성 연조직종양의 감별진단을 위해서는 병리조직학적 검사가 필요하다. 본 증례는 엔젤만 증후군 환아에서 상악 좌측 중절치의 이소맹출로 인해 자극성 섬유종이 발생하여 미다졸람을 이용한 근육내 진정 하에 절제생검을 시행한 뒤, 병소의 재발 없이 양호한 치유 결과를 나타내고 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치과 진료에 비협조적인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증후군 환자에서의 전처치로서의 미다졸람 케타민의 근육투여 (Midazolam and Ketamine Intramuscular Premedication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Patient with Poor Cooperability)

  • 김영재;신터전;현홍근;김정욱;장기택;이상훈;김종철;김현정;서광석;이정만;신순영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1-114
    • /
    • 2012
  •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s characterized by inattention, impulsivity, and hyperactivity. Given high incidence of ADHD, many children with ADHD is likely to present for anesthesia. This case report suggests intramuscular premedication as an alternative method for anesthetic induction. A 9-year-old male patient with ADHD was transferred for dental treatment under general anesthesia. The patient refused to go into dental clinic office. Oral midazolam was given to the patient, however, he was resistant to take midazolam via oral route. Instead, we administer midazolam and ketamine via intramuscular route. After less than 10 miniutes, the patient became drowsy and was transferred to dental chair. Intravenous access and mask inhalation was possible. The patient received dental treatment under general anesthesia and recovered in a non-complicated way. In this case, intramuscular sedation with midazolam and ketamine was used as a premedication in highly uncoopearive patient refused to take oral sedative medication.

상박신경총 차단에서 첨가한 Clonidine과 Epinephrine의 비교 (Comparison of Adding Clonidine Versus Epinephrine into Local Anesthetics in Brachial Plexus Block)

  • 이홍식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7권2호
    • /
    • pp.205-210
    • /
    • 1994
  • The effects of either clonidine or epinephrine into local anesthetics administered into brachial plexus sheath were evaluated in 42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of the upper limb. All patient received 0.5 ml/kg of 2:1 mixture of bupivacaine and lidocaine injected into the brachial plexus sheath, using the subclavian perivascular technique. The patient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wo groups; Group I(n=25) received $150{\mu}g$ of clonidine hydrochloride, and Group II(n=27) received $200{\mu}g$ of epinephrine. The duration of analgesia and the degree of sedation reflecting the systemic effect of clonidine were assessed. The block produced by the addition of clonidine was longer($100.3{\pm}469.8$ vs $648.8{\pm}192.1$ min) and superior to that by epinephrine(p < 0.05). The highest degree of sedation was achieved about 20 minutes after block, which roughly equals the time required for intramuscular clonidine to show the similar effect. The author concludes that the injection of clonidine mixed to local anesthetics into the brachial plexus sheath prolongs analgesia than that of epinephrine, but this prolongation may be due to the systemic effect of clonidine.

  • PDF

Triazolam을 이용한 지적 장애인 환자의 치과 치료 : 증례보고 (DENTAL TREATMENT USING TRIAZOLAM FOR THE MENTAL RETARDATION PATIENT : A CASE REPORT)

  • 이수정;백광우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76-80
    • /
    • 2015
  • 장애인의 보건 수준이 높아지면서 치료보다는 예방의 관점에서의 구강 관리가 중요해지고 있다. 본 증례에서 소개된 다섯 명의 지적 장애를 지닌 환자들을 triazolam을 이용하여 경구 투여하여 치료하였다. Triazolam을 이용한 진정법은 장애인의 정기적인 구강 관리의 한 대안으로 고려해볼 수 있겠다.

사슴에서의 Xylazine Hydrochloride의 진정효과(鎭靜效果) (Sedative Effects of Xylazine Hydrochloride to Deers)

  • 김명철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5-150
    • /
    • 198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edative effect of xylazine for restraint of deers such as sika deer (19 cases), red deer (19 cases), elk (19 cases), pere david deer (13 cases) and reindeer (8 cases), raised in the area of surburb of Seoul, Chungcheongnam-do and Gyungsangbug-do. provi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ore the dose of xylazine, the earlier the onset of sedation, and the s1ower the recovery time to normal state. 2. The optimal intramuscular dose of xylazine was found to be 0.8~1.4mg per Kg of body weight for sika deer, 0.6~1.0mg for red deer, 1.0~1.4mg for elk, 0.2~0.4mg for pere david deer, and 0.6~1.0mg for reindeer.

  • PDF

자폐증 환자의 행동조절을 위한 Midazolam Intranasal Spray 사용사례 (Use of Midazolam Intranasal Spray for Dental Treatment of Autism Patients)

  • 송영균;이숙영;김승오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23-227
    • /
    • 2012
  • Autism patients in general have bad oral hygiene. It is hard for autism patients to get dental treatment as poor communication. Therefore, they may have to be treated by deep sedation or general anesthesia in numerous cases. However, this process requires induction with mask, so it is not easy to do for disobliging autism patient. Midazolam is a water-soluble benzodiazepine, has been used in pediatric dentistry or dentistry for the handicapped because of rapid onset. Midazolam can be administered through oral, rectal, intramuscular,intravenous, and intranasal (IN) routes. IN route of midazolam may be considered as effective way to allay for uncooperative autism patients before general anesthesia. In this case report, two autism patients required dental treatment. Intranasal spray of midazolam before general anesthesia was safe and effective procedure of behavioral management.

소아환자의 Midazolam의 정맥투여 용량에 따른 진정 효과에 관한 비교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SEDATIVE EFFECT OF DIFFERENT INTRAVENOUS MIDAZOLAM DOSAGES FOR PEDIATRIC DENTAL PATIENTS)

  • 김은영;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16-426
    • /
    • 2005
  • 소아환자는 치과치료시 다양한 방법의 진정요법이 요구된다. 정맥내 투여방법은 약효의 발현이 빠르고, 진정의 심도 및 시간을 술자의 의도대로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Midazolam은 현재 의과 및 치과영역에서 성인의 진정요법에 가장 널리 쓰이며, 심혈관계와 호흡계에 대한 영향이 적은 진정 약제이다. 그러나 midazolam을 이용한 정맥내 진정요법의 소아치과에서의 사용에 대한 연구와 보고는 적은 편으로,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아환자에서의 midazolam을 이용한 정맥내 투여시 효과적이고 안전한 초기 투여용량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진정요법으로 2회 이상의 구치부 치료가 필요한 건강하고 비협조적인 행동을 보이는 1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연령은 $54.7{\pm}10.7$개월, 평균 몸무게는 $18.1{\pm}3.0kg$이었다. 술전 투약으로 0.3mg/kg, 최대 5mg의 midazolam을 근육내 투여 후 30~50%의 $N_2O-O_2$를 병용투여한다. 이중 맹검법에 의해 모든 환자는 두 번의 내원 중 임의로 한번은 0.1mg/kg(I군)을, 다른 한번은 0.2mg/kg(II군)의 초기 용량의 midazolam을 정맥내 투여하여 치료하였고, 추가투여시에는 초기용량의 1/2을 투여하였다. 치료시 환자의 생징후를 측정하였고, 행동양상은 Ohio State University Behavioral Rating Scale과 Automated Counting System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술자는 Houpt가 제시한 기준을 응용하여 임상적 치료의 성공과 실패를 평가하였다. 몸무게에 대한 총 투여용량은 I군에서 0.16mg/kg, 2군에서 0.24 mg/kg 이었다. 생징후의 경우 두 군 모두 정상범위 내에서 안정된 상태를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행동양상평가에서 II군에서 바람직한 행동양상(Quiet)의 비율이 높았고, 임상적 성공률은 II군에서 높았으나, 두 군간 통계학적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p>0.05). 작용 발현시간은 II군에서, 회복시간은 I군에서 빨랐고, 약물 투여 횟수는 I군에서 많았으나, 두 군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 PDF